d라이브러리
"유전"(으)로 총 4,276건 검색되었습니다.
- [News & Issue] “나, 실험실 돼지 남다른 돼지가 됐지”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수 시간 이내에 이식된 장기가 파괴된다. 박 교수는 “아마 다음 단계는 혈관을 만드는 유전자를 편집한 돼지 배아에 인간의 iPS세포를 주입하는 실험이 진행돼야 할 것”이라며 “실험이 성공한다면 돼지가 인간의 혈관을 가지게 되니 면역문제가 어느 정도 해결될 것”이라고 말했다.이종 간 ... ...
- Part 3. 미토콘드리아 바꾼 ‘세 부모 아이’ 안전할까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위험하다최근에는 그간 안전하다고 생각했던 줄기세포 실험에서도 문제가 불거졌다. 유전병 가능성이 높은 난자에 날카로운 바늘을 찔러 핵을 빼낼 때, 소량이지만 문제가 있는 모계 미토콘드리아도 딸려 온다. 이 비율은 2% 내외로 아주 적고, 세포 분열을 거듭하면서 문제가 있는 미토콘드리아가 ... ...
- [Tech & Fun] 당신의 여름은, 어떤 냄새인가요?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이들 중 대다수는 얼음이 어는 데 도움을 주는 단백질(INA, Ice Nucleation Active protein) 유전자를 가진 슈도모나스 속의 박테리아였다.INA는 그람음성균, 예컨대 슈도모나스 속, 산토모나스 속의 박테리아 외막에 붙어있는 단백질로, 영하 5°C에서도 물이 얼 수 있도록 도와준다. 우리가 접하는 물은 먼지나 ... ...
- [과학뉴스] 광유전학 치료 임상 돌입… 신경 치료 새 빛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워싱턴대 마취통증의학과의 로버트 제류 교수는 ‘네이처’와의 인터뷰에서 “광유전학은 신경질환 치료에 있어 완전히 새로운 영역을 개척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 ...
- [News & Issue] ‘브레인푸드’, 있다, 없다?과학동아 l2016년 07호
- 김지영 교수는 “결국 음식이 후성유전학적인 기능을 하는 것”이라며 “앞으로는 유전자검사를 토대로 자신에게 취약한 질병을 예방하기 위한 식단을 처방받을 수 있게 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 ...
- Part 2. 미토콘드리아에 새겨진 인류의 기원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생명윤리법이 시행돼 콜레스테롤, 혈당, 탈모, 피부탄력 등 일부 헬스케어 분야에서 유전자 검사가 일반인에게도 개방된다.‘한 달만 늦었더라면’이라는 생각도 들었지만, 아마도 뼛속부터 한국인인 기자의 검사 결과는 역시 뻔했을 것이다. 2005년 신경진 연세대 의대 교수가 한국인 592명의 ... ...
- [Knowledge] “어떻게 내가 너의 우산이 돼줄까”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지난 화에서 우리는, 자연 선택이 각 개체의 포괄 적합도를 최대화한다는 사실을 알았다. 즉, 사회적 행동을 하는 개체는 자신의 자식 수(직접 적합도)뿐만 아니라, ‘ ... 여기까지 이해했다면 일단 핵심은 파악한 셈이다. 다음 화에서 해밀턴의 법칙과 유전적 근연도를 좀 더 탐구해 보자 ... ...
- [Tech & Fun] 익스팬스, 깨어난 괴물의 습격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사람을 감염시키는 병원체는 크게 세균(박테리아)과 바이러스가 있습니다. 둘 모두 유전 물질인 DNA(혹은 RNA)를 가지고 있죠. 하지만 균은 독자적으로 살아나갈 수 있는 생명체고, 바이러스는 숙주가 없으면 물질대사를 전혀 하지 못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큽니다. 바이러스의 숙주는 균일 수도 있고, ... ...
- [Knowledge] 생명과학의 성배를 찾아서과학동아 l2016년 06호
- 관점의 씨앗을 심었다면, 도킨스는 이를 거목으로 뿌리내리게 했다. 도킨스의 ‘이기적 유전자’가 해밀턴, 로버트 트리버스, 조지 윌리엄스, 메이너드 스미스 등 기존 학자들의 연구를 알기 쉽게 포장한 과학 대중서에 불과하다는 폄하를 국내에서도 종종 접하는 것은 그래서 안타까운 일이다 ... ...
- [Interview] “포스트휴먼시대 앞장서 대비해야” 백종현 한국포스트휴먼학회장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일컫는다. 완전한 자율 의지를 가진 로봇이나 신체 일부를 기계로 대체한 사이보그, 혹은 유전자조작으로 태어난 인간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한국포스트휴먼학회에서는 다가오는 포스트휴먼 사회에 대비해 인문학자, 법학자, 공학자 등이 모여 새로운 사회적 규범을 논의한다. 초대 학회장으로 ... ...
이전10810911011111211311411511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