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유전"(으)로 총 4,276건 검색되었습니다.
- [News & Issue] ‘브레인푸드’, 있다, 없다?과학동아 l2016년 07호
- 김지영 교수는 “결국 음식이 후성유전학적인 기능을 하는 것”이라며 “앞으로는 유전자검사를 토대로 자신에게 취약한 질병을 예방하기 위한 식단을 처방받을 수 있게 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 ...
- [News & Issue] “나, 실험실 돼지 남다른 돼지가 됐지”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수 시간 이내에 이식된 장기가 파괴된다. 박 교수는 “아마 다음 단계는 혈관을 만드는 유전자를 편집한 돼지 배아에 인간의 iPS세포를 주입하는 실험이 진행돼야 할 것”이라며 “실험이 성공한다면 돼지가 인간의 혈관을 가지게 되니 면역문제가 어느 정도 해결될 것”이라고 말했다.이종 간 ... ...
- Part 2. 미토콘드리아에 새겨진 인류의 기원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생명윤리법이 시행돼 콜레스테롤, 혈당, 탈모, 피부탄력 등 일부 헬스케어 분야에서 유전자 검사가 일반인에게도 개방된다.‘한 달만 늦었더라면’이라는 생각도 들었지만, 아마도 뼛속부터 한국인인 기자의 검사 결과는 역시 뻔했을 것이다. 2005년 신경진 연세대 의대 교수가 한국인 592명의 ... ...
- Part 4. 뇌질환과 암의 열쇠가 되다과학동아 l2016년 07호
- 876-1882, 1999).나머지 10%는 유전적 원인으로, 이 역시 미토콘드리아와 관련이 있다. ‘SCNA’ 유전자에 돌연변이가 생기면 복합체 I과 전자전달계를 구성하는 ‘시토크롬 c(cyt c)’의 기능이 떨어진다.ATP를 빼앗긴 미토콘드리아, 암을 만나다암 세포는 비정상적으로 빨리 자라는 세포다. 당연히 에너지 ... ...
- [Knowledge] “어떻게 내가 너의 우산이 돼줄까”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지난 화에서 우리는, 자연 선택이 각 개체의 포괄 적합도를 최대화한다는 사실을 알았다. 즉, 사회적 행동을 하는 개체는 자신의 자식 수(직접 적합도)뿐만 아니라, ‘ ... 여기까지 이해했다면 일단 핵심은 파악한 셈이다. 다음 화에서 해밀턴의 법칙과 유전적 근연도를 좀 더 탐구해 보자 ... ...
- [과학뉴스] 광유전학 치료 임상 돌입… 신경 치료 새 빛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워싱턴대 마취통증의학과의 로버트 제류 교수는 ‘네이처’와의 인터뷰에서 “광유전학은 신경질환 치료에 있어 완전히 새로운 영역을 개척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 ...
- [Editor’s Note] 공존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않고 공존했고, 공통의 자손을 남겼다(좀 낭만적인 해석이긴 하다). 이들에게 공존의 유전자가 있었음을 새삼 감사하게 생각하며 또다른 공존을 준비한다 ... ...
- Part 3. 미토콘드리아 바꾼 ‘세 부모 아이’ 안전할까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위험하다최근에는 그간 안전하다고 생각했던 줄기세포 실험에서도 문제가 불거졌다. 유전병 가능성이 높은 난자에 날카로운 바늘을 찔러 핵을 빼낼 때, 소량이지만 문제가 있는 모계 미토콘드리아도 딸려 온다. 이 비율은 2% 내외로 아주 적고, 세포 분열을 거듭하면서 문제가 있는 미토콘드리아가 ... ...
- [인터뷰] 젊은 수학자를 만나다 서재홍 교수수학동아 l2016년 06호
- 심지어 의사에게도 내 유전자에 문제가 있는지 알려주고 싶지 않을 수 있잖아요. 내 유전자 정보를 암호화한 상태에서 검사하는 거예요. 암호로 잠겨 있어 결과는 알 수 없죠. 암호를 푸는 열쇠는 본인만 갖고 있고요. 암호를 쓰는 이유가 개인 정보를 다른 사람에게 알려주지 않기 위해서잖아요 ... ...
- [과학뉴스] 가방 끈 긴 사람, DNA가 다르다?과학동아 l2016년 06호
- 관계가 없으며, 아주 적은 효과만을 설명한다고 덧붙였다. 연구팀은 이번에 밝혀진 유전자 변이가 고학력자들이 걸릴 위험이 높은 조현병, 조울증 등과도 관련이 있을 것으로 보고 뇌질환과의 연관성을 추가로 연구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연구결과는 ‘네이처’ 5월 11일자에 실렸다 ... ...
이전10810911011111211311411511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