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최대"(으)로 총 4,326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갑각류 중 가장 힘 센 동물은 누구?과학동아 l2017년 01호
- 발표했다.코코넛크랩은 인도양에서 태평양까지 널리 서식하는 육지 소라게다. 몸무게는 최대 4kg 안팎으로, 펼치면 몸길이가 약 1m나 된다. 특히 집게발의 힘이 강력한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지금까지 구체적으로 측정한 적은 없었다.츄라쉬마재단의 신이치로 오카 박사팀은 몸무게가 33~2120g인 야생 ... ...
- [페르미 추정] 잘 쓰면 과학자 못 쓰면 사기꾼수학동아 l2017년 01호
- 조율사는 몇 명일까?”하고 묻는가 하면 더러운 창문을 보고 유리에 쌓이는 먼지의 최대 두께는 얼마일지 궁금해 했다. 병원에 누워서는 링거액이 떨어지는 간격으로 유속을 계산했다. 모두 ‘페르미 문제’라고도 불리는 페르미 추정의 사례다.페르미는 이런 문제를 정확하게 풀지 않았다. ... ...
- Part 1. 허블 상수 논쟁 끝내기과학동아 l2017년 01호
- 많다. 이석천 경상대 기초과학연구원 학술연구교수는 “Ia형 초신성은 폭발 후 며칠 뒤에 최대로 밝게 빛났다가 시간을 두고 천천히 어두워진다”며 “이 주기 중 일부분을 관측해 얻은 밝기 변화 그래프를 보정해서 절대밝기를 추정하는데, 그 방법이 연구 그룹마다 다르다”고 말했다.문제는 ... ...
- Part 5. 인플레이션 끌어안기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시간 변화율). 물질은 항상 빛보다 속도가 느리므로, 이 반지름은 물질이 움직일 수 있는 최대 거리이기도 하다. 우주에 우리가 아는 물질만 존재한다면, 허블 반지름은 항상 증가한다.그런데 만약 특정 기간 동안 어떤 이유에선지 허블 반지름이 감소한다고 해보자. 물질의 이동거리는 제한된다. ... ...
- 우주인 똥 치우기 대작전!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4호
- 있지요. 우주인이 똥이나 오줌을 싸면 분말이 재빨리 흡수한답니다.하지만 이 기저귀는 최대 6~8시간까지만 사용할 수 있어요. 스페이스 풉 챌린지는 이런 불편을 줄이고 장기간 사용해도 문제없는 신개념 ‘기저귀’를 찾는 과정이랍니다.똥오줌으로 식량 생산까지?!스페이스 풉 챌린지의 목표는 ... ...
- [핫이슈] 제주항공우주박물관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4호
- 먹을거리가 풍성한 섬, 제주도! 그런데 제주도에 아시아 최대 항공우주박물관이 있다는 사실, 알고 있나요? 바로, ‘제주항공우주박물관’이에요.이번 겨울 방학, 즐거운 체험이 가득한 제주항공우주박물관에서 드넓은 하늘로 모험을 떠나 보는 건 어떨까요?1. 거대한 비행기를 띄우는 날개!새처럼 ... ...
- [현장취재] 2016 지구사랑탐사대 수료식 우리는 모두 시민과학자!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4호
- 뜨거운 박수가 쏟아졌어요. 올해 지구사랑탐사대는 전국에서 2300여 명이 참여해 사상 최대의 규모를 자랑했어요. 또 제비 탐사와 민물고기 탐사가 추가되면서 탐사 생물이 총 6종으로 늘어났지요.종별로 탐사하는 지역도 다르고, 횟수도 다르기 때문에 6종을 모두 수료한다는 건 매우 어려운 ... ...
- [가상 인터뷰] 박쥐는 치타보다 빠르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4호
- 가장 많은 것으로 알려져 있답니다. 정말 치타보다 빠른 속도를 낼 수 있니? 네~! 저는 최대 시속 160km로 날 수 있어요. 최고 속도가 시속 120km인 치타보다 빠르답니다. 그런데 이건 수평방향으로 이동했을 때의 속도지요.하늘을 나는 동물의 속도는 ‘수직속도’와 ‘수평속도’ 두 가지가 있어요. ... ...
- Part 1. 지금도 발견되고 있는 신종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2호
- 수는 지구에 있을 거라고 추정되는 생물의 아주 일부에 불과하거든요.과학자들은 지구에 최대 2000만 종 이상의 생물이 있을 거라고 생각하고 있어요. 즉, 우리는 주변에 함께 살고 있는 생물 중 1% 정도만 자세히 알고 있다는 거지요. 나머지 종은 지금 이 순간에도 계속 발견되고 있답니다. 1년 동안 ... ...
- [과학뉴스] 임금님 귀는 당나귀 귀? 깡충거미 귀는 소머즈 귀!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2호
- 수 있는지에 대해서도 알아봤어요. 그 결과 80Hz의 소리를 65dB의 크기로 들려 줬을 때, 최대 3m 거리까지 들을 수 있었어요. 또한 깡충거미는 80Hz의 소리를 0Hz나 2000Hz 소리보다 각각 6배, 3배 더 잘 감지했답니다.길 멘다 박사는 “이번 연구를 통해 깡충거미도 청각을 갖고 있다는 사실이 최초로 ... ...
이전10710810911011111211311411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