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문
대회
학식
국제올림픽위원회
국제
올림픽
위원회
뉴스
"
학술
"(으)로 총 14,908건 검색되었습니다.
노삼혁 UNIST 교수, 국제컴퓨팅협회(USENIX) 프로그램 의장 선출
동아사이언스
l
2019.03.14
년에는 논문을 2편이나 냈다. 노 교수는 “한국인 최초로 시스템 소프트웨어 분야 최고
학술
대회의 의장을 맡게 돼 영광"이라며 "최근 크게 발전한 국내 저장기술 분야가 더욱 힘을 받는 기회가 되면 좋겠다”고 밝혔다. ... ...
버려지는 에너지 모아주는 '돋보기 물질'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03.14
대폭 증폭시켜 지속적으로 전기를 공급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
학술
지 ‘나노에너지’ 3월호에 발표됐다. 메타 에너지 하베스팅 시스템을 구현했다.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제공 ... ...
쌀알보다 작지만 민감도 1000배 높아진 '나노센서'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3.13
연구팀이 개발한 나노 금속센서는 제작 방법이 간단하고 비용이 적게 든다는 것이 장점이다. 사진제공 한국연구재단 국내 연구팀 머리카락의 마약 성 ... 유해물질을 검사할 때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나노 분야 국제
학술
지 ‘나노 레터스’ 2월 27일자에 발표됐다. ... ...
2015년 미세먼지로 오스트리아만큼의 인구가 사라졌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3.13
전세계적으로 880만명이 미세먼지 등 대기오염으로 조기 사망했다는 연구결과를 국제
학술
지 ‘유럽심장저널’ 12일자에 발표했다. 연구팀이 자동차 배기가스, 공장 매연, 초미세먼지에 따른 대기오염으로 인한 전세계 조기 사망자 숫자를 추산했다. 사망자의 40∼80%가 호흡기가 아닌 심장마비나 ... ...
항공·군사 소재 아라미드 나노섬유 대량생산 방법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03.12
아라미드 나노섬유 대량생산 기술을 개발한 박제영 선임연구원 연구팀이다. 왼쪽부터 박제영, 황성연, 오동연 박사이다. 한국화학연구원 제공 방탄 ... 다양한 첨단 산업소재 분야로의 확장이 기대된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
학술
지 ‘매크로몰레큘즈’ 1월 17일자에 발표됐다. ... ...
'최강 B형간염 치료제'를 무력화하는 내성 바이러스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19.03.12
항바이러스제 개발이 긴급히 필요하다는 뜻"이라고 밝혔다. 이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
지 ‘유럽 간학회지’ 2월 20일자에 실렸다. 바이러스의 복제를 절반으로 줄이기 위해 필요한 약물의 농도(IC50)를 구했다. 그 결과 환자로부터 분리한 바이러스(1-1 또는 1-13)와, 중합효소의 4군데에 ... ...
치매 잡는 유전자가위 최초 개발…동물실험 효과 입증
동아사이언스
l
2019.03.12
타깃으로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 기술을 적용한 건 이번이 처음이다. 연구결과는 국제
학술
지 '네이처 뉴로사이언스' 11일자에 실렸다. 김종필 동국대 화학과 교수와 박한슬 박사과정 연구원팀은 알츠하이머 치매의 원인인 베타아밀로이드 단백질 생성에 관여하는 효소 유전자(Bace1)에 주목했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아침을 든든히 먹으면 정말 살이 빠질까
2019.03.12
이점까지 있는 것으로 알려졌지만 최근 그렇지 않다는 연구결과들이 속속 나오고 있다.
학술
지 ‘JAMA 소아과’ 2월 25일자에는 초등학교에서 학생들에게 아침을 챙겨 먹이는 정책이 오히려 비만을 늘렸다는 충격적인 연구결과가 실렸다. 연구의 배경은 이렇다. 미국 교육 당국은 저소득층 자녀들이 ... ...
[인사] KAIST
동아사이언스
l
2019.03.11
유승협 △학생생활처장 겸 새내기과정학부장 류석영 △인권윤리센터장 남윤기 △
학술
문화원장 문수복 △연구처장 겸 연구기획센터장 조광현 △KAIST창업원장 겸 K-School원장 안성태 △공과대학부학장 최성율 △과학영재교육연구원장 곽시종 △케냐과학기술원건립사업단 단장 김학성 ... ...
그래핀 대체재 흑린 성능 떨어지는 원인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3.11
안정성 또한 향상시킨 전자소자를 제작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
학술
지 ‘앙게반테 케미’ 11일자에 발표됐다. 산소(붉은색)가 흑린 표면에 흡착된 후 전자가 이동되어 산화가 일어나고 그와 동시에 수분이 흡착되어 성능저하가 발생하는 흑린의 표면 변화과정(좌→우). ... ...
이전
1122
1123
1124
1125
1126
1127
1128
1129
113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