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문
대회
학식
국제올림픽위원회
국제
올림픽
위원회
뉴스
"
학술
"(으)로 총 14,909건 검색되었습니다.
배터리 충전 속도 5배 높인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3.06
구조의 ‘실리콘 음극소재’를 개발했다고 6일 밝혔다. 이번 연구는 나노 분야 국제
학술
지 ‘ACS나노’ 2월 26일자에 소개됐다. 음극소재는 충전된 리튬이온 배터리에서 리튬 이온과 전자를 품고 있는 ‘음극’의 소재로, 방전시 전자를 도선에 내보내는 역할을 한다. 연구팀은 기존에 널리 쓰이던 ... ...
충치균이 대장암을 공격적으로 부추긴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3.06
이 있으며, 이런 경우 대장암이 훨씬 공격적으로 진행된다는 사실을 알아내 온라인 국제
학술
지 '엠보 리포트(EMBO Reports)' 4일자에 발표했다. 연구진은 대장암 환자 중 충치가 많은 사람들이 치료 효과가 더딘 경향이 있음에 주목했다. 대장암은 국내에서도 암 발병률 2위를 차지하고 있다. ... ...
KIST 단장에 류훈 보스턴 의대 교수 영입 “역중개 연구로 뇌질병 원인 밝힐 것”
동아사이언스
l
2019.03.06
이상이다. 생물학연구정보센터가 주관한 한국을 빛낸 사람들 명단에 12회 등재됐고 국제
학술
지 '플로스원'과 '실험신경학"의 편집위원으로도 활동하고 있다. KIST 뇌과학연구소는 앞서 지난해 보스턴 의대와 연구 협력을 위한 협약을 체결했다. 류 교수는 정규직 신분의 단장직을 맡으면서 보스턴 ... ...
이달의 과학기술인상 최현용 교수 “기술 발전은 과학적 이해가 선행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19.03.06
처리와 같은 차세대 정보소자 구현에 한 발짝 다가갔다. 관련 연구결과는 지난해 8월 국제
학술
지 ‘네이처 나노테크놀러지’ 실렸다. 최 교수는 "연구를 수행한 차순영, 노민지 연구원에게 공을 돌리고 싶다"고 말했다. 최 교수는 “초고속 레이저 광학 기술을 기반으로 엑시톤과 양자 위상 상태의 ... ...
제5회 유미과학문화상에 박상대 서울대 명예교수
동아사이언스
l
2019.03.06
박 명예교수는 국내 처음으로 분자생물학 분야
학술
서인 ‘분자세포생물학’을 저술해
학술
발전과 교육에 공헌하고, 국제백신연구소를 국내에 유치하는 등 한국 유전공학과 분자생물학 발전의 토대를 마련했다. 심사위원장인 이한음 과학저술가는 “서울대 유전공학연구소 설립 주도해 학문 ... ...
[이강운의 곤충記] 곤충 날개의 등장은 필승 전략이었다
2019.03.06
서식지외보전기관협회장이며 국립인천대 매개곤충 융복합센터
학술
연구 교수를 맡고 있다. 과학동아에 ‘애벌레의 비밀’을 연재했다. 2015년 《한국의 나방 애벌레 도감Ⅰ》, 2016년 《캐터필러 Ι》, 2017년 《캐터필러Ⅱ》를 썼다 ... ...
동물은 왜 잠을 잘까…"수면 중 신경세포 DNA 손상 수리"
2019.03.06
바르일란대/David Zada 제공 이스라엘 바르일란대학(BIU) 리오르 아펠바움 교수팀은 6일 국제
학술
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Nature Communications)에서 실험용으로 널리 사용되는 제브라피시의 신경세포 내부변화를 지속해서 관찰할 수 있는 타임랩스(time-lapse) 영상 기법을 통해 이런 사실을 발견했다고 ... ...
뼈 속에 혈관 있다?
과학동아
l
2019.03.06
군제르 독일 뒤스부르크-에센대 의대 교수팀은 쥐의 다리뼈에서 미세혈관을 발견해 국제
학술
지 ‘네이처 메타볼리즘’ 1월 21일자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쥐의 혈액세포를 연구하기 위해 형광물질로 염색해 실험하던 중 우연히 혈액세포가 뼈 속을 통과하는 것처럼 보이는 현상을 발견했다. 이를 ... ...
[뉴스룸]콧대 높은
학술
지로부터의 해방 가능할까
동아사이언스
l
2019.03.06
이미 여러 나라 정부와 연구관리기관들이 연구비를 지원하는 대신 논문을 오픈액세스
학술
지에 내게 하는 등 대책을 세우고 있다. 우리도 국가 차원에서 관심을 보여야 한다 ... ...
출력 밀도 높고 충방전 속도 빠른 ‘슈퍼 커패시터’ 원리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19.03.05
다양한 전기장치의 성능 향상에 큰 기여를 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
학술
지 ‘물리화학 화학물리학’ 지난 1월 24일 온라인판에 발표됐다 ... ...
이전
1125
1126
1127
1128
1129
1130
1131
1132
113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