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소화
흡수작용
작용
통합
동화
흡수 장치
흡입
d라이브러리
"
흡수
"(으)로 총 2,203건 검색되었습니다.
말라리아 퇴치, 미꾸라지가 나선다
과학동아
l
200401
물 속의 산소가 부족하거나 논에 물이 없을 때 입으로 공기를 들이마신 후 장에서 산소를
흡수
하고 탄산가스는 항문으로 방귀 뀌듯 배출한다.이 녀석들은 비가 내릴 때 매우 활발히 헤엄을 치는 까닭에 ‘기상어’(氣象魚) 라고 부르기도 한다. 이 두 종류의 식성은 모두 잡식성인데 주로 밤에 먹이를 ... ...
2003년 한국의 쿨한 과학상품
과학동아
l
200401
태트(TAT)화장품은 침투성이 뛰어난 나선형 입체구조의 태트라는 물질이 피부에 빠르게
흡수
된 뒤 느슨해진 피부조직을 촘촘히 해주는 특성이 있다. 태트 기술은 약효물질을 신속하게 침투시키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 항암제 분야에서 각광을 받고 있다.www.isaknox.co.kr3차원 입체니트 직조 단계부터 ... ...
피부색 따른 인종 구분은 넌센스
과학동아
l
200401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이런 지역에서는 멜라닌 색소가 적어 자외선을 충분히
흡수
할 수 있는 사람이 생존에 유리했을 것이다.그렇다면 알래스카처럼 고위도 지방에 정착한 에스키모들은 왜 흰 피부 대신 우리와 비슷한 피부색을 유지하고 있는 것일까.해답은 이들의 전통적인 식단에 있다. ... ...
최첨단 시스템 장착된 2004년 렉서스
과학동아
l
200312
자성산물) 같은 것을 도료에 혼합하여, 항공기나 미사일 동체에 칠함으로써 레이다파를
흡수
하도록 한 최신기술의 하나몸길이 43∼58cm, 부리는 위로 뻗고 흰색머리아비보다 작고 색깔이 선명하다 대개 해안 앞바다에 살지만 간혹 내륙의 얼지 않은 물에도 내려앉는다 해안에서 단독 또는 무리지어 ... ...
매운 고추, 효과도 화끈
과학동아
l
200312
결국 매운 걸 먹어 입안이 얼얼할 때 우유를 머금고 있으면 기름 방울속으로 캅사이신이
흡수
돼 자극 신호가 사라진다.마찬가지로 눈에 고춧가루처럼 자극성 있는 물질이 들어갔을 때도 물 대신 우유로 씻으면 훌륭한 응급처치가 된다 ... ...
민간 우주여행선 시대 온다
과학동아
l
200312
이후 우주선의 아랫쪽에 팽창식 원뿔이 만들어져 진입중 생기는 고열과 착륙시 충격을
흡수
하게 된다. 고도 8km에서 조종이 가능한 낙하산을 펼치고 GPS 항법장비를 활용해 우주선은 출발지로부터 1백km 이내에 착륙하게 된다. 다빈치 프로젝터는 이미 2001년에 간단하며 신뢰성있는 가압식 로켓엔진의 ... ...
공기·물·땅, 어느 것이 좋은가?
과학동아
l
200312
열을
흡수
하는 증발기로 작용하는 실외기가 저온의 외기로부터 열을
흡수
해야 한다. 그러나 바깥 온도가 영하로 내려가 냉매의 증발온도가 낮아지게 되면 실외기 코일에 접촉한 공기중의 수분이 코일의 표면에 얼어붙어 서리가 된다. 이 서리는 실외기 코일표면의 열전도율을 낮춰 시스템의 효율과 ... ...
옛 소련 비밀 기술이 숙취를 예방한다
과학동아
l
200312
손상방지에 효능이 있다고 알려져 왔다.술의 주성분인 에탄올은 소화관을 통해 체내로
흡수
돼 일반인의 경우 술을 마신지 평균 2시간 안에 혈중 알콜농도가 최고치에 이르게 된다. 에탄올은 간세포에 있는 알코올탈수소효소(ADH)에 알데하이드탈수소효소(ALDH)와 차례로 작용해 아세테이트로 바뀌게 ... ...
1 우리기술로 속도 장벽에 도전한다
과학동아
l
200312
시속 22km로 벽에 정면 충돌할 때 받는 6MJ(메가줄, 1MJ=${10}^{6}$J)의 충격에너지까지 완전히
흡수
할 정도로 안전성이 향상됐다.열차의 최고속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열차의 무게를 감소시켜야 한다. 무게가 적게 나가면 동력이 적게 소비되고, 남는 힘을 그만큼 속도를 높이는데 사용될 수 있기 때문이다. ... ...
기능성 쌀 등장으로 다시 주목 받는 쌀
과학동아
l
200312
단순히 주식인 쌀을 생산해주는 역할만 하는 것이 아니다. 전국의 논에서 벼가 자라면서
흡수
하는 이산화탄소의 양은 연간 2천2백만t에 이른다. 반면 배출하는 산소의 양은 1천6백만t이다. 5천8백만명의 사람이 1년간 숨쉴 양이다. 남한의 인구 4천6백만이 실컷 마시고도 남는다. 그뿐 아니다. 논의 ... ...
이전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