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고려"(으)로 총 3,948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4. 인공지능의 미래를 가늠하다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오로지 환자가 처한 상황과 그 사회의 도덕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인간 의사가 최종 결정을 내려야겠죠. 비단 의료 분야만이 아닙니다. 인공지능 응용에 대한 공통적인 안전 장치를 마련하는 게 시급합니다. 인공지능이 어떤 분야에 응용되더라도 항상 최종 결정은 ... ...
- [Knowledge] 사람은 이름을 남기고, 명견은 명견을 남긴다?과학동아 l2016년 04호
- 늘고 있다. 시각장애인 안내견이나 암 세포 냄새를 맡는 암 탐지견 등 민간 수요까지 고려하면 그 수는 더 늘어난다.서울대 수의과대에서는 지금까지 총 20마리의 복제탐지견을 생산했다. 이들은 높은 성적으로 훈련을 통과해 현재 인천, 김포, 제주 공항 등에서 활약하고 있다. 국립축산과학원도 201 ... ...
- [Tech & Fun] 내 몸을 이루는 미생물에 관심을 가져보세요과학동아 l2016년 04호
- 분석하려는 연구가 치열하다. 그러나 저자는 “인간 몸의 90%를 차지하는 미생물을 고려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2012년 인간 미생물군 유전체 프로젝트의 제1단계 결과가 발표된 뒤, 현대의 다양한 질병을 가진 사람들에게서 공통적으로 특정 미생물군의 부재가 관찰되고 있다는 것이다. 다시 말해, ... ...
- [Tech & Fun] 화성 기지 짓는 첨단 기술과학동아 l2016년 04호
- 결과로 바이오돔 내부의 습도가 100%까지 치솟을 수도 있다. 과학자들은 이 모든 것을 고려한 순환장치를 구상하고 있다. 한편 미국항공우주국(NASA)은 첨단혁신연구프로그램(NIAC)의 일환으로 화성에서 미생물을 이용해 산소를 조달하는 ‘마스 룸(Mars Room)’ 프로젝트에 돌입했다. NASA는 우주 환경에 ... ...
- [생존전략 2] 널리 퍼지는 꽃가루수학동아 l2016년 04호
- 자손을 최대한 많이 만들어야 한다는 뜻이다. 식물은 저마다 살고 있는 환경과 생김새를 고려해, 가장 효율적으로 퍼뜨릴 수 있는 꽃가루를 만들고 있다. 환경에 따라 알맞은 꽃가루의 기하학속씨식물은 아름다운 꽃을 피워 향긋한 향기를 풍겨 나비와 벌, 모기 같은 곤충을 유인한다. 꿀과 즙을 ... ...
- [지식] 최고의 방정식을 소개합니다!수학동아 l2016년 04호
- 세계로 뛰어들 수 있는 무기’라고 표현했다. 이 17개 외에 다른 의견도 나왔다. 이동헌 고려대 물리학과 교수는 ‘F = ma(힘은 질량과 가속도의 곱)’을 뽑았는데, 복잡한 물리법칙을 간단한 수식으로 나타내 일반인에게도 어렵지 않고 친숙한 공식이라고 평가했다. 엄상일 KAIST 수학과 교수는 e, π, i ... ...
- Part2. ‘알파크래프트’ 어디까지 왔나과학동아 l2016년 04호
- 바둑 정책망 수립 기술은 알파고가 개발되기 전 이미 나와 있었다. 짧은 역사를 고려하면 현재 스타크래프트 인공지능은 엄청나게 빠른 속도로 발전하고 있다. 해마다 스타크래프트를 공략하기 위해 재기발랄한 아이디어들이 계속해서 도전장을 내밀고 있다. 2014년 우승자인 캐나다 앨버타대 ... ...
- Part 3. 판타스틱 플라스마 월드과학동아 l2016년 04호
- 남아있다. ● 디스크 분해 의료장비김곤호 서울대 원자핵공학과 교수팀은 이상헌 고려대 의대 교수팀과 함께 플라스마를 이용해 디스크(추간판) 탈출증 환부를 제거할 수 있는 장치를 2010년 개발했다. 플라스마를 생성할 수 있는 두 개의 전극을 튀어나온 추간판 가까이 삽입하고 전압을 걸면 높은 ... ...
- 과학수사대 ‘능력자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4호
- 교수, 박대균 교수, 경기지방경찰청 제 2청 김영삼 검시관, 서울대 의대 이원준 교수, 고려대 의대 법의학교실 신상언 연구원, 경찰청 예수조 경위, 서울지방경찰청 이창 호 경위, KIST 김익재 책임 연구원, 국립과학수사연구원 함근수 실장, 부산지방경찰청 김도형 경사, APOPO, Parabon ... ...
- [수학뉴스] 서울교육청, 특목고와 자사고를 일반고로 통합할까?수학동아 l2016년 04호
- 특목고와 자사고가 사라질지도 모르겠습니다. 지난 2월 24일 고려대 김경근 교수팀은 서울시교육청 조희연 교육감에게 ‘초·중등교육 정상화를 위한 고교체제 개편방안 연구’ 보고서를 제출했습니다. 서울시교육청은 김 교수팀의 보고서를 토대로 외국어고와 국제고, 자율형 사립고를 일반고로 ... ...
이전10810911011111211311411511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