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고려"(으)로 총 3,948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화성이 지금처럼 삐딱하게 도는 이유과학동아 l2016년 04호
- 화성 표면에 질서 없이 늘어서 있는 것처럼 보였기 때문이다. 그런데 지각의 변화를 고려해 강의 흔적을 재배치하자, 강이 초기 화성의 남쪽 열대 대역을 따라 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화성의 지각 아래에 있는 거대한 얼음 저수지도 과거에는 극지 근처였던 것으로 추정됐다. 연구결과는 ... ...
- [Tech & Fun] 돌먼지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실패했고, 붙박이가 되었다. 열세 살은 아직 늦지는 않았지만 코쇠가 외지인 점까지 고려하면 빠르지도 않은 나이였고, 코쇠의 광산 사망률을 생각하면 위험한 나이였다. 자질은 확실했다. 마키옌데 같은 곳에 있었다면 진즉에 눈 밝은 사람에게 발견되어 입시를 시작했을 아이였다.“우주에 가 ... ...
- [지식] 고양이의, 고양이에 의한, 고양이를 위한 나라수학동아 l2016년 04호
- 생긴 걸까요?인간 세상 너머 고양이 왕국에는…1347년, 이곳 한반도는 충목왕이 다스리는 고려시대였습니다. 반면 유럽에서는 흑사병이 유행하기 시작했지요. 흑사병으로 많은 사람이 목숨을 잃었습니다.당시에도 지금처럼 사람들은 쥐를 싫어했고, 고양이는 쥐를 잡았습니다. 고양이 때문에 쥐가 ... ...
- Part 1. 알파고가 우리에게 남긴 것들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알파고의 단조로운 학습 구조가 문제라는 의견도 있다. 알파고는 오직 승리와 패배만을 고려해 자가학습을 했는데, 보상을 조금 더 세분화하면 후반의 떡수를 막을 수 있다는 것이다. 집수에 따라 가산치를 주면 알파고가 더 많은 집 차이로 이기도록 전략을 수정할 것이다. 이런 점을 수정한 ... ...
- [News & Issue] 사드, 북 미사일 위협 막을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6년 03호
- 이뤄진다. 반면 북이 보유한 중•단거리 미사일은 1000기가 넘을 것으로 추산된다. 이를 고려하면, 사드 한 포대로 남한 전체를 보호할 수 있다는 주장은 논리적 비약이라는 얘기다. 쟁점3 사드 자체의 결함?사드 자체의 신뢰성도 논쟁거리다. 국방부는 최근 “사드가 그동안 14차례 시험평가에서 모두 ... ...
- [Knowledge] CCTV에 기록된 그 날의 진실과학동아 l2016년 03호
- 두꺼운지, 인중이 깊은지 얕은지, 눈썹은 위로 솟았는지 두꺼운지 얇은지 등이다. 고려해야 할 요소만 60~70개에 달한다. 만약 범인이 쌍커풀이 있고 몽고주름을 가진 눈이라면 ‘잭팟’이다. 이런 사람은 우리나라에서 12.3% 정도밖에 되지 않기 때문에 동일인임을 판별하는 데 큰 도움이 된다.하지만 ... ...
- [과학뉴스] 구름은 빙하를 녹이는 담요?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3호
- 날씨가 맑은 날과 흐린 날 중 언제 빙하가 더 빨리 녹을까요? 벨기에 루벤가톨릭대학교 니콜 반 리프지크 교수팀은 오히려 흐린 날 빙하가 더 빨리 녹는다는 흥미로운 ... 교수는 “지구 해수면 변화와 기후 변화를 예측하기 위해선 구름이 가두는 열까지 모두 고려해야 한다”고 말했어요 ... ...
- [Knowledge] 대의를 위한 희생과학동아 l2016년 03호
- 전반의 생물학자들은 이러한 이론적 성취에 그냥 철저히 무관심했다. 이들은 엄밀한 고려 없이 집단 선택과 개체 선택을 마구 섞어 썼다. 대충 봐서 어떤 형질이 집단에 이로웠겠다 싶으면 집단 선택으로, 개체에 이로웠겠다 싶으면 개체 선택으로 설명하고 만족해하는 식이었다. 피셔, 할데인, ... ...
- [과학뉴스] ‘슈퍼 화산’ 옐로스톤 탄생의 비밀과학동아 l2016년 03호
- 발표했다.연구팀은 다른 연구에서 주목하지 않았던 패럴론 판(Farallon Plate)의 움직임을 고려해 옐로스톤 화산이 만들어질 즈음의 지구 내부를 시뮬레이션했다. 패럴론 판은 옐로스톤이 만들어지기 전인 2000만 년 전 대서양판과 북아메리카판이 부딪혀 만들어진 대양 지각이다.그 결과 맨틀이 약 150 ... ...
- [News & Issue] 아홉 번째 행성을 찾아서과학동아 l2016년 03호
- 행성과 위성의 궤도를 아주 단순하게 생각했다. 화성의 궤도를 구할 땐 태양의 중력만 고려했다. 지구나 목성 등 주변 행성과 주고받는 중력은 무시했다. 오직 ‘두 물체’ 사이의 중력만 계산한 것이다. 달의 궤도를 구할 땐 태양을 무시하고 지구의 중력만 생각했다. 그렇게 계산해도 얼추 맞았다 ... ...
이전10911011111211311411511611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