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증기
감태
안개
수증기
해의
잡초
잡풀
d라이브러리
"
김
"(으)로 총 1,778건 검색되었습니다.
요즘 태양은 왜 민얼굴인가요?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11년 주기의 시작 시점이 조금 지연됐던 것 같다”고 기자를 안심시켰다.하지만
김
박사는 “흑점이 발생하는 메커니즘이나 태양 폭발 현상이 지구에 미치는 영향은 아직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다”면서 “태양활동을 이해하고 예측하려면 아직 풀어야 할 숙제가 많다”고 덧붙였다 ... ...
다이아몬드처럼 빛나는 IPSAP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방향에 최적화된 각도를 찾은 셈이죠.” 컴퓨터에서 풍력발전기, 그리고 디스플레이까지
김
교수의 도전의 끝은 어딜까.컴퓨터에 ‘입샙’만 깔면 최첨단 로켓부터 친환경 풍력발전기까지 척척 설계한다. 병렬컴퓨팅 환경을 뒷받침하기 때문에 효율도 뛰어나다.다이아몬드처럼 빛날 ‘입샙’의 ... ...
‘어린이과학동아’의 힘! 열혈독자를 만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22호
해 주세요.1주년이 엊그제 같은데 벌써 4주년을 넘어 100호라니 정말 축하드려요. 내친
김
에 100주년까지 꾸준히 계속되면 좋겠어요~!‘어린이과학동아’? 내 머릿속에 있지요~가장 기억에 남는 기사는 무엇인가요?2007년 22호에 나온 비행기 특집이요. 삼촌이 비행기 기장이시라 비행기에 관심이 ... ...
진짜 VS 가짜 음모론의 과학적 해부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21호
있다고 밝혔다. 얼마 뒤에는 바람에 날려 움직인 뒤의 모습이 사진에 찍히기도 했다. 생
김
새가 토끼와 비슷한 건 사실이지만 생명체라는 증거는 어디에도 없다.의혹➌ NASA에서 공개하는 화성의 하늘은 보통 불그스름하다. 이것은 화성의 하늘이 지구처럼 푸르다는 사실을 감추기 위해 NASA가 색을 ... ...
꿀꺽! 마실 수 있는 연료가 있다고?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19호
연료 화염방사기로 지금부터 바비큐를 만들 거예요!”바비큐라는 말에 만세를 부르는
김
기자와 고 기자. 메뉴를 놓고 아옹다옹하던 모습은 간 데 없다.“자, 그럼 요리를 시작합니다~!”화르르~!아…, 그런데 버너와 달리 이 화염방사기는 아직 미완성이었나 보다. 주인 아저씨가 불꽃을 조절하려고 ... ...
넌 유학 가니, 난 유망학과 간다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방학이나 학기 중에 국내외 벤처기업에 인턴으로 입사해 현장에서 실습하고 있다.
김
교수는 “미국에 있는 동문기업이자 소프트웨어개발사인 ‘이미지솔루션’에서 학기 중에 인턴으로 활동할 수 있다”며 “2006년 2학기부터 매학기 1~3명씩 참여하고 있다”고 말했다.고등학생 발길도 끊이지 않고 ... ...
名品
김
연아 회전의 비밀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새하얀 빙판을 가로질러 그녀가 미끄러지듯 다가온다. 긴 팔과 다리를 우아하게 뻗는가 싶더니 한 순간에 공중으로 날아올라 환상의 궤 ... 동선을 긴급 입수해 전격 공개한다.12월 10일부터 열리는 그랑프리파이널에서
김
선수가 펼칠 프로그램을 미리 살펴보며 200점 돌파 여부를 가늠해보자 ... ...
미지의 단백질 구조 밝힌다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1년 동안 혼자 생화학을 공부한 뒤 본격적으로 연구를 시작했다”고 말했다.
김
교수는 “처음에는 서로 다른 영역을 공부하며 힘든 점도 있지만 다양한 전공의 연구원이 모였기 때문에 ‘열린 사고’를 할 수 있는 점이 가장 큰 장점”이라며 “융복합 학문 시대를 이끌 연구원들을 지켜봐 ... ...
탐사기획_제주도 람사르 습지를 가다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흔한 미끈도마뱀. 11월임에도 날씨가 따뜻해 먹이를 찾아 나섰다. (영산강유역환경청
김
영호 씨가 미끈도마뱀 생태를 설명하는 동영상은 동아사이언스 홈페이지(www.dongaScience.com)에서 볼 수 있다.)6 오름 정상으로 가는 길에는 제주도 특산인 제주조릿대가 빽빽이 자란 이국적인 풍경이 펼쳐져 있다.7 ... ...
‘다이아몬드 손’ 가진 과학자 최희욱 교수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것. 1972년부터 독일에서 간호사로 일하던 여성이었는데 부친 회갑을 맞아 귀국한
김
에 최 교수와 선을 봤다. 첫 만남에 ‘필’이 꽂힌 두 사람은 한 달 만에 결혼을 했다. 하지만 신부는 다시 독일로 떠났다.최 교수는 독일어를 공부해 1980년 아내가 있는 베를린의 베를린자유대로 유학을 떠났다. ... ...
이전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