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증기
감태
안개
수증기
해의
잡초
잡풀
d라이브러리
"
김
"(으)로 총 1,778건 검색되었습니다.
의·치의학전문대학원 이공계 재앙인가?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전형요소와 비교했을 때 당락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결코 소홀히 해서는 안 된다.
김
원장은 “지원자들의 평균 GPA는 80점대 후반에서 90점대 초반으로 높은 편”이라며 “특히 수시모집의 경우 MEET의 반영 비율이 정시모집보다 낮기 때문에 GPA가 낮으면 합격 가능성이 많이 떨어진다”고 ... ...
한국해양연구원 동해연구소 개소
과학동아
l
2008년 11호
해저지형 탐사도 연구소가 야심차게 준비하고 있는 연구 분야다. 독도전문연구센터
김
창환 박사는 탄성파를 이용해 동해 해저면 영상 지도를 만들고 있다. 최근 독도 인근 해저지형에 일본 이름이 국제적으로 통용된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이에 대응한 연구가 활기를 띠고 있다.
김
박사는 ... ...
‘텔미’ 춤추는 로봇에서 온기를 느끼다
과학동아
l
2008년 11호
있는 자연스러운 동작을 해야 하는데 이런 DB를 토대로 최적의 움직임을 추출해내지요.”
김
박사는 그 예로 컵을 잡는 방식을 설명했다. 컵이 놓인 주변 환경에 따라 사람은 옆에서 손잡이를 잡기도 하고 위에서 들어 올릴 수도 있듯이 로봇도 궁극적으로는 그래야 한다는 것. 현재 인지로봇연구단이 ... ...
나노세계 발목 잡는 카시미르 힘의 정체
과학동아
l
2008년 11호
미세구조를 이용하면 먼지와 오물이 잘 붙지 않는 자동차 유리나 습기가 잘 차지 않는
김
서림 방지 안경 그리고 비에 젖지 않는 얇은 외투 등을 만들 수 있다.이처럼 초소형 기계 표면의 끌어당기는 힘 자체를 줄이는 방법 외에도 들러붙은 초소형 기계를 물리적인 힘으로 떼어내는 방법도 있다 ... ...
[지구과학]쌍춘년의 주기 계산법
과학동아
l
2008년 11호
정도를 가상실험으로 예측했다. 고층 건물보다 저층 건물의 피해가 상대적으로 컸는데
김
교수는 그 이유를 “실험의 지진파는 2~5Hz 진동수가 우세했는데 이 정도 고유진동수를 갖는 건물이 2~5층이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과학동아 2007년 3월호1) 지진이 발생할 때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대책 ... ...
합성첨가물 안 쓰는 식품개발 꿈꾼다
과학동아
l
2008년 11호
주부들입니다. 이 분들의 평가가 제품 개발 방향을 결정하는데 큰 영향을 미치지요.”
김
센터장의 설명을 들으며 진지하게 맛을 평가하고 있는 모니터 요원들을 둘러봤다.“요즘 MSG를 쓰는 주부들이 있나요? 저희들은 맛만 봐도 MSG를 썼는지 알아요.” 모니터에 참가한 주부 천숙경 씨는 “맛은 ... ...
400만V 번개에 감동, 입체지구와 만나다
과학동아
l
2008년 11호
때 전 세계 구름이 이동하는 모습 등이 3D 애니메이션으로 다이내믹하게 펼쳐진다.
김
소장은 “지구환경이 현재 어떤 문제가 있는지를 실감할 수 있을 것”이라며 “SOS는 한편으로 위기에 빠진 지구를 상징한다”고 말했다.미국해양대기청(NOAA) 지구시스템연구소에서 개발한 이 시스템은 미국 ... ...
논문 쓰고 명문대 유학 간다
과학동아
l
2008년 11호
2007년부터는 외국학생들의 논문도 게재하기 시작했다. 한국과학영재지원정보센터
김
명환 이사장은 “논문 공동저자 중 내용을 모르는 사람은 면접 심사에서 탈락시킬 정도로 논문 심사는 엄격하다”며 “논문 게재율은 30% 정도”라고 말했다. 접수된 논문이 5편 이상이 되면 서류심사가 진행되고 ... ...
아름다운 올림픽 챔피언 몸매
과학동아
l
2008년 10호
9초69라는 세계신기록을 세운 볼트는 그야말로 4차원의 선더볼트(thunderbolt)다. 내친
김
에 그는 200m와 400m 계주에서도 세계신기록을 세웠다.육상 단거리선수는 울퉁불퉁한 근육에 키가 그리 크지 않은 게 보통이었다. 키가 196cm인 볼트처럼 다리가 긴 장신선수는 드물었다. 발을 옮기는 데 시간이 오래 ... ...
바람 잡아 초고층 건물 보호한다
과학동아
l
2008년 10호
수 있는 건물, ‘에어로폴리스2001’. 일본이 1990년대 중반 설계한 초고층 건물이다.
김
박사는 “허무맹랑할 것 같은 이런 건물도 제진기술이 발달한다면 충분히 만들 수 있다”고 말했다. 500층 건물에서 일어나 구름을 내려다보며 커피를 마시는 꿈같은 일이 정말 ‘꿈’만은 아니란 얘기다 ... ...
이전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