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용액
액상
유동체
물
액체공기
공기
유체
d라이브러리
"
액체
"(으)로 총 2,192건 검색되었습니다.
나노미터 크기 물질 꿰뚫어 보는 냉중성자
과학동아
l
2008년 11호
쓴다. 냉중성자는 원자로에서 핵분열이 일어날 때 생긴 열중성자를 영하 250℃의
액체
수소에 통과시켜 만든 중성자로 에너지는 낮고 파장은 길다. 냉중성자(0.4~2nm)는 열중성자(0.1nm 이하)보다 파장이 길어 나노미터 크기의 분자 조립체를 측정할 수 있다. 최 교수는 “파장이 짧은 열중성자는 ... ...
바꿔, 바꿔! 놀라운 발명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10호
노벨은 다이너마이트라는 고체 폭탄을 발명했다. 불안정해서 폭발 사고가 많이 발생하는
액체
폭탄을 규조토라는 물질에 흡수시켜 고체로 만든 것이다. 노벨은 광산이나 건설 현장에서 폭발 사고로 사람이 다치는 걸 막기 위해 다이너마이트를 발명했지만, 오히려 다이너마이트는 전쟁터에서 ... ...
피아노 건반을 사랑한 물리학자 김지수
과학동아
l
2008년 10호
만났을 때 일어나는 다양한 표면현상을 연구했다. “기판이라는 고체에 안료를 분산시킨
액체
를 찍는 과정을 조절하려면 물질의 물리적 특징을 이해해야 합니다. 동료 대부분은 화학자인데 저는 학부 때 물리학을 전공해 서로 다른 관점에서 문제를 바라봅니다.”현재 프린팅 기법은 LCD 패널뿐 ... ...
[지구과학]암석의 변성작용
과학동아
l
2008년 10호
작고 분자 간 인력이 작은 물질의 증기압력이 크다. 물과 얼음은 분자량이 같으나
액체
인 물이 고체인 얼음에 비해 분자 간 인력이 작으므로 증발이 쉽게 일어나고 증기압력이 커진다. 과냉각된 물은 얼음 알갱이에 비해 포화수증기압이 크다 ... ...
[생물]곰팡이도 물총 쏴서 포자 퍼뜨린다
과학동아
l
2008년 10호
4~5배 큰 압력이 걸려 있다. 이 상태에서 자낭과 포자가 붙어 있는 부분에 균열이 생기면
액체
가 분출하면서 포자를 밀어낸다. 마치 끝에 마개가 달린 물총을 꼭 쥐고 있다 놓으면 마개가 벗겨지며 분출하는 물의 추진력으로 날아가는 것과 같은 현상이다.머니 교수는 “18만g라는 가속도는 자연계에서 ... ...
[화학]대기권을 통과하는 소리
과학동아
l
2008년 10호
속력은 매질의 압축성과 밀도에 의존한다. 만약 매질이 부피탄성률 B와 밀도 ρ를 가지는
액체
나 기체라면 매질 안에서 음파의 속력은 v=√B/ρ과 같다. 부피탄성률 B란 압력 변화에 따른 부피의 변화비에 해당하고 매질의 탄성도를 의미하며 B=-△p/△V|V과 같이 나타난다. 소리가 공기를 지날 때 기체 ... ...
[물리]유체의 운동 원리
과학동아
l
2008년 10호
넣으면
액체
헬륨이 얇은 막을 이뤄 물통 벽을 따라 상승해 물통 속으로 들어간다. 물통을
액체
표면에서 들어올리면 다시 벽면을 따라 물통 밖으로 되돌아간다. 이 현상은 물과 같은 보통 유체에서는 결코 일어나지 않는다 ... ...
해양유체역학
과학동아
l
2008년 10호
공기와 물은 둘 다 유체이므로 기본적인 성질이 같다. 그러나 압축성인가 비압축성인가,
액체
인가 기체인가와 같은 기준에 따라 공기와 물은 서로 다른 성질을 띤다.해양유체역학은 바다라는 유체와 관련된 연구 분야를 통칭하는 학문이다. 지구의 3분의 2가 바다로 돼 있고, 바다의 대부분이 ... ...
KSTAR 최초 플라스마 발생 실험 성공
과학동아
l
2008년 09호
플라스마 발생 실험을 준비한 지난 수개월은 피 말리는 시간이었다”고 고백했다.특히
액체
헬륨을 담는 저온용기는 외부와 연결되는 포트개수가 210개, 용기 내부로 관통하는 헬륨냉각 배관길이가 1960m, 용접개소가 1만 5000여 곳이나 되기 때문에 위험이 가장 컸다. 만약 실험 중 진공누설이 일어나면 ... ...
낙하하는 빗방울의 속도
과학동아
l
2008년 09호
v=200m/s다. 시속으로 계산하면 720km/h에 이르는 매우 빠른 속도다. 아무리 작은 질량을 가진
액체
라 해도 이 정도 속도로 떨어진다면 지면의 생명체는 물론이고 다른 물체에도 치명적인 충격을 줄 수 있다. 공기저항이 없는 상황에서 지표면에 생명체가 존재하기는 힘들다.만약 비의 낙하 높이가 8km이면 ... ...
이전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