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학
유전
유전자공학
d라이브러리
"
유전공학
"(으)로 총 1,302건 검색되었습니다.
모기의 침에 도전한다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극미의 시계를 추구하는 미소기기분야는 사람혈관 속에서 촬영하고 투약하며 수술까지 할 수 있는 마이크로 로봇을 탄생시키려 하고 있다.1970년대 초부터 개발되기 시작한 집적회로(IC, Intergrated Circuit) 제작기술은 여러분야로 파급돼 미소체물리학(microphysics), 미소전기기계 미소전자기계 등의 분야 ... ...
3. 경계선 모호해진 과학과 공학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집중됐기 때문에 기업체나 연구소에서 이들을 탐탁치않게 여기고 있다고 한다. 또
유전공학
같은 분야는 개설 당시 예상했던 것보다 졸업생들의 진로가 불투명하다. 연구성과가 단기간에 나타나지않는다는 핑계로 기업들이 투자를 꺼리고 있기 때문이다. 과학기술인력의 수급에 관해서 '이만한 ... ...
"이제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은 없다"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해당지역에서는 자연적으로 기름을 분해하는 박테리아가 늘어난다. 이를 응용해
유전공학
으로 대량의 박테리아를 기르거나 자연산 박테리아를 모아 오염지역에 집중살포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 방법에는 아직 많은 논란이 따르고 있다.가장 큰 문제는 인위적인 미생물살포가 기존의 생태계를 ... ...
게놈프로젝트의 신병기로 떠올라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프로젝트'로 통하는 게놈계획은 전세계가 참여하고 있다. 우리도 예외는 아니어서
유전공학
센터를 중심으로 연구가 서서히 진행되고 있다.1백35년 전 멘델이 유전자의 존재를 암시한 이래 유전자의 정체를 밝히고자 하는 시도가 꾸준히 이어져 왔다. 인간유전자의 경우도 예외가 아니어서 그동안 총 ... ...
보이지 않는 전선(戦線)에 서서 지금 유학현장에서는…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과학자들에 의해 우연히 발견됐다. 페니실린의 발견이 그러했고 분자생물학의 도약과
유전공학
으로의 문을 열어준 제한효소의 발견이 그러했다. 애당초부터 무엇을 발견하며 어떻게 응용해서 영리를 얻어야겠다는 계획하에 이루어진 혁신은 거의 없었다. 대부분의 혁신은 다른 연구를 하다가 ... ...
남북과학기술교류 물꼬트는 한국의 과학자들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현대화를 달성하기 위해 최우선 과제가 과학기술의 발전"임을 밝히고 전자·자동화공업,
유전공학
등 첨단기술을 집중육성하고 있다. 북한은 88년 과학기술발전3개년계획을 다시 발표해 목표달성을 독려하고 있는데, 대내적으로는 '과학기술축전' 등 전국규모의 기술경진대회를 86년부터 시행하고 ... ...
활용분야 넓혀가는 클린룸기술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병원체나 이에 감염된 동물의 연구가 인간 및 생태계에 주는 생물재해를 말한다.
유전공학
, 실험동물 실험실, 원자력 시설 등에 적용되며 생물용 클린룸은 외부의 미생물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는데 비해 바이오해저드 클린룸은 실내에서 발생되는 위험한 미생물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 ...
PARTⅢ 분자생물학의 기본언어들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작물과 해충저항성 작물이 개발돼 있다.요컨대 DNA재조합기술 유전자도입기술과 같은
유전공학
기술은 생명의 본질을 이해하는데 크게 기여하고 있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얻어진 지식은 고부가가치 단백질의 대량생산, 유전병의 치료, 작물과 가축의 품종개량에 이르기까지 다양하게 이용되고 ... ...
PARTⅤ 한국
유전공학
의 현주소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다시 말해 공학적인 면보다는 생물학적인 면이 강조되는 학문인 것이다.현재 대학부설
유전공학
연구소가 설치된 곳은 18개교. 이들은 주로 문교부에서 연구비를 지원받는다. 년에는 모두 1백11과제에 9억5천8백만원의 연구비가 지원됐다.
유전공학
관련학회로는 한국생화학회 한국분자생물학회 ... ...
식인종을 떨게 하는 「꼬마」 프라이온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이런 불운이 닥칠 가능성은 크게 줄어들었다. 뇌하수체에서 직접 얻던 성장호르몬을
유전공학
적 기술로 추출할 수 있게 되었기 때문이다. 또 조직이식의 경우 의학기술의 발전으로 감염확률이 크게 줄었다고 할 수 있다.양이나 염소에게도 유사한 질병이 있다는 사실이 오랫동안 알려져 왔다. 이 ... ...
이전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