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학
유전
유전자공학
d라이브러리
"
유전공학
"(으)로 총 1,302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1 대덕연구단지 92년 완성 앞둔 과학문화도시
과학동아
l
1990년 10호
한국조폐공사의 기술연구소가 들어서 있다.이들 가운데 시스템공학센터와
유전공학
센터 과학기술원 국립중앙과학관 대전지방환경청 네곳은 올 3월과 6월 사이에 새로 입주한 새 식구다.연구단지 안에는 또 최근 일류대학에 합격자를 많이 내고 있는 대덕고등학교를 비롯해 국민학교 4개, 중학교 ... ...
PART2 실리콘 밸리
과학동아
l
1990년 10호
퍼스널컴퓨터 비디오게임 레이저기술 무선전화 디지털시계 등을 탄생시킨 실리콘밸리에는 오늘도 아이디어 하나로 일확천금을 꿈꾸는 과학기술자들이 몰려들고 있다.실리콘 밸리(Silicon Valley)를 찾는 방문객들은 대다수가 실리콘 밸리의 관문인 산호세(San Jose) 공항에 내리게 된다. 공항에 내려 산 ... ...
'수의사를 좋아하세요?'
과학동아
l
1990년 10호
오늘날 수의사는 동물치료 뿐 아니라 공중보건 우주개발계획에까지 참여한다.며칠 전 실험실에 앉아 책을 보고 있는데, 원고 청탁이 들어왔다. 평소 글을 쓰는데 자신을 갖고 있던 터라 쾌히 청탁을 받아 들였다. 더구나 입학후부터 내가 지원해 공부하는 수의학을 업신여기거나, 뭘 아느냐, 그게 ... ...
첨단 기술과 예술의 접목
과학동아
l
1990년 10호
창출한 시뮬레이션 영상은 우주산업에 활용되는 것 이외에도 생체실험용 애니메이션과
유전공학
분야에도 기여하게 되었으며, 공업 및 산업디자인 영화예술 분야 방송기술분야와 심지어 광고 분야에서도 다양하게 활용되기 시작했다.그러나 최근들어 이렇게 여러방면에서 다양하게 이용되는 ... ...
PART III 최첨단 암치료법
과학동아
l
1990년 09호
뿐이다. 또 이들 단독으로 몇가지 특수한 암을 치료하려는 시도도 이루어지고 있다.
유전공학
의 발달에 따라 인터페론이나 인터루킨 등의 대량생산이 가능해 기대되고 있다. 이러한 면역치료는 암치료의 보조치료제이며 암완치율을 다소 높이는데 공헌할 것으로 기대된다.암항체(monoclonal antibody)의 ... ...
기름을 분해하는 박테리아
과학동아
l
1990년 08호
유전지역에서 수집된 각종 박테리아 가운데 가장 활성이 높은 것들을 모은 자연산으로
유전공학
적 기법을 사용하여 만든 박테리아는 아니다. 멕시코만 해변에서 1백km 가량 떨어진 지역에서는 지금도 유조선 머그보그호가 기름을 유출시키면서 불타고 있다…'.물질순환의 장본, 박테리아박테리아란 ... ...
과학고·과기대 가는 길
과학동아
l
1990년 08호
출제되고 있다. 또 시사성있는 문제도 심심찮게 나온다. 예를 들어 작년 생물문제 중에는
유전공학
에 관한 문제가 출제됐다. 유전자 운반체로 주로 쓰이는 미생물 속의 고리모양을 한 DNA덩어리인 작은 염색체의 이름을 묻는 문제였다. 물론 답은 플라스미드다. 이런 유형의 문제에 대비하려면 평소에 ... ...
차별과 텃세속에 독자적인 길 걸어
과학동아
l
1990년 08호
55·뉴브룬스윅대 식물유전학교수) 이영(58·카레톤연구소·유체역학) 이병훈(48·맥길대
유전공학
교수) 정영섭(53·몬트리올대·미생물유전학) 등이 쟁쟁한 활동을 벌이고 있다.운동복차림으로 망명한 북한과학자들이제 유럽으로 건너가 보자.유럽대륙선 우선 독일 뮌헨공대 교수로있는 김재일박사(54 ... ...
Ⅴ 식물호르몬─생로병사의 열쇠
과학동아
l
1990년 07호
마침내 이 세균의 유해한 면들을 인간에게 유용한 방향으로 돌려 놓았을 뿐더러 식물
유전공학
의 길을 열게 하였다. 또한 옥신의 일종으로 인공합성된 2.4-D는 식물의 과속(過速) 생장을 유발시켜 결국 식물은 죽게하는 제초제로 개발되었다.식물호르몬에 대한 연구는 동물호르몬 연구에 비교하면 ... ...
서해안은 자원의 보물창고
과학동아
l
1990년 07호
최근 정부가 남북한 공동개발을 제안하는 등 대륙붕에 대한 관심이 어느 때보다 높다.우리는 불과 10년후로 다가선 21세기를 찬란한 첨단과학 문명시대가 될 것이라고 기대하면서도 지구의 환경문제와 자원의 취약성을 우려하고 있다. 특히 최근에 빈번히 거론되고 있는 이상기온 현상, 세계 각지의 ... ...
이전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