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크기"(으)로 총 7,957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동아천문대장이 내는 이달의 퀴즈 & 천체사진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6호
- 이에 어울리는 6회 별빛미션을 준비했습니다.2006년 국제천문연맹총회는 명왕성의 크기나 궤도 등에 큰 변화가 없는데도 명왕성을 행성에서 제외했어요. 그 이유가 무엇일까요? 댓글로 자신의 생각을 멋지게 쓴 친구 중 한 명을 뽑아 별빛 미션왕을 선발할 예정이니 많이 참여해 주세요 ... ...
- [융복합 파트너@DGIST] '씨앗' 키워 정제까지...친환경 퀀텀닷 레시피과학동아 l2020년 06호
- 교수팀은 인화인듐을 1.9nm 크기의 ‘씨앗’ 형태로 만든 뒤 이를 키우는 방식으로 일정한 크기의 퀀텀닷 입자를 구현하는 방법을 개발했다. 연구팀은 490~650nm 파장을 흡수해 붉은 색을 구현하는 퀀텀닷을 제작하면서 씨앗 입자를 키웠고, 이를 한 번 더 분리해서 정제했다.또 퀀텀닷 핵심물질을 다른 ... ...
- [가상인터뷰] 나비, 날갯짓으로 체온을 유지한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5호
- 비늘구조에서 반사된 빛이 만들어낸 색이야. 현미경으로 나비 날개를 확대해 보면, 나노 크기의 비늘들이 마치 기와를 얹은 것처럼 층층이 쌓여 있지. 여기에 빛을 비추면 특정 파장의 빛만 반사되고 나머지는 통과해. 이때 반사되는 빛이 우리의 눈에는 나비의 색으로 보이는 거야. 이러한 구조를 ... ...
- [과학동아천문대 소식] 왜소은하 찾고, 시민과학자가 되어 봐요!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5호
- 보이는 천체를 직접 고르는 거예요. 이미지를 분류하기 위해 인공지능을 많이 쓰지만, 크기가 작고 흐릿한 왜소은하를 분류하기엔 인공지능으로 부족하거든요. 우주를 좋아하는 어과동 친구들이라면 누구나 환영해요! 참여 방법은 과학동아천문대 홈페이지(star.dongascience.com)에 있으니, 참고하세요~! ... ...
- [한페이지 뉴스] 심우주 첫 손님, 오무아무아 탄생의 비밀과학동아 l2020년 05호
- 인근 항성의 조력(tidal force)에 의해 천체가 찢겨져 생성됐을 가능성을 확인했다. 수 km 크기의 장주기 혜성이나 행성 등이 백색왜성 또는 질량이 낮은 주계열성 항성의 궤도 주위로 다가가 찢겨졌고, 그 결과 길쭉한 모양의 오무아무아가 됐다는 것이다.논문의 제1저자인 장 윈 중국과학원 ... ...
- 드라마 ‘그 남자의 기억법’으로 살펴본 과잉기억증후군과학동아 l2020년 05호
- 기억을 담당하는 영역인 해마곁이랑과 미상핵, 뒤쪽뇌섬엽, 마루엽속고랑 등 9개 영역의 크기와 모양이 일반인과 다르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doi: 10.1016/j.nlm.2012.05.002 기억은 뇌의 해마와 편도체, 대뇌피질에 있는 뉴런에 구조적 변화가 일어나며 형성되는데, 특히 자전적 기억은 해마와 해마곁이랑 ... ...
- 1990년 우주로…허블우주망원경, 30년의 대기록과학동아 l2020년 05호
- 정식 명칭은 ‘J043947.08+163415.7’이다. 밝기는 태양의 600조 배다. ●Law 우주의 나이와 크기를 결정하는 것 중 하나는 허블상수다. 천문학자들에게 가장 정확하게 측정된 허블상수 값은 늘 관심의 대상이다. 허블상수는 우주의 팽창속도를 나타내는 수치로, 그 역수는 우주의 나이에 비례한다. 그래서 ... ...
- [퀀텀닷 완전정복] 카드뮴 없앤 친환경 퀀텀닷과학동아 l2020년 05호
- 역시 기술적으로 어렵더라도 친환경 소재로 전환하는 게 당연하다”며 “퀀텀닷은 크기를 달리하면 물질의 특성이 바뀌는 장점 덕분에 친환경으로 전환해도 기존의 효율을 다시 따라잡는 것이 다른 산업보다 유리하다”고 말했다 ... ...
- NASA 신입 우주인 공채, 스펙과 연봉 전격 분석과학동아 l2020년 05호
- 박사는 최근까지 심장 조직을 이용해 실험을 했다. 인간 유도만능줄기세포(iPSC)로 쌀알 크기의 심장 근육 조직을 만들어 여기에 영양을 공급하고 보존하며 미세중력이 심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했다.그는 1999년 미국 브라운대 생물학과를 졸업하고, 스크립스해양연구소에서 2009년 ... ...
- [과학동아 키즈] 아나운서에게 과학이란 "세상은 과학과 연결돼 있다"과학동아 l2020년 05호
- 중학교 2학년 때 전국 중학생을 대상으로 한 발명대회에서 ‘김밥을 한 번에 같은 크기로 자르는 장비’로 상을 받기도 했다. 실제로 사용해보니 김밥이 다 터지는 작은(?) 부작용이 있어 사용하지는 않았다.플러버에서 시작된 과학동아와의 인연은 고등학교 때까지 이어졌다. 고등학교 2학년 때 ... ...
이전10810911011111211311411511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