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크기"(으)로 총 7,957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동아 키즈] 아나운서에게 과학이란 "세상은 과학과 연결돼 있다"과학동아 l2020년 05호
- 중학교 2학년 때 전국 중학생을 대상으로 한 발명대회에서 ‘김밥을 한 번에 같은 크기로 자르는 장비’로 상을 받기도 했다. 실제로 사용해보니 김밥이 다 터지는 작은(?) 부작용이 있어 사용하지는 않았다.플러버에서 시작된 과학동아와의 인연은 고등학교 때까지 이어졌다. 고등학교 2학년 때 ... ...
- [과학뉴스] 태양 표면, 초근접샷 공개!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4호
- 곳이지요. 사진에서는 쌀알무늬 하나의 크기가 매우 작아 보이지만, 실제론 한반도 크기의 세 배에 달할 정도로 크답니다.이 사진은 작년 12월, 미국 하와이의 할리아칼라 천문대에 있는 다니엘 K. 이노우에(이하 이노우에 망원경) 태양 망원경으로 촬영한 거예요. 이 망원경은 반사경의 지름이 약 4m ... ...
- [통합과학 교과서] 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4호
- 비명 소리가 나는 거예요. 소리가 난 곳으로 가 보니 글쎄 거대한 뼈가 나와 있더라고요. 크기가 엄청나게 큰 게, 분명 괴물의 뼈가 분명해요! 탐정님, 무슨 일인지 어서 가서 조사해 주세요!”개미군의 말을 들은 탐정은 머리가 복잡해졌어요.‘땅속에 거대한 뼈라…. 혹시 우리 마을에도 그것이 ... ...
- [한페이지 뉴스] 거북 개미의 진화는 거꾸로도 간다과학동아 l2020년 04호
- 띠고 있다.연구팀은 군인 계급인 거북 개미의 머리가 어떻게 진화했는지 알기 위해 머리 크기와 형태를 기준으로 분류한 거북 개미 89종의 유전정보를 분석했다. 그 결과 유전적으로 가장 오래된 군인 거북 개미의 머리 형태는 사각형이었고, 지금까지 11종류의 형태가 출현했다가 현재는 4종류만 ... ...
- [퀀텀닷 완전정복] 퀀텀닷으로 암 진단까지?!과학동아 l2020년 04호
- 비해 10~50배 강한 빛을 발할 수 있어 신체를 통과해 바깥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퀀텀닷의 크기를 조절하면 신체 구성 물질이 흡수하지 않는 700~900nm 대역의 근적외선 파장의 빛을 발하게 만들 수도 있다.김성지 포스텍(POSTECH) 화학과 교수는 2017년 퀀텀닷에 암을 탐지하는 프로브를 결합해 암 조직 ... ...
- [별 헤는 수학] 중력의 비밀을 밝히는 시민 천문학자, 그래비티 스파이수학동아 l2020년 04호
- 너무 작아서 실제로 확인하기 어렵다는 것이었습니다. 계산 해보니 중력이 요동치는 크기 차이가 아무리 커도 10의 21승 분의 1 밖에 되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아인슈타인은 중력파를 그저 수학적인 계산 결과라고만 생각했습니다.그런데 100년 뒤인 2016년에 아인슈타인도 깜짝 놀랄만한 사건이 ... ...
- [화장실의 변신 ②] 물을 적게 쓰는 변기 등장!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4호
- 아무리 비가 많이 와도 젖지 않고 표면에 물방울이 굴러다녀요. 꽃잎 표면에 나노 크기의 미세한 돌기들이 물방울의 표면장력을 높여 액체가 미끄러지는 거예요. 연구팀은 나노(10억분의 1m) 물질인 규소화합물을 변기 안쪽에 펴 발라 미세한 돌기를 만들었어요. 그리고 나노 코팅의 효과를 알아보기 ... ...
- [스미스의 탐구생활] 로봇이 장애물을 피하는 방법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4호
- 로봇 청소기는 주변으로 적외선을 쏘아 진행 방향에 놓인 장애물의 거리와 크기 등을 가늠해요. 앞에 장애물이 있으면 적외선이 장애물에 부딪혀 반사되는데, 로봇 청소기는 이때 되돌아오는 적외선의 세기를 감지하거나 적외선이 되돌아오는 데 걸린 시간을 계산해 장애물과의 거리를 가늠할 수 ... ...
- [잡터뷰] 공대 연구실에 웬 아티스트? 로봇디자이너 송정률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4호
- 제작하자고 제가 아이디어를 냈고요. 하지만 개발 과정에서 동료 연구원들이 몸체까지 크기를 조절하는 건 무리고, 부품을 효율적으로 넣기 위해 육면체로 만들자고 주장했죠. 저는 몸체가 육면체면 자동차를 예쁘게 만들기 어렵다고 반대했고요. 결국 천산갑의 곡선을 유지한 스누맥스가 ... ...
- 아로코스, 행성 탄생 이론 뒤집나과학동아 l2020년 04호
- 45억~70억km 떨어진 지역. 태양계 형성 초기에 행성이 되지 못한 채 남은 다양한 크기의 암석이나 얼음 소행성 무리가 있다.* 야르콥스키 효과 (Yarkovsky-O’Keefe-Radzievskii-Paddack effect) 이반 야르콥스키 등 네 명의 과학자가 만든 소행성의 운동을 기술하는 효과. 태양풍 등의 영향을 계산해 태양계 내 . ...
이전11011111211311411511611711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