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높은사람"(으)로 총 1,501건 검색되었습니다.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자신을 잘 통제하는 사람이 쓰는 세 가지 전략2019.01.26
- 자기통제력이 높은 사람들은 목표를 달성했을 때의 긍정적인 결과 떠올리기와 하위 목표 만들기, 기분 전환하기의 세 가지 전략을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게티이미지뱅크 어떤 일을 하는 이유가 ‘내가 원해서’일 때, 그렇지 않을 때에 비해 목표 달성률이 높은 편이다. 일례로 같은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내가 나의 지옥일 때2019.01.19
- 내가 나를 대하는 태도가 중요한 이유는 내가 바로 나의 지옥이면 이 세상 어디서 무엇을 하든 늘 지옥이기 때문이다. 게티이미지뱅크 “하루에 네 시간만 자면서 운동도 하고 일도 하고 가정도 돌보고 학위도 따는 사람들도 있는데 그에 비하면 나는 쓰레기야”라고 말해버릇 하는 친구가 있다. 그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우월감 높으면 음모론에 잘 빠진다2019.01.12
- 음모론을 잘 믿는 사람들의 특징은 무력감, 상대적 박탈감, 낮은 통제감, 높은 불확실성을 느끼는 편이라고 한다. 게티이미지뱅크 세상을 조종하는 소수의 엘리트 집단이 있다거나 탄탄한 근거들이 존재하는 사실들도 음모이고 조작이라고 생각하는 등 비교적 음모론에 빠지기 쉬운 사람이 있는 반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자기통제를 잘 하는 사람은 있고 그렇지 않은 사람에겐 없는 것2019.01.05
- 자기 통제를 잘 하는 사람과 그렇지 않은 사람은 설정하는 목표의 성격이 조금 다르다. 게티이미지뱅크 많은 사람들이 연초에 수많은 다짐을 한다. 하지만 그 다짐을 지키는 사람과 그렇지 못하는 사람이 있다. 그 차이는 무엇일까? 심리학자들은 목표 성취에 방해되는 유혹을 뿌리치고 바람직한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우울증이 말하는 법2018.12.29
- 우울증 환자들의 경우 조금 나쁜 걸 최악인 일로 생각하는 등 부정적인 방향으로 생각하는 정도가 심하다. 게티이미지뱅크 언어는 생각을 담기 마련이다. 최근 ‘우울증’ 환자는 어떤 언어를 사용하는지, 우울증의 언어는 어떤 것인지 살펴본 연구가 나왔다. 영국 리딩대 심리학자 모하메드 알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받는 기쁨보다 주는 기쁨이 더 오래간다2018.12.22
- 삶을 풍요롭게 하는 경험을 늘려가는 것이 오래가는 행복감을 가져온다. 게티이미지뱅크 행복해지는 데 필요한 건 뭘까? 좋은 직장, 적정한 소득, 원만한 인간관계, 맛있는 음식, 초콜렛 등 다양한 방법으로 우리는 행복해지기 위해서 노력한다. 하지만 안타까운 사실은 이 모든 것을 성취해도 여전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미세먼지 몸통 검댕 나노입자의 탄생2018.12.05
- 아직 본격적인 겨울이 시작하지도 않았는데 신문에는 벌써 ‘삼한사미(三寒四微)’라는, 수년 전 만들어진 용어가 등장하고 있다. 이 말의 원조인 ‘삼한사온(三寒四溫)’은 우리나라 겨울이 사흘은 추워도 나흘은 포근해서 버틸 수 있다는 뜻으로 ‘삼한’이 겨울의 부정적 측면이었지만, ‘사흘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존경과 사랑에 빠지는 기쁨2018.12.01
- 진정한 겸손함이란 자신을 낮추는 것이 아니라 ‘타인을 높이는 것’이라는 말이 있다. 나를 높이는 게 아니라 타인을 높이는 게 뭐가 좋을까 싶지만 때로 귀한 선행을 목격하거나 엄청난 재능을 가진 사람들을 보는 등 타인의 대단함과 멋짐을 보는 것 또한 우리에게 뜻밖의 감동과 기쁨을 선사해 ... ...
- 우주발사체용 로켓엔진이란 무엇인가…10개국만 보유한 극비기술동아사이언스 l2018.11.28
- 한국형발사체(KSLV-Ⅱ) ‘누리호’의 주 엔진 검증용 시험발사체가 27일 전남 고흥 나로우주센터에서 세워져 있다. 시험발사체는 28일 오후 4시 발사될 예정이다. -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제공 우리 손으로 개발한 첫 우주로켓용 엔진인 75t액체엔진 성능을 검증할 시험발사체가 28일 오후 4시 전남 고흥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세놀리틱은 노화를 지연시킬 수 있을까2018.11.28
-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매년 10월 초 3일 동안 우리나라는 ‘노벨과학상 앓이’를 겪는다. 올해는 첫날 생리의학상에서 일본인 수상자가 나오면서 좀 더 심하게 앓은 것 같은데(‘노벨과학상 수상자 23대 0’ 같은 자조적인 기사 제목도 있었다) 아무튼 딱한 일이다. 노벨상을 받으려면 어떤 분야를 ... ...
이전10810911011111211311411511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