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문
대회
학식
국제올림픽위원회
국제
올림픽
위원회
뉴스
"
학술
"(으)로 총 14,909건 검색되었습니다.
0.015원어치 백금으로 수소전지 성능 21배 높인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2.25
금속나노입자의 고온 전기화학적 촉매 특성 정밀 평가를 위한 전극 구조를 모식도로 나타냈다. KAIST 제공 약 0.015원의 가치를 가진 백금 3 ... 에너지기술 상용화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
학술
지 ‘네이처 나노테크놀로지’ 온라인 18일자에 발표됐다 ... ...
류머티스관절염 원인 알고보니 '방관자 면역세포'
동아사이언스
l
2019.02.25
T세포’가 자가면역질환의 원인이라는 사실을 발견했다고 25일 밝혔다.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
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 12일자에 발표됐다. 우리 몸은 '전과자 관리'를 잘 하는 뛰어난 면역 체계를 갖고 있다. 면역 체계에서는 T세포로 대표되는 면역세포가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데 우리 몸에는 ... ...
머리 좋은 것보다 사회적 지능 높아야 훌륭한 리더 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2.25
발휘되어야만 한정된 자원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를 이달 20일 국제
학술
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에 실었다. 연구팀은 216명의 미국 대학생 참가자를 상대로 한정된 자원 이용에 관한 심리학 실험을 진행했다. 연구팀은 실험에 앞서 참가자들의 일반 지능과 사회적 지능을 ... ...
물질 바깥만 전류 흐르는 '위상부도체' 실험으로 구분
동아사이언스
l
2019.02.25
전혀 새로운 전자장치의 개발의 초석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
학술
지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 14일자에 발표됐다. 박노성 울산과학기술원(UNIST) 자연과학부 교수. UNIST 제공 ... ...
"中 허젠쿠이 유전자편집 아기 뇌졸중도 안 생겨"
동아사이언스
l
2019.02.24
관련 있는 유전자 CCR5를 없애면 기억과, 학습, 인지 능력도 뛰어나다는 연구 결과를 국제
학술
지 '셀' 21일자에 밝혔다. 새로운 경험을 하면 뇌 세포 간 연결망이 생기면서 기억 및 학습능력이 생긴다. 연구팀은 CCR5 유전자를 억제한 쥐를 관찰한 결과 뇌 세포 사이의 연결망을 형성하는 속도가 ... ...
수억 개 세포가 빛을 단일 이미지로 보는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19.02.24
연결하는 신경회로 중 망막신경절세포가 공통적인 정보를 분류한다는 연구결과를 국제
학술
지 '뉴런' 21일자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쥐가 시각정보를 어떻게 인지하는지 연구한 결과 시각정보를 공통적으로 분류하는 망막신경절세포가 30여 개 있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이런 망막신경절세포는 ... ...
인간도 지구자기장을 느낀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2.24
인간 정신활동의 상호작용을 탐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 연구결과는 국제
학술
지 ‘플로스원’ 14일자에 발표됐다. 채권석 경북대 생물교육과 교수. 한국연구재단 제공 ... ...
[표지로 읽는 과학]절대영도 가까운 극저온에서 탄생시킨 페르미온 분자
동아사이언스
l
2019.02.24
제공 아무렇게나 날아다니는 초파리를 가둬놓은 걸까. 국제
학술
지 사이언스는 투명한 상자 안에 갇혀 있는 작은 분자들의 모습을 22일자 표지에 실었다. 작은 분자들은 상자를 열기만 하면 바로 쏟아져 나올 것처럼 이리저리 떠다니고 있다. 이 그림은 절대영도에 가까운 극저온에서 분자를 매우 ... ...
저녁시간 강도 높은 운동하면 건강·꿀잠·다이어트 효과 '일석삼조'
동아사이언스
l
2019.02.24
힘든 운동이 숙면에 좋고 식욕도 떨어뜨리는 효과가 있다는 연구 결과를 미국 생리학회
학술
지인 '실험생리학' 20일자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실험참가자 11명에게 각각 아침 6~7시, 오후 2~4시, 저녁 7~9시에 자전거를 타게 했다. 이 시간 동안 실험참가자들은 1분간 자전거를 온 힘을 다해서 탄 뒤 ... ...
자궁경부암 백신 등장하자 바이러스가 사라지고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2.23
자궁경부암 백신이 상용화된 2006년부터 HPV 고위험종이 점차 감소했다는 연구결과를 국제
학술
지 '미국 암학회지' 21일자(현지시간)에 발표했다. 자궁경부암은 HPV가 피부 접촉 등을 통해 전염시키는 질환이다. 백신은 바이러스를 감싸고 있는 껍질(캡시드)을 이용해 만드는데, 바이러스가 자궁경부 ... ...
이전
1130
1131
1132
1133
1134
1135
1136
1137
113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