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문
대회
학식
국제올림픽위원회
국제
올림픽
위원회
뉴스
"
학술
"(으)로 총 14,909건 검색되었습니다.
加연구팀, 젊은 뇌 만드는 약물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02.17
연례
학술
대회에서 공개했다. AAAS는 미국 과학기술자들이 참여하는 최대 민간단체로 국제
학술
지 ‘사이언스’를 발간한다. 연구팀이 기억력이 떨어지는 증상을 보이는 쥐에게 먹인 벤조디아제핀은 불안과 불면증 치료에 쓰이는 중추신경 억제 계열의 약물로 정신 안정제용 화합물이다. 약물을 ... ...
美대통령 과학보좌관 "트럼프도 과학의 강력한 지지자"
동아사이언스
l
2019.02.17
보좌관이 된 이후에는 달라졌다. 연방정부의 빚이 나날이 늘어가는 마당에 정부가 대학
학술
연구의 중요한 역할을 맡을 필요가 없다고 주장했다. 그는 “초거대 기업들이 자율주행차 등의 기술에 많은 연구비를 투자하고 있고 여러 재단들도 수백만 달러를 중요한 분야에 투자 중이다. 주요 ... ...
[표지로 읽는 과학]동일한 생존전략 택한 세 지역의 토끼들
동아사이언스
l
2019.02.17
제공 국제
학술
지 ‘사이언스’는 새하얀 설원 속 고개를 빼꼼히 내밀고 있는 눈덧신토끼의 모습을 표지에 실었다. 캐나다와 알래스카에 사는 눈덧신토끼는 여름에는 노란색이나 회색 혹은 갈색으로, 겨울에는 순백색으로 몸빛깔을 바꾼다. 계절에 적응하기 위해 진화한 것인데 최근 생각지도 못한 ... ...
美연구진 "지방 없으면 운동효과도 無"
동아사이언스
l
2019.02.17
내성을 높이고 혈중 지방 수치를 낮추는 단백질이 혈액으로 분비된다는 연구결과를 국제
학술
지 ‘네이처 신진대사’ 온라인판에 게재했다. 지방 세포는 아디포카인이라는 단백질을 분비한다. 지방 세포가 많아지면 많아질수록 아디포카인의 양이 늘어나고 이는 신진대사와 건강에 나쁜 영향을 ... ...
토성의 ‘절대 고리’가 사라진다
2019.02.16
석·박사학위를 받았다. 달 표면의 우주풍화 현상과 편광 특성을 연구하며 모교에서
학술
연구교수로 재직 중이다. 관련기사 : 과학동아 2월호 [SPACE] 토성의 ‘절대 고리’가 ... ...
생물학 논문 속 '사사'에 숨어있던 '히든 피겨스'
동아사이언스
l
2019.02.16
두고 프로그래머가 남성의 직업이 되자 저작권을 인정받기 시작했다고 분석했다. 국제
학술
지 ‘이론 집단생물학’ 측은 이번 연구결과를 높이 평가했다. 노아 로젠버그 이론 집단생물학 편집장은 “연구가 지난 세월 이론 집단생물학 분야에서 연구가 어떻게 수행됐는지를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을 ... ...
[표지로 읽는 과학]낮은 주파수 대역에서 '외계 신호'를 포착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2.16
제공 이번 주 국제
학술
지 ‘네이처’는 파란 하늘을 향해 커다란 그물들을 펼쳐 놓은 듯한 광경을 표지로 실었다. 캐나다 브리티시컬럼비아주의 차임(CHIME) 천문대에 있는 ‘차임 전파망원경’이다. 전파망원경은 천체가 내뿜는 전파를 모아 그 천체의 위치와 크기, 구성 성분을 알아내는 장비다. ... ...
3D프린터로 만든 인공 암세포로 항암제 효능 검증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2.15
프린팅 모델을 개발했다고 12일(현지시간) 밝혔다. 이 연구 결과는 지난달 21일 국제
학술
지 ‘어드밴스드 머티리얼스’에 소개됐으며 정대하 기계공학과 박사후연구원도 이번 연구의 공동 저자로 이름을 올렸다. 현재 항암제 효능에 대한 연구는 편평한 배양기에서 배양세포가 한 층을 이루는 단층 ... ...
'1400도 불 뿜어도 반대쪽은 멀쩡' 초강력 단열재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2.15
거의 존재하지 않으면서 열과 충격에는 강한 새로운 형태의 단열재료를 개발해 국제
학술
지 ‘사이언스’ 14일자에 발표했다. 단열재는 보통 내부에 미세한 공간을 많이 만드는 방법으로 열과 충격을 막는다. 스펀지나 스티로폼 등이 대표적이다. 이런 특성을 최대화해, 내부 공간을 아주 작게 만든 ... ...
“이유 없이 ‘콕콕’ 만성통증, 10년 연구 끝에 원인 찾았죠”
동아사이언스
l
2019.02.15
만성통증의 유력한 원인과 치료법을 제시했고 의·생명과학자의 평생 꿈 중 하나인 최고
학술
지에 논문을 발표했지만 오 교수는 들뜬 표정이 아니었다. 오래 연구해 왔지만, 그를 이 길로 이끈 ‘고’의 실체를 아직 몰라서다. “찔리면 아프죠. 그건 통각입니다. 통증은 통각과 다릅니다. 불쾌한 ... ...
이전
1134
1135
1136
1137
1138
1139
1140
1141
114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