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문
대회
학식
국제올림픽위원회
국제
올림픽
위원회
뉴스
"
학술
"(으)로 총 14,909건 검색되었습니다.
여성들의 '오해'…젊어선 "뚱뚱해" 나이 들어선 "날씬해"
2019.02.14
인식에 대한 정확도를 분석해 이런 결과를 얻었다고 14일 밝혔다. 이 연구결과는 국제
학술
지 '플로스원'(PloS-One) 최근호에 발표됐다. (서울=연합뉴스) 박동주 기자 = 26일 서울 명동역 앞에서 열린 여성 건강권과 몸 다양성 보장을 위한 기자회견 '문제는 마네킹이야'에서 참가자들이 다양한 체형의 ... ...
GPS 없이도 혼자 돌아다니는 로봇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2.14
모사한 보행로봇을 개발해 효과적으로 움직이는 데 성공했다는 연구결과를 국제
학술
지 ‘사이언스 로보틱스’에 이달 13일 실었다. 사람은 길을 찾을 때 GPS를 기반으로 한 내비게이션에 의존한다. 대부분의 보행 로봇도 마찬가지다. GPS는 실내에서는 잘 동작하지 않는 경우가 있어 로봇의 이동에 ... ...
머릿속 공포기억, 시각자극으로 지운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2.14
실제로 공포반응을 떨어뜨리는 효과가 있다는 사실을 동물실험을 통해 규명했다고 국제
학술
지 ‘네이처’ 온라인판 14일자에 소개했다. 현재 사용되는 트라우마를 치료하는 방법 중 하나는 ‘안구운동 민감소실 및 재처리 요법(EMDR)’이다. 공포기억을 떠올리고 있는 환자에게 외부 자극을 줘 ... ...
탈모 치료할 모유두세포 대량 배양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02.13
증식 능력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키는 방법을 개발했다고 13일 밝혔다. 이 연구결과는 국제
학술
지 ‘영국피부학회지'에 1월 31일자에도 소개됐다. 오래전부터 학계에서는 탈모를 치료하기 위해 모유두세포에 주목했다. 하지만 이 세포를 탈모 치료의 원료로 사용하기에는 몇 가지 어려움이 있었다. ... ...
부부 과학자, 비브리오균의 생존전략 밝혀
동아사이언스
l
2019.02.13
rRNA)가 유전자 발현을 조절하는 덕분에 환경 변화에 적응한다는 사실을 알아내 국제
학술
지 ‘네이처 마이크로바이올로지’ 4일자에 발표했다. rRNA는 단백질을 만드는 세포소기관인 리보솜을 구성하는 RNA다. 지금까지 학계에서는 각 생명체마다 가장 적합하게 진화한 한 가지 종류의 rRNA를 갖고 ... ...
"'고식적 항암치료' 위암 진행속도 늦추는 효과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2.13
적용 패턴과 환자의 삶의 질에 대해 조사한 연구 결과를 대한암학회가 발행하는 국제
학술
지 '암 연구와 치료'에 발표했다. 연구진은 2010년부터 2014년까지 분당서울대병원을 포함한 국내 26개 병원에서 1차 고식적 항암치료를 받은 위암 환자 527명을 대상으로 분석을 진행했다. 분석 결과 환자의 93 ... ...
숭실대 연구진 '꿈의 전자기파' 테라헤르츠파 조절 기술 개발
2019.02.13
'메타물질 깔때기 효과를 이용한 전자기적 투명성 현상의 전기적인 컨트롤' 논문이 국제
학술
지 '어드밴스드 옵티컬 머티리얼스'(Advanced Optical Materials) 1월 18일 자 표지논문으로 선정됐다. 인체에 해가 없고 엑스레이보다 투과성이 높아 '꿈의 전자파'라고 불리는 테라헤르츠파는 차세대 5G 통신뿐만 ... ...
호주 연구진 "벌크업 단백질보충제 몸 망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2.13
포함된 아미노산도 세포를 손상시킬 수 있다는 사실을 알아내 국제
학술
지 ‘체외 독성학(toxicology in vitro)’ 최신호에 발표했다. 최근 ‘몸짱’이 되기 위해 단백질보충제를 섭취하는 사람이 크게 늘었다. 단백질보충제를 장기간 또는 과다복용하면 체내 질소노폐물이 쌓여 혈중단백분해효소 ... ...
소리 쏘아 세포의 말랑함 잰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2.12
현탁 미세채널 공진기(SMR)를 이용해 단일세포의 강성을 측정하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국제
학술
지 ‘네이처 메소드’에 이달 11일 발표했다. 세포의 막 아래 세포 피층은 흐물흐물한 물질로 이뤄진 세포의 형태를 잡아준다. 세포골격 단백질 중 하나이자 근육 단백질이기도 한 액틴 필라멘트 ... ...
외과 전공의, 긴장감 없는 환경서 배워야 훈련효과 크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2.12
스트레스를 받지 않은 상태에서 수술 기술을 훈련해야 효과가 높다는 연구결과를 국제
학술
지 ‘사이언티픽 리포트’에 이달 11일 발표했다. 흔히 인턴이나 레지던트로 불리는 수련의나 전공의들은 힘든 근무 환경과 긴장감 높은 교육과정 아래 의사의 길을 걷는다. 이 과정에서 수술 훈련 등 ... ...
이전
1135
1136
1137
1138
1139
1140
1141
1142
114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