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겨울"(으)로 총 2,664건 검색되었습니다.
- 살아 있는 지질박물관, 일본어린이과학동아 l2011년 02호
- 아소산의 토양은 산화철이 많이 포함돼 있어 붉은색을 띠며, 검은 화산재도 많다. 겨울철 기온이 약 영하 10℃인 정상 근처에는 바람도 세차게 분다. 이런 바람의 방향대로 나뭇가지에서리가 얼어붙어 있다. 아소산의 분화구는 둘레가 128㎞나 되는 거대한산이 둘러싸고 있다. 바깥 측면의 경사는 ... ...
- 환경과 에너지에 관심 있다면?과학동아 l2011년 02호
- 힘이 될 거야.”마지막으로 선생님은 J학생에게 과학일기를 써볼 것을 권했다. 겨울방학 동안 책과 신문, 인터넷, 다큐멘터리 등 각종 자료를 접해 대체에너지에 대해 해박하게 알 수 있을 기회를 만든다. 그 과정에서 앞으로 내가 공부하고 싶은 분야, 먼 미래 과학자가 돼서 연구할 일에 대한 가상 ... ...
- 아름다운 무지개다리수학동아 l2011년 02호
- 저 다리가 아름답게 느껴지는 이유가 뭐라고 생각하니?”“글쎄요…. 선생님, 겨울에 먹는 아이스크림 진짜 맛있어요. 드셔 보실래요?”“다리를 보라니까. 다리 아래의 저 곡선 때문에 아름다운 거란다. 저 곡선이 어떤 것과 닮았지?”“음…, 무지개 모양이네요. 아닌가?” “그래, 무지개 ... ...
- Part 4. 진정한 수학스타 탄생을 위해수학동아 l2011년 01호
- 전부지만, 앞으로 수학계의 잔치로 바뀔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이미 여름·겨울학교에 참가한 수학영재들은 이 시간을 통해 수학의 매력과 수학계의 동반자를 만나는 계기로 삼고 있다. 수학올림피아드 수상자는 수학계의 버팀목2010년 필즈상을 받은 4명 중 3명은 IMO 수상자 출신이다. ... ...
- 추운 겨울 따뜻하게 보내려면?수학동아 l2011년 01호
- 겨울 매서운 추위가 찾아와도 거뜬하게 추위를 대비할 수 있을 것이다.모자보다 목도리!겨울철 보온을 위해 목도리, 장갑, 모자처럼 갖춰야 할 것이 많다. 이 중 하나를 선택해야 한다면 어떤 걸 골라야 할까? 모자나 장갑보다는 목도리의 보온 효과가 크다. 목은 추위에 민감할 뿐 아니라, 목이 ... ...
- [교과연계수업] 추운 겨울, 체감온도 높이려면?수학동아 l2011년 01호
- 만들었다. 최초의 체감온도 계산식이다.사이플과 파셀이 만든 체감온도 계산식은 당시 겨울철 야외활동과 군 작전 훈련에 널리 쓰였다. 그러나 물이 어는 것을 피부의 열손실에 적용했다는 점과 이 계산식으로 체감온도를 구하면 과장된 값이 나온다는 점 때문에 학자들의 비판을 받기도 했다 ... ...
- 화학이 사라지면 게임도 없다?!어린이과학동아 l2011년 01호
- 만약 산소와 탈 물질이 반응하지 않으면? 그러면 당연히 불이 붙지 않을 거예요. 결국 겨울에도 난방을 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불을 이용해 요리하는 맛있는 음식도 먹을 수 없게 된답니다.잠깐! 전자제품에게 자유를! 전지가 바꾼 세상전지의 역사는1800년에 이탈리아의 과학자 볼타가 전지를 ... ...
- 수학의 여신을 만나다수학동아 l2011년 01호
- 것 같았고, 오기도 발동했죠. 슬슬 약이 오르는 거예요. 그래서 중학교를 졸업하던 겨울방학에 ‘수학을 정복해 보자!’하고 결심했어요. ‘하루에 10시간 수학공부하기!’ 이런 비현실적인 계획이 아니라, 수학과 친해지기 위해 생활하며 생기는 모든 자투리 시간에 수학공부를 하기로 다짐했죠. ... ...
- 뜨거운 대지에서 순박한 아픔을 만나다과학동아 l2011년 01호
- 죽기 직전이거나 특별한 축제가 열릴 때에만 소를 잡는다. 고기를 얇게 떠 바짝 말리면 겨울까지 버틸 수 있는 훌륭한 식량이 된다.주술사는 소의 몸에서 굵고 기다란 장을 뽑아 점괘를 본다. 특별히 정해진 방법은 없다. 우리 민간신앙에서 쌀을 뿌려 점을 보는 것처럼, 주술사는 소 내장이 꼬인 ... ...
- 전후좌우 움직이는 발목을 보라과학동아 l2011년 01호
- 1. 사람처럼 두발로 걷게하기]제가 한국의 대표적인 로봇 휴보를 처음 만난 건 2004년 겨울입니다. 휴보가 막 태어나 관심을 한 몸에 받던 때였지요. 당시 사람처럼 두 발로 걷는 로봇은 일본의 ‘아시모’ 뿐이었습니다. 지금이야 두발로봇이 여럿 있지만 그때만 해도 기계가 두 발로 걷는다는 사실 ... ...
이전10911011111211311411511611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