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우리"(으)로 총 14,892건 검색되었습니다.
- [우주순찰대원 고딱지] 26화. 우주순찰대는 혼자가 아냐!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10호
- 너에게 교훈을 가르쳐주려고 그런 거였어.”“교훈이요?”“그래. 바로 우주순찰대는 우리 해롱 호 하나만 있는 게 아니라는 거야! 혼자서 안 될 때는 다 같이 힘을 합쳐야 한다는 거지. 실은 아까 나무를 발견했을 때 본부에 요청해서 근처의 우주선을 다 불러 모았어. 이제 다 같이 혜성을 끌어서 ... ...
- [기획] 세계가 나의 무대! 수학으로 승부수학동아 l2022년 10호
- 혹은 산업수학자를 꿈꿔도 좋아요. [필살기] 나를 사랑하는 사람 생각하기 우리가 생각했던 것보다 수학의 힘은 강력해요. 수학은 어느 언어보다도 정확한 인류의 언어이고, 동시에 오래된 지식의 보고이니까요. 저는 수학이 불필요한 것들을 걷어내고 무엇이 중요한지를 잘 보여준다고 ... ...
- [나도 수학쌤 문장제 문제] #9. 꼼꼼히 읽으면 답이 보인다! 합의 법칙과 곱의 법칙수학동아 l2022년 10호
- 부산을 오고 가는 방법’, ‘월드컵 본선에 진출할 경우의 수’처럼 우리는 일상 생활에서 경우의 수를 따지는 상황을 자주 접할 수 있어요. 그런데 경우의 수를 풀 때 곱의 법칙으로 풀어야 할지, 합의 법칙으로 풀어야 할지 헷갈리지요? 오늘은 그 구별법을 알아볼게요. 중학교 2학년 ‘확률’ ... ...
- [특집] SF 시나리오, 미래의 한반도는?과학동아 l2022년 10호
- 자주 범람했다. 반대로 봄에는 가뭄이 더 심해져서 웬만한 작물은 잘 자라지 않았다. 우리 증조할아버지는 흰밥에 고깃국 먹는 게 소원이라고 가끔 말씀하신다. 나도 한국 사람 피가 흐르고 있어서인지 포니오나 카우피, 타로, 아마란스, 컨자(QR코드 참고) 같은 게 썩 입에 맞지는 않는다.요즘은 ... ...
- 바다 거북의 날갯짓이 이어지도록 "또시 옵서양”과학동아 l2022년 10호
- 멸종위기종이며, 생태계가 얼마나 건강한지 알려줄 수 있는 지표종입니다. 그리고 우리나라에서 전통적으로 영물로 여겨온 상징적인 생물이기도 하죠. 바다거북 방류 행사는 사람들에게 바다거북, 더 나아가 바다거북이 사는 바다를 지켜야 한다는 메시지를 전할 좋은 계기가 될 겁니다.”8월 25일 ... ...
- [기획] 인공중력 만드는 우주토목공학과학동아 l2022년 10호
- “미국과 아랍에미리트 등에서 이미 화성 이주 계획을 제 안했지만, 그 어디에서도 우리와 같은 계획을 세우지 않았 다”며 “이번 계획이 인간이 우주에서 살아가기 위해 필수적인 기술일 것이라 생각한다”고 말했습니다.우주에서 중력을 만드는 여러 방법 중 가장 현실적인 것은 등속원운동을 ... ...
- 실험실에서 태어나는 아기 가능할까?과학동아 l2022년 10호
- 인간의 필요에 의해서 변형시키고 제작한다면, 그 윤리적, 사회적, 종교적 후폭풍을 과연 우리가 감당할 수 있을지에 대한 고찰이 반드시 필요할 것입니다. 문제는 여기서 그치지 않습니다. 이론상 줄기세포와 대리모만 있다면 블라스토이드로 생명체를 만들 수 있습니다. 이는 남성 또는 수컷의 ... ...
- [논문탐독] 생태 다양성 숨어있는 알 껍질의 비밀과학동아 l2022년 10호
- 에서 하나의 가설에 대해 맞는 사례와 그렇지 않은 사례를 모두 소개하는 이유죠.자연은 우리에게 꾸준히 질문거리를 던집니다. 진화라는 단어는 마치 발전하는 의미처럼 다가오기도 합니다. 하지만 진화는 방향성이 없습니다. 매 순간에 가장 유리한 특성이 남은 결과가 현재일 뿐입니다. 생태계를 ... ...
- [이달의 책] 누가 얼음의 위대함을 묻거든 몸을 돌려 편의점에 들어가라 외과학동아 l2022년 10호
- 7시부터 밤 11시까지 문을 연다는 뜻의 ‘세븐일레븐’. 그렇다, 제빙 회사 얼음 공장에서 우리의 이른 아침과 늦은 밤을 책임지는 편의점이 탄생한 것이다.이후 여러 편의점 브랜드가 나타났다. 각 나라의 특색에 맞는 물건을 팔면서 편의점은 보편화됐다. 밤낮없이 이용할 수 있으며 웬만한 물건은 ... ...
- [현장취재] 올해로 10살! 지구사랑탐사대 발대식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0호
- 탐사했던 1기에 비해 탐사 대상이 17종으로 늘어나 대원들의 탐사 범위도 넓어졌어요. 우리 주변 다양한 동식물을 탐사하며 과학자들의 연구에 기여하는 활동인 지구사랑탐사대는 이렇게 대원들과 성장하며 국내 시민과학의 대표주자로 자리매김할 수 있었습니다.올해는 지구사랑탐사대의 꽃, 현장 ... ...
이전10911011111211311411511611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