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일정"(으)로 총 4,651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수학으로 정체 밝히는 ‘플래닛 나인’수학동아 l2016년 06호
- 바티진과 브라운 박사팀은 이곳에 있는 얼음 천체 13개를 연구하고 있었다. 그 중 6개가 일정한 궤도로 태양 주변을 돈다는 사실을 알아냈다.➋ 주변 천체의 궤도에 영향을 끼치는 ‘미지의 행성’연구팀은 여섯 개의 천체가 한쪽으로 몰려 있다는 사실에 주목했다. 그리고 주변에 있는 거대한 ... ...
- [Knowledge] 청산가리 가득한 대나무를 먹는다?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상황이 벌어질 수 있다. 이 때문에 일정 수준 이상으론 커지지 못한다.즉, 몸무게가 일정 수준을 넘는 원숭이 중에는 순수하게 곤충만을 주식으로 삼는 종이 거의 없다. 물론 예외도 있다. ‘슬로우 로리스’라는 원시원숭이가 대표적이다. 안경원숭이보다 체중이 10배 정도 많이 나가지만 여전히 ... ...
- [Tech & Fun] 친절한 금자씨의 ‘락스 살인 사건’과학동아 l2016년 06호
- 경우, 소금 중독은 락스 중독보다는 들통날 확률이 적습니다. 소금 중독으로 사망한 경우 일정시간이 지나면 사후변성에 의해 혈액의 전해질 수치가 변하기 때문입니다. 그나마 눈 유리체액(vitreous humor)이 생전의 전해질 수치를 비교적 오래 보존하죠.하지만 소금도 본인이 모르게 먹이기는 쉽지 ... ...
- [Tech & Fun] 물리학자, 언어의 특징을 밝히다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소리 변화는 마치 DNA의 분화처럼 독립적이지 않다(not independent)”고 설명했다. 소리가 일정한 규칙을 가지고 진화한다는 뜻이다. 간단하게(?) 모든 영어와 라틴어 단어에서 소리변화를 네트워크로 구조화한다면 f에서 p로의 변화가 f에서 v로의 변화보다 많은지 적은지 한 눈에 알아볼 수 있다 ... ...
- [소프트웨어] 눈 더미보다 더 빨리~ 날아라, 스키수학동아 l2016년 06호
- 높이가 높을수록 땅에 닿았을 때 달리는 속도가 빨라져요. 에너지의 총합은 항상 일정하게 보존된다는 에너지 보존법칙에 따라 위치에너지가 운동에너지로 전환되기 때문이에요.그때 미끄럼틀처럼 가파른 낭떠러지가 나타났습니다. 설인이 나를 업은 채 뛰어내렸어요. 그러자 설인의 꽁무니에서 ... ...
- [Knowledge] 우리나라의 첫 우주범선, 항해준비 완료!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차례를 기다리고 있다(발사는 5월 31일로 예정돼 있었으나, 발사 측의 사정으로 7월 15일로 일정이 연기됐다).“이제 시작입니다. 지금은 항력 돛을 시험하기 위한 우주범선일 뿐이지만, 발사가 성공적으로 끝나면 우리는 처음으로 우주범선의 정보를 가지게 됩니다. 미래의 우주범선 개발에 분명 ... ...
- [Knowledge] 부러진 뼈 : 사건을 해결하는 퍼즐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주제 중 하나가 바로 뼈의 손상(trauma)이다. 일관성 없이 부러지는 것처럼 보이는 뼈에서 일정한 규칙을 찾아낼 수 있다는 사실에 많은 사람이 흥미를 느낀다. 그리고 규칙을 하나씩 배울 때마다 자신 앞에 놓인 뼈가 겪었을 사건의 퍼즐을 진지하게 맞춰나가곤 한다.사람 뼈는 무기질 성분 75%와 ... ...
- Part 2 인체 플랫폼화 기술이 넘어야 할 장벽 5과학동아 l2016년 06호
- 통해 파악할 수 있는 동작의 수가 제한적이고, 같은 사람이라도 근육상태에 따라 신호가 일정하지 않을 수 있다. 이 때문에 최근 김 박사는 신경에 전극을 삽입해 신경 신호를 직접 받는 연구를 계획 중이다. 그는 “신경 신호는 표면 근전도보다 훨씬 다양한 동작 의도를 더 정확히 알려줄 ... ...
- [매스미디어] 최초의 돌연변이 깨어나다!수학동아 l2016년 06호
- 종류가 일정한 순서에 따라 배열돼 있다. 사람의 유전자는 네 종류의 염기 약 30억 쌍이 일정한 순서로 늘어서 있다.이때 유전자를 이루는 이 DNA 구조에 변화가 생기면 돌연변이가 나타난다. 유전자의 DNA 중 단 한 개라도 없어지거나 다른 것으로 교체되면 돌연변이가 된다. 돌연변이는 자연에서 ... ...
- [수학동아클리닉] 제주 올레에서 만나는 수학이야기수학동아 l2016년 06호
- 훨씬 더 큰 공간을 얻을 수 있는 구조이기도 합니다. 돔은 반구 모양인데, 구는 부피가 일정할 때 겉넓이가 가장 작은 입체 도형이기 때문입니다.그럼 ‘지오데식 돔’은 무엇일까요? 지오데식 돔을 만들려면 우선 지오데식 구를 만들어야 합니다. 먼저 정이십면체의 각 모서리를 n등분해서 각 면을 n ... ...
이전10911011111211311411511611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