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일정"(으)로 총 4,651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학동아클리닉] 수학실험실_단청 퍼즐 속 수학 찾기수학동아 l2016년 02호
- 평행이동, 회전, 반사, 그리고 미끄럼반사다. 평행이동은 원래의 형태를 유지하면서 일정한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말하고, 회전은 말 그대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을 말한다. 반사는 거울대칭을 말하고 미끄럼반사는 앞서 말한 평행이동과 반사를 동시에 만족시키는 것을 뜻한다. 이 ... ...
- PART 1. 수중과학수사대 훈련현장에 가다과학동아 l2016년 02호
- 바닥에 발을 디디지 않고 상체만 숙여 작업하도록 훈련받는다. 말하자면 물속의 일정한 깊이에 정지한 상태로 작업하는 것이다. 고난이도의 ‘중성부력’ 훈련이다.앞이 안 보일 땐 손으로 더듬어 수색할 수밖에 없다. “그러다 갑자기 눈앞에 수중시체가 나타나기라도 하면 공황상태에 빠질 수 ... ...
- PART 3. 수중시체를 찾아온 살아있는 단서들과학동아 l2016년 02호
- 시간도 추정할 수 있게 해준다. 플랑크톤은 물에 들어가자마자 시체에 붙고, 온도에 따라 일정한 속도로 성장하기 때문이다. 2004년 미국 밀러스빌대 생물학과 제임스 해프너 박사는 돼지사체에 붙은 플랑크톤이 시간에 따라 밀도가 증가하는 과정을 공식으로 만들었다(DOI: 10.1520/JFS2003283). 사체가 ... ...
- [재미] 수학 소설 수학동아 l2016년 02호
- ”“또 있지. 나무 가지가 그냥 마구잡이로 뻗어 있는 거라고 생각하면 안 돼. 이 속에도 일정한 규칙이 있어. 가장 큰 가지와 거기서 뻗어 나오는 가지들의 형태가 유사하게 반복돼. 물론 완전히 똑같지는 않지만. 이렇게 비슷한 형태가 반복되는 구조는 모두 프랙탈로 볼 수 있어.”“그럼 번개도 ... ...
- [지식]2억 년 뒤 세계지도는? 대륙 퍼즐 맞추기수학동아 l2016년 01호
- 주목했다.그래서 암석의 자기 정보를 관찰했다. 그리고 지금까지 나타났던 초대륙이 일정한 각도에 따라 움직였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연구팀은 초대륙의 중심이 움직인 경로를 선으로 그었다. 판게아의 중심선은 이전에 나타났었던 초대륙 로디니아(약 10억 년 전)의 중심선으로부터 약 87° 만큼 ... ...
- Part 4. 그들은 더 완벽한 우주이론을 꿈꾼다과학동아 l2016년 01호
- 결과는 두 양성자가 충돌한 에너지와 같아야 한다. 그런데 만약 반복되는 충돌에서 계속 일정한 에너지 손실이 나타난다면? 이는 검출기가 포착할 수 없는 입자가 생성됐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암흑물질일 수 있는 것이다.LHC의 검출기 중 하나인 시엠에스(CMS)연구에 참여하고 있는 ... ...
- [Tech & Fun]‘착한 패딩’을 찾아서과학동아 l2016년 01호
- 높을수록 솜털 사이에 형성된 공기 층이 많아 보온 효과가 크다. 특히 각 보푸라기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나와 있는 삼각형의 구조물이, 솜털이 항상 부푼 상태로 있도록 지지한다.문제는 이들 다운의 상당수가 살아있는 거위와 오리를 학대하는 방식으로 채취된다는 사실이다. 도살되기 전까지 수 ... ...
- [지식]김재경 KAIST 수리과학과 교수수학동아 l2016년 01호
- 일어나는 화학반응이에요. 그런데 온도가 높아져도 다른 화학반응과 달리 속도가 일정해요. 화학반응을 미분방정식으로 나타내면 그 해는 주기를 갖고 있어요. 그런데 온도와 관련된 매개변수의 값이 크면 해의 주기도 짧아져 버려요. 생체시계의 원리를 알아내려면 매개변수의 크기가 바뀌어도 ... ...
- [News & Issue]디웨이브, 진실을 말해줘과학동아 l2016년 01호
- 단순 결과 비교과정에 대한 설명이 조금 부족하더라도 디웨이브2X가 기존 컴퓨터로는 일정 시간 안에 절대로 풀 수 없던 문제, 예컨대 소인수 분해 문제를 풀어내는 데 성공했다면 그것만으로도 양자컴퓨터라는 것을 증명할 수 있었을 것이다. 어떤 소인수 분해 문제를 기존 컴퓨터로 풀려면 100년이 ... ...
- [지식]왜 내게 이런 일이!- 스마트폰 잔혹사-수학동아 l2016년 01호
- 가장 높을 때가 100%, 가장 낮을 때가 0%로 표시된다.그런데 전압의 변화는 사용량에 따라 일정하게 변하지 않는다. 배터리 용량이 적게 남아 있을수록 전압은 더 급격하게 낮아진다. 그래서 어느 순간부터 갑자기 빨리 닳는 것이다.그 원인은 스마트폰 배터리의 전극 소재에서 찾을 수 있다. 주로 ... ...
이전11311411511611711811912012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