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일정"(으)로 총 4,651건 검색되었습니다.
- 빛을 멈추게 할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5년 11호
- ‘뒤돌아 뛰어!’라는 명령을 내리면 어떻게 될까. 선수들이 각각의 트랙을 각자 일정한 속도로 뛴다고 가정한다면 2T초 후에는 모두 처음 출발선에 다시 도착하게 될 것이다. 광자들도 처음에 진동시킨 뒤 T초가 지나고 다시 돌아오게 하면 처음과 똑같은 파장의 형태를 띤다. 2T초마다 정보를 열어 ... ...
- [교육] 질서정연하게 엉켰다! 아이스크림 막대로 만드는 ‘오더리 탱글’수학동아 l2015년 11호
- 굉장히 복잡하게 얽힌 것처럼 보인다. 하지만 자세히 들여다보면 줄기와 뿌리가 각각 일정한 규칙에 따라 뻗어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겉보기에는 무질서해 보이지만 규칙적으로 꼬인 구조물을 ‘오더리 탱글(Orderly Tangle)’이라고 한다. ‘오더리’는 물건이 질서정연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어고, ... ...
- 천문학자 김담, 조선의 우주를 열다과학동아 l2015년 11호
- 추천됐을 정도로 촉망받는 인재였다.역법은 천체의 움직임을 관측해 한 달과 한 해 같은 일정한 주기를 시간으로 엮고, 일식과 월식 등을 미리 예측하는 계산법을 말한다. 조선은 원나라의 수시력(授時曆)을 토대로 천문현상을 예측하고자 했는데, 그 원리와 계산법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했다. 결국 ... ...
- 인간과 바이러스 ‘공존’가능할까과학동아 l2015년 11호
- 몸속에 존재하는 병원균의 양을 시간 순으로 파악하기 어렵다. 처음 주입한 양, 접종 후 일정 시간이 지난 뒤의 양, 최고 수준일 때의 양, 감염 기간 전체의 병원균 양을 측정해야 한다. 이 과정은 어려울 뿐 아니라 위험하다. 에볼라에 감염된 박쥐와 가까이 지내며 지속적으로 접촉해야 하기 ... ...
- [Life & Tech] 사찰 김치, 세계인의 보약 될까과학동아 l2015년 10호
- 위해 사용한다”고 설명했다.“‘종가집’이라는 브랜드 김치는 꽤 오랫동안 맛이 일정하게 유지되는데 제조 단계에서 종균을 사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요. 이밖에도 콜레스테롤 흡수를 줄여주는 김치, 다이어트에 좋은 김치 등을 만드는 종균도 만들 수 있습니다 ... ...
- [과학뉴스] 시내 공립고등학교에 망원경이 있는 이유과학동아 l2015년 10호
- 발휘하기 힘들다. 반면 별볼일 천문대는 접근성이 좋고 기상 여건을 고려해 관측 일정을 조정할 수 있으며, 우천 시 대체 프로그램도 있다.시내 한가운데 있는데 별은 잘 보일까. 망포고는 수원시에 속해 있지만 화성 동탄과 경계지역에 위치해 주변에 논이 많다. 아파트가 없어서 비교적 불빛이 ... ...
- [Knowledge] 더 지니어스의 생존법 : 인디언포커과학동아 l2015년 10호
- 전략을 모두 알게 되니 영희가 유리할 수 밖에 없다. 그런데 만약 철수가 Q를 받았을 때 일정한 확률 x로 거짓말(블러핑)을 한다면 어떨까. 가장 높은 A를 들고 있다면 당연히 배팅을 따라오겠지만, K를 들고 있을 때는 문제가 복잡하다. K를 들고 있는 영희는 철수가 A인지, Q인지 알 수 없다. 영희는 y의 ... ...
- [스마트하게 날아오르다 DRONE] PART1 수학으로 깨어난 드론의 운동신경수학동아 l2015년 10호
- 알고리즘에는 여러 종류가 있는데, 그 중 가장 간단한 방법은 물체와 드론 사이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방법입니다.드론과 표적 물체의 거리를 10m로 정했다고 합시다. 드론은 표적 물체와 자신 사이의 거리가 12m 일 때는 물체 방향으로 가속해 거리를 좁힐 겁니다. 그러다 9m 정도로 가까워지면, ... ...
- 백투더퓨처 2015수학동아 l2015년 10호
- 액체질소로 영하 197°C까지 얼린 뒤, 영구자석으로 만든 레일 위에 띄운다. 초전도체를 일정 온도까지 얼리면 자성을 잃어버리는 ‘마이스너 효과’를 이용한 것이다. 또 액체질소를 뒤로 내뿜으면서 앞으로 나아간다. 호버보드를 실제로 타본 라이더인 로스 맥거린은 “보드가 굴곡진 지형에서도 ... ...
- [수학뉴스] 세계 나무의 반이 사라졌다수학동아 l2015년 10호
- 위해 위성사진과 슈퍼컴퓨터, 그리고 숲에 대한 자료를 국가별로 모았습니다. 땅을 일정한 넓이의 구획으로 나눈 뒤, 이 자료를 토대로 밀도가 높을수록 진한 색으로 표시해 나무밀도 지도를 만들었습니다. 그 결과 약 3조 400억 그루가 있다는 사실이 드러났습니다. 위성사진만 이용했을 때는 약 400 ... ...
이전11711811912012112212312412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