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문
대회
학식
국제올림픽위원회
국제
올림픽
위원회
d라이브러리
"
학술
"(으)로 총 2,828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뉴스] 조로증 치료 길, 드디어 열리나
과학동아
l
2018년 06호
억제하자 체중 감소 속도가 21%가량 늦춰졌고, 심박수 감소도 완화됐다.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
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4월 27일자에 게재됐다.doi:10.1038/s41467-018-03770- ... ...
[과학뉴스] 배터리 필요 없는 ‘스마트 장난감’
과학동아
l
2018년 06호
이끄는 국제공동연구팀이 배터리 없이 작동하는 ‘스마트 장난감’을 개발해 국제
학술
지 ‘ACS 지속가능 화학 및 공학(ACS Sustainable Chemistry&Engineering)’ 4월 4일자에 발표했다. 이 장난감은 배터리를 교체할 필요 없이 스스로 전기를 만들어 낸다. 연구팀은 고무로 만든 장난감에 마찰전기를 생산하는 ... ...
[시사기획 Part 2] 내년 2월 결과 발표, 정부 연구단 “조사 중”
과학동아
l
2018년 06호
교수팀은 포항지진의 진원이 6.2km보다 더 깊을 수 있다는 연구결과를 얻고 5월 21일 현재
학술
지에 투고 중이다. 이는 진원의 위치가 지열발전소의 주입정과 생산정 인근인 지하 4.3km 안팎이라는 김광희 부산대 교수팀의 연구결과와 배치되는 주장이다. 홍 교수는 “아직 논문으로 발표되지 않아 ... ...
[Career] 파킨슨병 치료의 ‘골든타임’을 찾아서
과학동아
l
2018년 06호
제대로 공급되지 않으면 시냅스를 만들지 못해 신경세포가 사멸한다. 2017년 7월 국제
학술
지 ‘셀 리포트’에 발표한 이 연구를 통해 연구진은 환자의 신경세포에서 ‘CrebA’라는 유전자를 과발현시킬 경우 손상된 신경세포를 회복시킬 수 있다는 점도 확인했다. 연구진의 최종 목표는 퇴행성 ... ...
[필즈상 미리보기] 휴고 듀밀-코핀
수학동아
l
2018년 05호
교수의 제자 휴고 듀밀-코핀 교수입니다. 박사 과정 때인 2012년 가장 권위 있는
학술
지인 ‘수학연보’에 연구를 발표하며 수학계에 눈도장을 확실히 찍었습니다. 이 연구는 지금까지도 대단한 업적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육각형 격자를 따라 선을 긋는 시행을 n번 합니다. 한 점에서는 세 ... ...
[과학뉴스] ‘치매 단백질’ 연결고리 최초 확인
과학동아
l
2018년 05호
환자를 조사해 베타아밀로이드와 타우 단백질의 상관관계를 확인하고 그 결과를 국제
학술
지 ‘뉴런’ 3월 21일자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탄소 방사성동위원소 표지 분석을 통해 알츠하이머 환자의 타우 단백질 증가가 단순한 신경세포 사멸의 부산물이 아니라, 치매를 발병시킬 수 있는 능동적 ... ...
[과학뉴스] 작은 새우가 해류를 바꾼다
과학동아
l
2018년 05호
결국 해양생태계 전체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얘기”라고 설명했다. 연구결과는 국제
학술
지 ‘네이처’ 4월 18일자에 발표됐다. doi:10.1038/s41586-018-0044 ... ...
[시사기획] 남북 과학기술 협력 분야
과학동아
l
2018년 05호
교류는 활발한 편이었다. 인도적 차원의 물품 지원과 함께 2003년과 2006년에는 한의학
학술
토론회가 평양에서 개최되기도 했다. 하지만 당시 교류는 기본 정보를 교류하는 수준에 그쳤을 뿐 실질적인 연구 협력으로 확대되지는 않았다. 전통의학에 대한 높은 관심과 풍부한 임상 경험은 ... ...
Part 2. 산업계 지켜줄 첨단 파수꾼
과학동아
l
2018년 05호
보호하는 방법을 개발해 2016년 12월 국제전기전자공학회(IEEE)에서 발행하는 보안 분야
학술
지(IEEE Transactionson Information Forensics and Security)에 발표했다.doi:10.1109/TIFS.2016.2639340 기존 기술로는 1대 1로 통신하는 경우에만 보안을 유지할 수 있다는 한계가 있다. ...
[Career] 물로 만드는 친환경 반도체
과학동아
l
2018년 05호
모든 형태의 유기 반도체를 물로 제작할 수 있다는 사실을 증명했다. 연구결과는 국제
학술
지 ‘에너지 및 환경과학’ 표지논문으로 실렸다. 두께 100nm, 초박형 유기 태양전지정 교수가 이끄는 ‘친환경 에너지 소자 연구실’은 친환경 반도체 제작은 물론, 이 반도체의 활용에 대한 연구도 진행하고 ... ...
이전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