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문
대회
학식
국제올림픽위원회
국제
올림픽
위원회
d라이브러리
"
학술
"(으)로 총 2,828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뉴스] 저지방&저열량 식단이 ‘젊은 뇌’ 만든다
과학동아
l
2018년 04호
활성을 막아 뇌 노화를 억제한다는 사실을 확인하고, 이 연구 결과를 국제 신경과학
학술
지 ‘분자신경과학 프런티어(Frontiers in Molecular Neuroscience)’ 3월 12일자에 발표했다. 미세아교세포는 뇌 조직을 유지하는 역할을 하지만, 특정 부위에서는 염증을 일으켜 오히려 뇌의 노화를 촉진한다. 연구팀은 ... ...
[과학뉴스] 잔류농약, 바이러스로 확인
과학동아
l
2018년 04호
활용해 농식품 내 잔류농약을 선택적으로 검출하는 방법을 개발해 재료화학분야 국제
학술
지 ‘ACS 응용물질 및 계면(ACS applied Materials & Interfaces)’ 3월 13일자에 발표했다.연구팀이 개발한 검출 기구는 20nm(나노미터·1nm는 10억 분의 1m) 굵기의 은 나노선 구조체가 포함된 종이 시트로, 여기에는 농약만 . ...
[Issue] 액면분할 이후 삼성전자 주가는 어떻게 될까?
과학동아
l
2018년 04호
그간 금융학계의 연구는 이런 기대가 너무 과도하다고 지적한다. 2011년 한국금융공학회
학술
발표논문집에 실린 논문인 ‘주식분할의 정보효과’에 따르면 주식을 액면분할한 212개의 사례를 조사한 결과, 액면분할이 단기적으로는 주가를 상승시키지만 1개월이 지나면서 주가가 반전돼 이후 오히려 ... ...
Part 2. 한국 과학자들이 기억하는 호킹
과학동아
l
2018년 04호
참석하는 것이 목적 이었다. COSMO 학회의 정식 명칭은 ‘입자물리와 초기우주에 관한 국제
학술
대회(International Workshop on Particle Physics and Early Universe)’로, 1997년부터 매년 전 세계 회원국에서 차례로 열리고 있었다. 2000년 학회는 서울대와 고등과학원이 주관했다. 유명한 호킹 박 ...
Part 2. 폭풍성장 사춘기의 몸
과학동아
l
2018년 04호
해당한다. 최근에는 사춘기의 시작을 결정하는 유전자를 무려 389개나 발견했다. 국제
학술
지 ‘네이처 유전학’ 2017년 4월 24일자에는 페리 수석연구원 팀이 32만9345명의 유전 정보를 분석한 결과가 실렸다. 지금까지 진행된 유전자 분석 연구 중에 가장 큰 규모다. 이 연구를 통해 사춘기가 ... ...
Part 5. 지금도 자라는 사춘기 뇌
과학동아
l
2018년 04호
지금까지 22년간 청소년 3500명의 뇌를 9000회에 걸쳐 MRI 장치로 촬영했다. 2001년 국제
학술
지 ‘사이언스’에 발표한 논문은 현재까지 무려 1371회나 인용되면서 사춘기 뇌 분야의 ‘바이블’로 꼽힌다. 이 연구에 따르면 사춘기의 뇌는 말 그대로 ‘제2의 탄생기’를 거치고 있다. 가지 뻗기와 ... ...
[과학뉴스] 여왕벌에게 더욱 특별한 ‘로열젤리’
과학동아
l
2018년 04호
높아진 로열젤리가 애벌레를 붙잡고 있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
지 ‘커런트 바이올로지’ 3월 15일자에 실렸다. doi:10.1016/j.cub.2018.02.02 ... ...
[Future] DNA에 사진 담고 원자에 영화 담는 차세대 메모리
과학동아
l
2018년 04호
등장하면서 지금보다 훨씬 작고 효율적인 메모리의 필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 과학
학술
지 ‘네이처’는 2016년 8월 31일 “전 세계는 데이터 위기에 직면해 있다”며 “2020년에는 천문학적인 양의 이미지와 유튜브 동영상 등으로 필요한 메모리 용량이 약 44조 기가바이트(GB)에 이를 것”이라고 ... ...
[과학뉴스] 다이아몬드가 밝힌 맨틀의 비밀
과학동아
l
2018년 04호
다이아몬드의 불순물에서 발견한 독특한 결정체인 ‘제7형 얼음(Ice-VII)’을 분석해 국제
학술
지 ‘사이언스’ 3월 9일자에 발표했다. 제7형 얼음은 3만 기압 정도의 고압에서도 고체상태를 유지하는 결정체로, 초고압 장치를 이용하지 않고 자연에서 발견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연구팀은 ... ...
[과학뉴스] 슈퍼박테리아 잡을 ‘오리너구리 모유’
과학동아
l
2018년 04호
anatinus, 사진)의 모유 속 단백질의 슈퍼박테리아에 대항하는 항균 능력을 확인하고 국제
학술
지 ‘구조생물학 커뮤니케이션(Structural Biology Communication)’ 1월 1일자에 발표했다. 슈퍼박테리아는 여러 항생제에 내성이 생겨 어떤 항생제도 듣지 않는 강력한 박테리아다. 젖꼭지가 없는 오리너구리는 ... ...
이전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