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학술"(으)로 총 2,828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암호화폐 없는 블록체인 가능한가과학동아 l2018년 03호
- 한 그는 2017년 11월 대한민국 인물대상(학술 소프트웨어분야), 2017년 12월 해동신진학술상을 수상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암호화폐와 블록체인, 대박 신화의 진실[Infographic] 암호화폐와 블록체인의 진화Part 1. 암호화폐는 ‘진짜 돈’이 될 수 있나Part 2. 암호화폐 없는 블록체인 ...
- Part 1. 비장애인과도 겨룬다?수학동아 l2018년 03호
- 적을 때 생기는 문제를 축소방법으로 줄일 수 있다는 것을 수학적으로 증명해 같은 학술지에 실었다. 올림픽과 패럴림픽을 합친다면?2016년, 퍼시 교수는 응용수학연구소 웹진에 파격적인 제안을 했다. 크로스컨트리 스키에서 좌식과 입식, 시각장애 부문을 통합해 한꺼번에 경기를 하자는 것이다. ... ...
- Part 2. [27%] 미지의 물질, 암흑물질수학동아 l2018년 03호
- ΛCDM 모형의 CDM에 해당하는 암흑물질은 우주를 이루는 물질의 27% 정도를 차지한다. 암흑물질의 ‘암흑’은 말 그대로 보이지 않기 때문에 붙은 수식어다. 물체를 볼 수 있는 건 물체에 빛이 반사돼 우리의 눈으로 들어오기 때문인데, 암흑물질은 빛과 상호작용하지 않기 때문에 눈으로는 볼 수 없 ... ...
- Part 4. [?] 모든 것의 이론이 있을까?수학동아 l2018년 03호
- 앞서 살펴본 것처럼 오늘날의 우주론은 암흑물질과 암흑에너지라는 개념을 도입한 수학 모형으로 우주를 설명하고 있다. 하지만 아직 두 개념 모두 실체가 발견되지 않았다. 관측 결과를 잘 설명해주는 훌륭한 모형이지만, 아직 궁극적인 답이라고 단언하기는 어렵다는 뜻이다. 20세기 후반 등장한 ... ...
- [과학뉴스] ‘새벽 오로라’의 비밀 최초로 확인과학동아 l2018년 03호
- 태양에서 방출된 플라스마 입자가 지구 자기장에 이끌려 고층대기로 들어와 발생하는 오로라는 화려한 색채만큼 다양한 형태를 가지고 있다. 그 ... 발생하는 다양한 대기 현상의 원인을 밝힐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2월 14일자에 실렸다. doi:10.1038/nature2550 ... ...
- [과학뉴스] 자폐증 일으키는 유전자 ‘삼돌이’ 확인과학동아 l2018년 03호
- 진행한 결과 삼돌이 유전자가 자폐증의 원인이라는 사실을 확인했다.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 1월 16일자에 실렸다. doi:10.1073/pnas.170766311 ... ...
- [과학뉴스] 사자가 임팔라 대신 얼룩말 사냥하는 이유과학동아 l2018년 03호
- 주로 사냥하는 먹이 차이가 운동 능력의 차이에서 비롯된다는 사실을 밝혀내 국제학술지 ‘네이처’ 1월 24일자에 발표했다. 앨런 윌슨 영국 왕립수의대 비교의생명과학과 교수팀은 아프리카 보츠와나의 사바나에서 사자, 치타, 얼룩말, 임팔라 등 포식자와 피식자 관계인 육식동물 네 종의 ... ...
- [과학뉴스] 눈물로 혈당 재는 ‘스마트 렌즈’과학동아 l2018년 03호
- 눈물의 포도당 농도에 따라 LED가 점멸하면서 정상적으로 작동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어드밴시스’ 1월 25일자에 실렸다. doi:10.1126/sciadv.aap984 ... ...
- [Origin] 비브라늄으로 무장한 슈퍼히어로, 블랙팬서과학동아 l2018년 03호
- 이훈경 건국대 물리학과 교수와 보리스 야콥슨 미국 라이스대 화학과 교수팀이 국제학술지 ‘ACS나노’ 2013년 10월 5일자에 발표한 논문에 따르면, 카바인은 그래핀에 비해 잡아당기는 힘을 견디는 강도가 2배 더 뛰어나다. 카바인이 그래핀보다 분자를 구성하는 탄소 원자끼리 더 많은 전자를 ... ...
- 이보다 안전할 수 없다 양자암호통신과학동아 l2018년 03호
- 600km 구간을 양자암호통신 방식으로 연결해 화상회의를 하는 데 성공했다. 과학학술지 ‘사이언스’는 이 소식을 커버스토리로 다루며 대서특필했고, ‘네이처’는 2017년 세계 과학계의 이목을 집중시킨 10대 사건 중 하나로 꼽았다. 국내에서는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양자정보연구단이 레이저를 ... ...
이전11511611711811912012112212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