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집회
회합
위원회
모임
소사이어티
협회
단체
d라이브러리
"
학회
"(으)로 총 1,863건 검색되었습니다.
특집Ⅰ 뿌리 깊은 나무 노벨상
과학동아
l
2006년 11호
생긴 분광데이터에 홀려 있었다. 크로토 교수는 1985년 봄 미국 텍사스에서 열린 한
학회
에서 미국 텍사스 라이스대의 로버트 컬 교수를 만나 이 이상한 모양의 데이터에 대해 의논했다. 그 결과 라이스대의 리처드 스몰리 교수팀과 공동연구를 하게 됐고, 그해 9월 마침내 이 데이터가 축구공모양의 ... ...
특집Ⅲ 2006 노벨상을 만나다
과학동아
l
2006년 11호
점이다. 스트루코프(I. A. Strukov)를 포함한 4명의 과학자는 1992년 5월 러시아 천문
학회
지에 우주배경복사의 미세 온도 요동을 검출했다는 논문을 발표했지만 주목받지 못했다. 한편 코비 프로젝트의 베넷 박사는 1993년 논문에서 렐릭트가 검출한 미세 온도 요동 값이 코비의 값과 크게 다르다고 ... ...
마음 읽고 배려하는 '똘똘한 칩'
과학동아
l
2006년 10호
기술은 아직 1단계다. 몸으로 주고 받는 인체통신기술연구팀은 올해 2월 국제고체회로
학회
(ISSCC)에서 전선 대신 사람의 몸을 이용해 고속으로 MP3 파일을 전송하는 ‘인체통신기술’을 발표했다. 몸 안에 전류가 흐르면 위험하지만 인체를 매질로 전파를 전송하는 것은 감전의 우려가 없다. ... ...
빛의 혼돈이 만든 초소형 레이저
과학동아
l
2006년 10호
최신 버전을 주제로 강연을 했다. 또 9월에는 일본 오사카에서 열린 ‘양자역학과 혼돈
학회
’에 초청연사로 나섰다. 그만큼 광혼돈현상제어연구단이 세계적인 연구팀으로 성장한 것이다.김 교수는 “마이크로디스크 레이저를 연구하고 양자 혼돈을 이용한 암호화 기술을 개발해 국가간 정보전에 ... ...
내 머릿속의 국어사전
과학동아
l
2006년 10호
비해 활성화 정도가 더 크게 나타났다. 이같은 연구결과는 올해 초 ‘실험 및 인지 심리
학회
학술대회’에서 발표됐다.세종대왕이 창제한 한글이 말소리가 중요한 음운글자임이 한국인의 뇌 속에 깊이 박혀있다는 사실이 현대과학으로 밝혀지고 있는 셈이다 ... ...
히파르쿠스와 브래들리
과학동아
l
2006년 09호
관측하는 열성을 보였다. 파운드는 그의 열정과 능력에 놀랐고 25세의 브래들리를 왕립
학회
회원으로 추천했다.브래들리는 대학을 졸업한 뒤 2년간 아버지의 강요 때문에 잠시 목사직을 맡기도 했으나 옥스퍼드대에 천문학교수 자리가 비자 후임자로 발탁됐다. 원래 교수 후보는 파운드였으나 ... ...
2. 우리 쌀은 좋은 것이야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박사는 ‘고아미2호의 효능과 이용’에 관한 논문으로 일본에서 열린 국제동맥경화
학회
에서 우수논문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정성이 만들어낸 경쟁력기능성 쌀의 품종 개발은 돌연변이 육종법을 따른다. 지금까지 발견되지 않은 새로운 형질을 얻으려면 돌연변이를 일으켜야 한다. 자연 돌연변이의 ... ...
조지 에어리와 윌리엄 도즈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발탁되면서 그는 본격적인 천체 관측을 시작한다. 금성에 대한 논문으로 영국 왕립
학회
상을 수상한 것도 이 무렵이다. 1835년에는 그리니치천문대의 7대 대장에 취임해 영국을 대표하는 천문학자가 됐다.광학에 관심이 많던 그는 25세에 난시용 안경을 개발했으며 1834년에는 별의 회절현상에 대한 ... ...
저항 비켜! 초전도가 뜬다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받았으며, 지난 7월 10일~14일 독일 드레스덴에서 열린 세계 최대 규모의 초전도
학회
(M²S-HTSC)에 한국 대표로 참가해 이붕소마그네슘에 대한 초청강연을 하기도 했다.이 교수팀은 특히 세계 최초로 이붕소마그네슘의 박막과 결정을 제조하는데 성공했다. 이 과정에서 박막 제조장치와 초고압 신물질 ... ...
공룡시대의 거미 발견
과학동아
l
2006년 07호
발견한 호박 속의 거미 화석이 1억2100만~1억1500만년 전의 것임을 알아내 영국왕립
학회
지 ‘바이올로지 레터스’ 6월 14일자에 발표했다.이 거미는 신종으로 ‘메소지기엘라 둔로피’(Mesozygiella dunlopi)라는 이름이 붙었다. 현재 둥글게 거미줄을 쳐서 곤충을 잡아먹는 거미는 2847종에 이르는데, 이번에 ... ...
이전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