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집회
회합
위원회
모임
소사이어티
협회
단체
d라이브러리
"
학회
"(으)로 총 1,863건 검색되었습니다.
분자의 과속은 무죄!
과학동아
l
2006년 02호
말하면서 “자신의 연구 분야에서 세계적으로 인정을 받고, 논문이 인용되고,
학회
에 초청되면서 외국 학자들 사이에 내 이름이 회자되는 것이 기쁨이고 보람”이라고 말했다.그간의 노력 때문일까. 최근 경사가 겹쳤다. 지난해 12월에는 교육인적자원부가 지원하는 ‘스타 패컬티’(Star Faculty)에 ... ...
차세대 하이브리드카 기술
과학동아
l
2006년 02호
의해 보급되었다열에 의한 광학적 성질의 변화에 관한 연구 등도 있다1870년 프랑스광물
학회
초대 회장을 역임했다폭발의 한 형태 폭발 반응이 진행되는 속도가 음속을 초월하는 현상을 말한다폭약은 열역학적으로 매우 불안정한 물질이어서 폭약의 한 점에 열 · 충격 등 어떤 외적 에너지를 주어 ... ...
2005년 과학계 10대 뉴스
과학동아
l
2006년 01호
첫 선을 보였다. 또 와이브로 기술을 근간으로 하는 모바일 와이맥스가 국제전기전자
학회
(IEEE)에서 국제표준으로 공식 승인됐다.05_지상파 DMB방송 세계 최초 서비스 시작2005년 12월 지상파 이동멀티미디어방송(DMB) 본 방송이 시작됐다. 지상파DMB는 우리나라 자체 기술로 개발돼 독일, 중국, 멕시코 등 ... ...
보르네오 밀림에서 정체불명의 동물 발견
과학동아
l
2006년 01호
현지 주민이나 야생동물 전문가들도 처음 보는 동물이라고 말했다”고 밝혔다.런던동물
학회
의 닉 아이작 박사는 “이번 발견만으로 이 동물이 새로운 종인지 밝히는 것은 어렵다”며 “이 동물의 털을 얻는다면 모낭에 들어있는 DNA를 분석해서 신종 여부를 가릴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
고환 크면 머리 나쁘다
과학동아
l
2006년 01호
시라큐스대 스코트 피트닉 교수는 박쥐 334종의 두뇌와 고환의 크기를 비교해 영국왕립
학회
초록 12월호에 발표했다.박쥐는 종에 따라 고환의 크기가 매우 다른 동물이다. 박쥐의 종에 따라 몸무게에서 고환이 차지하는 비율은 0.12~8.4%에 달한다. 영장류는 종에 따라 0.02~0.75%에 불과하다.피트닉 교수는 ... ...
과학 대중화에 뛰어든 블랙홀 박사
과학동아
l
2006년 01호
뒤에도 아마추어 천문학에 대한 그의 열정은 식지 않았다. 1991년 그는 한국아마추어천문
학회
(KAAS)를 창립해 초대 회장을 맡았고 20세기 말까지 회원의 수를 10만 명까지 늘리고자 하는 ‘10만양병설’을 주장하기도 했다.1992년 그는 한국 아마추어 천문인 모두에게 길이 남을 사건을 터뜨렸다. ... ...
스트루베와 뉴컴
과학동아
l
2006년 01호
70년 미국 해군성은 세계 최대의 천문대를 계획한다. 당시 세계 최대의 망원경은 영국왕립
학회
회원이면서 아마추어 천문가였던 뉴올이 개인적으로 갖고 있던 구경 64cm 짜리였다. 그 아버지에 그 아들정밀한 망원경으로 명성을 얻기 시작한 클라크가 1873년 마침내 66cm 망원경을 만들면서 미국 ... ...
입시 벗어나 논문 쓰는 고등학생들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수학여행이나 미국 명문대 실험실 등을 찾아가 배우는 기회가 주어진다. 현재 세계영재
학회
를 통해 영국, 태국, 호주 등 6개국 11개 외국학교와 교류가 진행 중이다. 학교를 둘러 본 외국 교사들은 부러움을 금치 못했다는 후문이다. 한국과학영재학교처럼 정부가 체계적·조직적으로 지원하는 ... ...
시리우스 커플의 빛나는 댄스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독자적으로 움직인다는 것에 확신을 가졌지만 핼리로서는 조심할 수밖에 없었다. 그는
학회
에서 문제 제기를 하는 정도로 별의 고유운동을 언급했다. 이 고유운동이 실제로 증명되고 대부분의 과학자들이 믿게 된 것은 그로부터 약 100년이 지난 뒤였다.핼리에게 잠시 관심의 대상이 됐던 이 별이 ... ...
1905년 11월 1일 날씨맑음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시작지임을 알리는 기념비까지 세웠다. 여러 다른 의견이 있었음에도 일본기상
학회
의 주장만을 따른 결과다. 물론 보는 각도에 따라 일본의 주장이 옳다 할 수도 있겠으나, 침략의 역사를 잔치까지 열어가며 기념한 것은 아무래도 설득력이 부족하다. 잘못된 잔치가 200, 300년 이어지는 것을 막는 ... ...
이전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