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바로"(으)로 총 1,770건 검색되었습니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약이 되는 독액 이야기2018.09.04
- 동물도 목숨을 잃는 것이다. 흥미롭게도 KCNQ 칼륨 통로를 열어주는 약물이 있으니 바로 뇌전증(간질) 치료약인 레티가빈(retigabine)이다. 그렇다면 레티가빈이 지네에 물렸을 때 해독제 역할을 할 수 있을까. 동물실험 결과 생쥐에 SsTx를 주사할 때 레티가빈을 함께 넣어주면 독성이 꽤 완화되는 ...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뱃살의 과학2018.08.28
- 우리 몸의 구조나 생리에 대한 지식이 오히려 더 와닿는다. 이를 잘 보여주는 책이 바로 ‘우리 몸 연대기’다. 리버먼 교수는 오늘날 만성질환이 만연한 건 우리 몸의 많은 특징들이 인류가 진화한 환경에서는 ‘적응’이었지만, 현대 환경에서는 ‘부적응’이 된 결과라고 설명한다. 이를 ... ...
-
- “엄마는 네안데르탈인, 아빠는 데니소바인” 게놈 연구 결과 첫 확인동아사이언스 l2018.08.23
- 데니소바인의 유전자가 거의 같은 비율로 섞여 있었다”며 “이는 이 유전자들이 소녀의 바로 윗세대, 즉 부모로부터 각각 왔다는 뜻”이라고 밝혔다. 서로 다른 두 종의 부모가 남긴 자녀의 게놈이 발견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2012년 러시아 고고학자들이 발견한 뼛조각들 - 독일 ...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여성을 믿지 못하는 사람들 2018.08.18
- 일어나자마자 바로 경찰에 신고를 해야 하고 가해자와 자신을 분리해야 하지만, 또 바로 차분하고 빈틈없이 대처 했다면 그건 이성이 남아 있다는 반증이니 피해가 크지 않았던 것이거나 계획적인 것이 아니었냐는 의심을 받는 등 뭘 어떻게 해도 ‘피해자답지 않다’는 답만이 남는 중세의 이단 ... ...
-
- [지구를 위한 과학] 제비 몰러 나간다~! 정다미 연구원이 꿈꾸는 세상 어린이과학동아 l2018.08.17
- 있는 꾸룩새연구소에서 정다미 연구원의 이야기를 들어 봤다. ☞제비연구기 WildToon 바로가기 정다미 연구원(꾸룩새연구소 소장, 이화여대 에코과학부 연구원) 수리부엉이는 내가 지킨다! “어릴 적부터 이곳은 동네 친구들보다 새를 더 자주 볼 수 있는 곳이었어요. 식사를 하다가 창문 ... ...
-
- 오늘은 나도 돌고래 연구자! 지구를 위한 과학, 제주 돌고래 탐사 열려동아사이언스 l2018.08.11
- 식별하고, 성별과 먹이도 식별할 수 있어요. 등지느러미에 ‘1’이라고 쓰여 있는 개체가 바로 제돌이랍니다.” 제돌이는 서울대공원 수족관에 있다가 5년 전 제주 앞바다로 돌아간 남방큰돌고래로, 당시 이를 계기로 돌고래 보호와 연구에 대한 관심이 크게 일어났다. 이후 이화여대 ...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늘 거절이 어려운 당신에게2018.08.05
- 약자가 비교적 큰 부작용 없이 쉽게 자신의 주관을 밀어붙일 수 있을 때가 있었는데 바로 ‘동료’를 위해 이야기할 때, ‘전문 지식’이 있을 때, 또 해당 분야에 ‘열정’을 가지고 있었을 때였다고 한다. 즉 스스로를 위해 나서는 것은 어려울지 몰라도, 힘들어하는 동료를 위해 나서는 것은 ...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동물 다세포성의 기원에 대한 고찰2018.07.10
- 단세포성이 커진다는 건 세포 증식을 지향하고 사멸을 피하는 방향으로 간다는 말이다. 바로 암세포의 특징이다. 한편 암세포에서 스트레스 반응과 관련한 유전자 발현의 경우 단세포 기원은 55%가 늘었고 다세포 기원은 69%가 줄었다. 즉 암세포에 스트레스를 주면 단세포성이 오히려 더 ...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내향적 사람도 행복할 수 있나요2018.07.07
- 연구 끝에 알려진 행복한 사람들의 가장 큰 특징 중 하나가 바로 높은 사회성이다(Myers & Diener, 1995). 일반적으로 사회성이 좋고 양질의 인간관계를 영위하는 사람들이 그렇지 않은 사람에 비해 훨씬 행복한 경향을 보인다. 주변 사람들에게 사랑받고 인정받는 것이 큰 염원인 사회적 동물에게 있어 ...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아픔까지 느껴지는 의수(義手) 개발했다!2018.06.26
- 이에 대해 라마찬드란은 체감각피질의 손의 영역 바로 위에 팔죽지를 맡은 영역이, 바로 아래에 얼굴을 담당하는 영역이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결국 이 사람은 웃음을 짓거나 입술을 움직일 때마다 체감각피질의 손 영역이 자극돼 손이 여전히 있다는 환상이 만들어진 것이다. 그리고 환상 ... ...
이전10911011111211311411511611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