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즉석
곧
즉시
당장에
직접
꼭
varo
스페셜
"
바로
"(으)로 총 1,783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푸른' 종소리 '보는' 공감각의 비밀 풀렸다
2018.03.13
모습이 지금도 눈에 선하다. (‘과학동아’ 2008년 6월호 54쪽 ‘오감의 네트워크 공감각’
바로
가기 ) “13은 흰색과 노란색이 겹쳐진 바나나 같은 이미지고요, 24는 초록색과 수박색이 합쳐진 ‘청치마에 다홍저고리’ 같은 느낌입니다. 그래서 그냥 4와 24의 4의 느낌이 같지는 않아요.” 당시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부족한 의지력을 탓하지 마세요
2018.02.24
더 주겠다’고 했을 때 십분여를 더 기다렸다가 하나를 더 받는 아이와 그렇지 않고
바로
먹어버리는 아이들 사이에 이후 성적 등에서 차이가 나타났다던가, 일반적으로 자기통제력이 높은 사람들이 그렇지 않은 사람들에 비해 건강하고 각종 사고나 알콜중독, 범죄 등을 덜 저지르게 된다는 연구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저지방 식단 권장, 설탕 업계 음모?
2018.02.20
당연구재단이 연구비를 댔다는 언급이 없었다. 2016년 'JAMA내과학' 논문이 문제 삼은 게
바로
이 장면으로, 그 앞의 정황을 모른다면 헤그스테드가 정말 SRF의 꼭두각시 노릇을 했다고 볼 수밖에 없을 것이다. 입맛에 맞는 과학자를 찾은 것일 뿐 존스와 오펜하이머는 오늘날의 관점에서 당시를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가난과 불공정
2018.02.17
사람들의 가장 큰 문제는
바로
가난한 것이라는 이야기를 들은 적이 있다. 흔히 가난한 사람들은 게으르고 노력하지 않아서 가난한 것이라고 가난에는 다른 이유들이 있다고 생각하지만, 실은 다른 무엇보다 가난 자체가 가난한 사람을 옭아매는 족쇄라는 것이다. 일례로 돈에 대한 걱정을 하게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구글은 왜 벌거숭이두더지쥐에 주목했나
2018.02.06
1980년 케이프타운대 시절부터 한 동물에 꽂혀 지금까지 줄기차게 연구하고 있는데
바로
벌거숭이두더지쥐(naked mole rat)다(물론 다른 동물들도 연구했다). 즉 구글은 벌거숭이두더지쥐가 노화 연구의 열쇠를 쥐고 있다고 판단하고 최고 전문가를 영입한 것이다. 사하라 사막 이남 동아프리카에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설탕보다 낫다더니... 트레할로스의 씁쓸한 이면
2018.01.30
아미노산이 류신에서 아이소류신으로 바뀌었다. TreR 단백질은 전사억제인자로 게놈에서
바로
뒤에 있는 treA 유전자의 발현을 억제한다. 변이가 일어난 TreR 단백질은 억제 능력이 뚝 떨어졌다. 한편 treA 유전자가 발현돼 만들어지는 단백질은 트레할로스를 포도당으로 분해하는 효소다. 즉 treR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판단하지 않고 받아들이는 연습
2018.01.27
고통에 대해 평정심을 유지하는 동시에 고통을 더 잘 ‘이해’하게 된다고 한다. 그리고
바로
이 점이 자신의 고통뿐 아니라 타인의 고통에 대한 이해심과 포용력을 높여줄 것으로 이야기 된다. 누군가의 고통을 이해하고 배려심을 보이기 위해서는 먼저 자신의 고통을 이해하고 받아들이는 것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청바지 파란색 인디고, 녹색으로 거듭날 수 있을까?
2018.01.23
그리고 청바지 특유의 물 빠짐 현상을 가능하게 해주는 파란색 염료는 딱 하나다.
바로
인디고(indigo)다. 인디고의 연간 생산량은 5만 톤(2011년)인데 이 가운데 95%가 데님을 물들이는 데 쓰인다. 청바지가 인디고의 존재의 이유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렇다면 인디고 염료는 왜 천에 꼭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술이 안 받는 사람은 안 먹는 게 낫다!
2018.01.16
밝혔다. 설사 표준형 Aldh2 유전자를 지닌 사람이더라도 몸에서 알데히드가 생기자마자
바로
아세트산으로 100% 바꿀 수는 없기 때문에 DNA는 조금이라도 손상을 입기 마련이다. 다만 보통 사람들은 이를 복구하는 시스템이 있기 때문에 큰 문제로 이어지지 않는 것이다. 그렇다면 Aldh2 유전자의 ... ...
[강석기의 과학카페] 9000년 전 사냥개의 활약상 생생하게 묘사된 암각화 감상법
2018.01.09
등장하는 암각화다. 왼쪽에 암말(말은 수년 천 뒤에야 가축이 된다)과 새끼가 보이고
바로
앞에 사냥꾼이 활로 암말을 겨누고 있고 주변을 개들이 둘러싸고 있다. 오른쪽에 또 다른 사냥꾼이 역시 활로 암말을 겨누고 있고 개 십여 마리가 사냥감을 향해 포진해 있다. 암말과 새끼의 입장에서는 ... ...
이전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12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