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즉석
곧
즉시
당장에
직접
꼭
varo
스페셜
"
바로
"(으)로 총 1,783건 검색되었습니다.
기근과 말라리아로 덮인 나이지리아
동아사이언스
l
2017.04.10
않습니다. 2014년에 나이지리아에서 여학생 276명이 납치된 적이 있었는데, 그 범인이
바로
보코하람이었습니다. 이 때 납치된 여학생들이 어떤 취급을 당했는지는 굳이 말하지 않아도 다 아실 거라 봅니다. 2015년 나이지리아 정부가 보코하람과의 전쟁을 선포하고, 보르노 주의 마이두구리 지역을 ... ...
봄 타는 식물, 꽃 피우는 비밀
동아사이언스
l
2017.04.05
정단조직으로 이동한다는 증거를 밝히면서 플로리겐의 수수께끼는 풀렸다. 정단조직은
바로
식물에서 꽃이 피는 장소다. FT단백질은 다른 어떤 호르몬보다 분자량이 큰 호르몬인 플로리겐이었던 것이다. 플로리겐 발견 논란은 70년 만에 마침표를 찍게 됐다. 피오나1, FLM 등 다양한 개화 유전자 발견 ... ...
[표지로 읽는 과학]DNA가 세포마다 다르게 발현되는 이유는 ‘종이접기’ 때문
동아사이언스
l
2017.03.26
Praetorius)와 헨드릭 디 에츠(Hendrik Dietz)의 연구결과를 시각적으로 표현한 것이다. (※논문
바로
가기) 머리부터 발끝까지, 우리 몸 세포에 들어있는 DNA는 염기서열이 모두 동일하다. 하지만 세포마다 발현되는 양상은 서로 다르다. 연구진은 그 이유가 세포마다 구성성분이 조금씩 달라 DNA가 접히는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또 다른 식욕억제호르몬 찾았다!
2017.03.21
높아진 결과다. 뉴런의 아데노신 수용체에 달라붙어 이런 작용을 방해하는 물질이
바로
카페인이다. 커피를 먹으면 한동안 정신을 말똥말똥해지는 이유다. 문득 의지보다는 몸 속 호르몬과 신호분자가 우리의 행동에 미치는 영향이 훨씬 더 큰 게 아니가 하는 생각이 든다. 식욕은 물론이고 성욕, ... ...
11만 년 전 동아시아에는 머리가 아주 큰 사람이 살았다
2017.03.14
데니소바인일 가능성이 있는 발굴이 더 있었다. 이번에 두개골이 나온 허난성(河南省)의
바로
위 허베이성(河北省)의 쉬지아야오(Xujiayao) 유적지에서 발굴한 턱뼈 일부와 치아 아홉 개를 분석한 결과 10만~12만5000년 전으로 밝혀졌는데 어금니가 크고 튼실해 데니소바인의 어금니를 연상케 했다. 이 ... ...
이 세상에 없는 새로운 물질 형태를 찾아내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3.12
또한 발견되지 않았던 새로운 상태의 물질을 만들어낸 것이지요. 네이처 표지는
바로
이 상태를 최대한 시각적으로 구현했습니다. 투명한 결정은 원자 배열의 ‘규칙성’을 나타냅니다. 결정 우측 상단의 숫자는 시간을 의미하지요. 숫자을 잘 보면 잘 보면 시간이 흐르는데 동일한 형태가 ... ...
장내 미생물로 면역질환 치료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3.07
면역조절제를 개발한 뒤 이스라엘 제약회사 테바(Teva)에 기술을 이전한 과학자들이
바로
이 학과 소속이었고, 이러한 기초연구기반 응용 연구를 상업화해서 학교와 나라에 큰 기여를 하는 학과였습니다. 'Bench-to-Bedside' 연구(임상 또는 실험 모델을 통해 질병의 진단·예방·치료기술의 생물학적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아킬레스건의 재료과학
2017.03.07
발을 뗄 때 수축되면서 장딴지근의 일을 많이 덜어준다. 이런 일이 가능한 게
바로
콜라겐섬유의 점탄성 때문이다. 반면 힘줄말단의 경우는 힘줄과 뼈가 서로 달라붙어 엄청난 힘에도 떨어지지 않게 해야 하므로 섬유가 나란히 배열된 구조(점탄성에 최적화) 대신 그물망 구조를 이뤄야 한다. 실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동물들은 얼마나 똑똑할까
2017.02.28
뿐 아니라 ‘이게 과연 열 가지에 뽑힐 연구인가?’라는 의문이 든 성과가 하나 있었다.
바로
유인원의 약간 수준 높은 ‘마음의 이론’에 대한 발견이다. 마음의 이론은 말 그대로 상대의 마음(생각)을 유추해 그에 맞춰 대응하는 능력이다. 그런데 유인원은 상대가 ‘틀린 믿음을 갖고 있을 경우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박테리아도 튜링테스트 받았다
2017.02.14
집단행동에 들어간다. 가장 흔한 결과가 생물막(biofilm) 형성으로, 치아에 낀 치석이
바로
구강미생물이 만든 생물막이다. 한편 비브리오 피셰리(Vibrio fischeri)라는 해양 박테리아는 밀도가 높아지면 빛을 낸다. 그렇다면 박테리아가 동료로 착각한 인공세포는 어떻게 만든 것일까. 먼저 인공세포와 ... ...
이전
117
118
119
120
121
122
123
124
12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