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아이팟나노
아이팟
쥐샥
아이팟 나노
아이팟나mp3
아이팟나노 4
아이팟나노 512
d라이브러리
"
나노
"(으)로 총 1,438건 검색되었습니다.
분자의 과속은 무죄!
과학동아
l
2006년 02호
돌아가면서 빛을 낸다는 사실을 밝혔다.1995년부터 김 교수는 ‘스피드’를 높였다.
나노
에서 피코, 펨토까지 수년 새 시간을 100만배나 단축했다. 1997년 창의연구단을 시작할 때는 과학자들에게도 생소했던 펨토초 연구를 이제는 꽤 ‘대중적’으로 만들었다.김 교수는 “이 분야가 결코 대중적인 ... ...
기계를 꿈꾸는 인간, 인간을 꿈꾸는 로봇
과학동아
l
2006년 02호
그녀의 실험은 반도체 기술과 만나면서 참신함을 더한다.ICU디지털미디어랩이 만든 ‘
나노
로봇’은 공기처럼 우리 주변에 퍼져있을 미래의 로봇을 잘 형상화하고 있다. 사람의 움직임과 소리에 반응하는 작은 로봇들을 천정에 가득 매달아 놓은 이 작품은 인간과 적극적으로 소통하기를 꿈꾸는 미래 ... ...
미래 정보저장기술의 주인공
과학동아
l
2006년 02호
매년 초면 카지노와 오락의 도시로만 알려진 미국 라스베이거스에 세계 산업계의 이목이 집중된다. IT기술 무한 경쟁의 장인 ‘국제가전 ... 석권할 것으로 확신한다. 이를 위해 필자를 비롯한 많은 연구자들이 초정밀
나노
기술의 융합체인 광정보저장기기 분야에서 활발하게 연구하고 있다 ... ...
플라스틱으로 만든
나노
칵테일
과학동아
l
2006년 01호
고분자유체실험실이었다. 그 뒤 기능성 고분자에서 콜로이드 광자 결정, 고분자 광섬유,
나노
소재까지 연구하며 계속 연구 범위를 넓혀왔다.박 교수는 “전공을 바꾼 이유는 학생들의 관심이 산업 발전에 따라 전자소재 쪽으로 자연스럽게 이동했기 때문”이라며 “현재 연구 분야도 학생들의 ... ...
2005년 과학계 10대 뉴스
과학동아
l
2006년 01호
02_세계 최초 50
나노
16기가 낸드플래시 메모리 개발삼성전자가 세계 최초로 50
나노
(1
나노
는 10억분의 1m) 공정기술을 적용한 16기가비트급 낸드플래시 메모리 개발에 성공했다.03_중·저준위 방사성 폐기물 처리장 부지 선정중·저준위 방사성 폐기물 처리장(방폐장) 부지로 경북 경주시 양북면 봉길리가 ... ...
PART2 과학동아가 걸어온 20년
과학동아
l
2006년 01호
작업을 가능하게 했다. 이를 통해 과학동아는 한국 과학저널리즘을 주도했다.생명과학과
나노
과학이 21세기 최고의 과학으로 떠올랐다. 생명과학은 새로운 이슈를 계속 쏟아냈다. 여러 차례 인간게놈프로젝트 특집이 나갔으며 ‘코리안게놈프로젝트’(2002.11), ‘복제인간’(2003.1), ‘복제인간, ... ...
북극곰도 겨울잠을 잘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23호
다시 깨우는 방법은 개발되지 않았지요. 사람을 냉동시킬 때 파괴된 세포를 고칠 수 있는
나노
기술이 개발되어야 깨어날 수 있답니다. 냉동된 채로 미래로 가고 있는 냉동인간들. 그들은 깨어날 수 있을까요?따뜻한 봄을 기다리며동물들이 겨울잠을 자는 이유는 춥고 먹이도 없는 추운 겨울을 무사히 ... ...
금
나노
는 도깨비 방망이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전혀 쓰지 않고도 촉매와 반응조건을 조절하자 선택적 산화반응이 일어났다. 이는
나노
금 입자를 사용해 효율적이고 안전하게 많은 화학물질을 생산할 수 있다는 뜻이다 ... ...
나선이 지그재그를 만날 때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같은 형광 염기로 바꾸면 구조 변화를 빛으로 알려 주는 스위치로 이용할 수 있어
나노
센서로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네가티브 슈퍼코일링(negative supercoiling)차곡차곡 염기결합을 하고 있는 DNA가 RNA를 만들기 위해 이중나선을 푼다. 이 때문에 DNA의 다른 쪽에는 거꾸로 염기결합의 밀도가 ... ...
부팅시간 '0' 탄소
나노
튜브메모리칩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이것은 오늘날 사용하는 메모리 카드보다 크다. 그러나 난테로의 그렉 슈머겔 사장은 “
나노
튜브 메모리는 오늘날 가장 빠른 플래시 카드보다도 10배 이상 빠르다”고 설명했다. 그는 “NRAM은 우주방사선의 영향을 받지 않아 우주선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 ...
이전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