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대신"(으)로 총 5,629건 검색되었습니다.
- [이 얼굴을 지켜 주세요!] 두 개의 금줄을 등에 지닌 금개구리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7호
- 게다가 울음 주머니가 다른 개구리보다 덜 발달돼 있어서 큰 소리로 울지 못해요. 그 대신 ‘딱그르르, 뽁’하는 독특한 소리를 낸답니다. 이런 여러 이유 탓에 예부터 충청도 지역에서는 금개구리를 ‘멍텅구리’라고 친근하게 불렀지요. 과거 금개구리는 논 주변에서 쉽게 관찰할 수 있는 ... ...
- 좁은 공간에서 큰 물건 돌리기 리버스 가케야 문제수학동아 l2018년 07호
- 한다는 것이 증명돼 있습니다. 좁은 방에서 소파 돌리기이번에는 작대기 대신 소파처럼 좀 더 크고 모양도 다양한 가구를 돌려봅시다. 그런데 이 경우엔 가구 모양이 정삼각형과 정사각형같이 가장 기본적인 도형일 때도 최소 넓이를 갖는 방이 어떤 모양인지 알려지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 ...
- [국립과학관 공동특별전] 수학나라의 앨리스수학동아 l2018년 07호
- 다양한 퍼즐과 미로를 풀 용기가 필요합니다. 앨리스를 돕는 체셔 고양이와 생쥐 대신 친구와 부모님과 힘을 합치면 더욱 좋겠죠? 이번 모험은 국립광주과학관에서 준비한 공간 4곳에서 펼쳐집니다. 다면체와 프랙털, 조형물을 볼 수 있는 ‘신비한 정원’, 퍼즐과 미로로 꾸민 ‘수수께끼의 방’, ... ...
- [Origin] 성체줄기세포의 세포 ‘리필’ 능력은?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수 있지만 피부세포나 근육세포를 만들어 내지는 못합니다.과학자들은 성체줄기세포 대신 체세포줄기세포라는 용어를 쓰기도 합니다. 성체줄기세포가 성체 또는 어른에게만 존재하는 게 아니라 배아 발달을 마친 어린개체에도 존재하기 때문입니다. 성체줄기세포의 뛰어난 분열 ... ...
- [인터뷰] 조성관 전남과학고 입학관리부장 “자기주도형 인재 기다린다”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중요한 것은 추천 교사의 진정성이다. 작년부터 추천 교사의 서술 분량을 1000자로 줄인 대신, 체크리스트 형태의 질문지를 별도로 제공하고 있다. 주관적이고 인정에 얽매인 평가가 아닌 솔직하고 냉정한 평가를 받기 위해서다. 조 부장은 “과학고에 입학한 뒤 학습 수준에 적응하지 못하는 ... ...
- [특별인터뷰] 종이비행기, 국가대표를 만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7호
- 빠르게 날아가요. 이와 다르게 활공형 비행기는 날개가 넓어서 공기저항을 많이 받는 대신, ●양력을 많이 받아서 더 오랫동안 날 수 있지요.” ●양력 : 비행기가 아래에서 위쪽 방향으로 받는 힘. 오래 날리기 종목의 이정욱 선수는 자신의 대표적인 비행기 ‘버드맨’을 소개했어요. 버드맨의 ... ...
- [BJ맹추의 수동TV] 기사 속 수학 개념 완전정복수학동아 l2018년 07호
- 된다!’, ‘각도 아웃!’ 등 반응이 아주 좋군요.그런데 아직 좋아하긴 이릅니다. 도(°) 대신 새로운 단위를 배우거든요. 나쁜 소식도 있다고 미리 말했으니 ‘낚였다’는 말은 삼가주세요. 새로운 단위가 무엇인지 알아보기 전에 우선 도(°)는 무엇이고 왜 새로운 단위가 필요한지부터 살펴보도록 ... ...
- Part 4. 게임의 미래 책임질 인공지능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어떤 그림인지 판단하는 ‘라임(lime) 알고리즘’을 적용했다. 문장 전체를 분석하는 대신 욕으로 의심되는 부분만 추출해 판단할 수도 있다. 유저들이 새로운 욕을 할 때마다 스스로 학습해 금칙어 데이터를 늘려나간다. ‘18’이라는 숫자를 ‘18채널’처럼 일반 단어로 사용했는지 욕설로 ... ...
- [인터뷰] “꿈을 향한 3년 고교생활 일관되게 드러내야”과학동아 l2018년 07호
- 딱 세 가지만 본다. 따로 논술이나 구술시험을 준비하지 않아도 된다는 장점은 있지만, 대신 고등학교 성적이 다른 어떤 전형보다 당락에 큰 영향을 끼친다는 어려움도 있다. 서 씨는 고교 시절 내내 평균 1.3~1.4등급의 높은 내신 등급을 유지했다. 그 중에서 채점 비율이 높은 수학·과학의 경우 더 ... ...
- [현장취재] 색(色) 다른 공룡이야기 이야기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6호
- ” 갑작스러운 질문에 친구들은 섣불리 답을 하지 못했어요. 그러자 박진영 연구원이 대신 그 답을 알려 줬지요. “공룡이 이 시기에 번성할 수 있었던 것은 ‘아래로 쭉 뻗은 다리’ 덕분이에요. 악어처럼 다리가 옆으로 뻗은 다른 동물보다 민첩하게 움직여 먹이 사냥에 유리했거든요. 또 당시는 ... ...
이전11011111211311411511611711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