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대신"(으)로 총 5,629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5. 바다와 논밭을 누빈다! 농수산 군집로봇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6호
- 대 또는 아홉 대가 한꺼번에 출격하지요. 빨리 출동하기 위해서 로봇의 크기를 작게 만든 대신 여러 대를 한꺼번에 작동시켜서 더 많은 해파리를 빠른 시간에 제거할 수 있답니다. 제로스 로봇들은 V자 형태로 늘어서서 이동해요. 철새들이 먼거리를 이동할 때 V자 모양으로 날면서 에너지를 아끼는 ... ...
- Part 3. 경주 양성자-포항 전자-대전 중이온, 의 좋은 ‘가속기 삼형제’과학동아 l2018년 06호
- 만큼 월등히 앞선다. 김귀영 양성자가속기연구센터장은 “특별히 고에너지가 필요 없는 대신 많은 양의 양성자 공급이 필요한 물질 분석 및 물성 변화 등의 응용과학과 산업 분야 연구에서 활용 가치가 높다”고 말했다. 의료, 산업, 응용과학 일꾼현재 양성자가속기는 연간 200명 이상의 ... ...
- 누구나 쉽게 상상을 현실로, 한캐드수학동아 l2018년 06호
- SW 한캐드를 전면 무료화한다고 발표했다. 학생들이 쓰기에는 어려울 수 있는 해외 SW 대신, 쉽게 조작할 수 있는 한캐드를 무료로 다운받아 쓸 수 있게 한 것이다. 프로그램이 모두 한글로 돼 있기 때문에 처음 접하더라도 편하게 이용할 수 있다. 강대영 로이비즈 대표는 “3D프린터로 출력할 물체를 ... ...
- [포커스 뉴스] ‘꽃의 여왕’ 장미, 유전자 지도 완성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장미 꽃잎 색을 결정하는 색소인 ‘안토시아니딘(anthocyanidin)’의 합성을 활성화하는 대신, 향기를 내는 물질인 ‘저마크렌 D(germacrene D)’의 생성을 억제하기 때문이다. 연구팀은 장미의 ‘miR156’ 유전자의 발현이 SPL9 유전자의 활성을 억제한다는 사실도 확인했다. 지금까지 장미 육종은 더 진하고 ... ...
- [Tech] 과학으로 달리는 전기자전거과학동아 l2018년 06호
- 공유사업에 뛰어들었다. 땀 흘리지 않고 편하게 탈 수 있는 전기자전거가 자동차를 대신할 대항마로 떠오르고 있다. 모터에 달린 센서가 힘 인식전기자전거는 말 그대로 충전된 배터리를 장착해 모터를 돌려 움직이는 자전거를 말한다. 이날 앞을 보기 힘들 만큼 바람이 심했지만, 전기자전거는 ... ...
- 어느 수학자의 하루 - 커피, 맥주, 거품, 소음수학동아 l2018년 06호
- 덜 튄다는 사실까지 발견했다. 평소 당신이 음료를 들고 움직일 때 잘 흘린다면 머그잔 대신 와인잔에 음료을 담아 컵의 윗부분을 잡고 뒤로 걸어가기를 권한다. Hz★진동수의 단위. 초당 반복 운동이 일어난 횟수. 존 리처드 오켄돈 영국 옥스퍼드대학교교수팀은 이 아마추어 과학자의 연구에서 ...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 따라잡기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6호
- 한답니다. 음료수가 가득 찬 컵에 한두 방울을 더 떨어뜨려도 음료수는 넘치지 않아요. 대신 표면이 동그란 언덕 모양을 이루지요. 이러한 현상이 나타나는 이유는 표면장력 때문이에요. 표면장력은 ‘겉 표(表)’와 ‘얼굴 면(面)’, ‘당길 장(張)’, ‘힘 력(力)’이 합쳐진 단어예요. 이중 ‘표 ... ...
- [과학뉴스] 조용히 수영하는 ‘뱀장어 로봇’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캘리포니아대(UC샌디에이고)와 버클리 캘리포니아대(UC버클리) 공동 연구팀이 전기모터 대신 물을 채운 인공근육을 이용해 소음이 없는 뱀장어 로봇을 개발했다. 지금까지 수중 로봇은 대부분 프로펠러가 장착된 전기모터로 움직였다. 전기모터가 돌아가면서 소음이 발생해 해양생물을 놀라게 ... ...
- Part 2. 우주 기원부터 암 치료까지 라온이 이끌 연구 4과학동아 l2018년 06호
- 과정은 ‘핵합성’이라고 볼 수 있다”며 “결국 가속기는 우주에서 중성자별의 역할을 대신해 지상에서 원소를 합성해낼 수 있는 실험 시설”이라고 설명했다. 핵합성의 이론적 토대는 1896년 증명됐다. 영국의 물리학자인 어니스트 러더퍼드가 입자를 가속시켜 질소 입자에 충돌시키면 질소 ... ...
- [Origin] 이산화탄소를 연료로, 인공광합성과학동아 l2018년 06호
- 명반응의 효율은 약 28%입니다. 그렇다면 인공광합성 시스템에서는 어떤 것이 광계를 대신해 빛을 전기에너지로 바꿀까요. 광계와 마찬가지로 빛을 쪼이면 활성화하는 특성을 가진 반도체를 사용합니다. 1972년 혼다 켄이치 일본 도쿄대 산업과학부 교수와 후지시마 아키라 당시 일본 가나가와대 ... ...
이전11111211311411511611711811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