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경시
멸시
냉대
경멸
업신여김
모멸
도외시
d라이브러리
"
무시
"(으)로 총 1,192건 검색되었습니다.
개인용컴퓨터의 미래언어
과학동아
l
1988년 03호
프로그램의 순환과정을 제어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는데 countinue 이하 실행문을
무시
하고 다음 순환과정을 실행하게 한다.for(i=0 ; i ...
저온살균이냐 초고온살균이냐「진짜우유」논쟁의 내막을 살핀다.
과학동아
l
1988년 03호
기존의 우유회사측이 파스퇴르유업측의 주장을 '소규모 업자가 떠드는 궤변'으로 애써
무시
해버리려 한다거나 엄연히 깨끗한 원유로 최신시설에 의해 만들어지고 있는 파스퇴르우유에 대해 '과거 가마솥에 넣고 저온살균했던 방식'으로 만든 것이라는 식으로 평가절하해 버리는 것은 문제가 있다는 ... ...
우리말 무른연모도 만들자
과학동아
l
1988년 03호
첫줄(0번줄)은 여는괄호("(")로 시작한다. 이는 늘품에게서 다음 닫음괄호(")") 사이의 글은
무시
하라는 늘품의 낱말이며 다른 부림말의 "REM"등과 흡사하다. 이 화면의 첫줄은 설명하는 글이며 거북자랑이 들어있는 원반화면임을 보이기 위한 것이다.그리고 줄 뒷쪽의 "육>십"은 이 원반 화면에서 수의 ... ...
한종하 박사에게 들어본다 주입식교육, 언제까지나 계속할것인가
과학동아
l
1988년 02호
보면 수업시간이 끝나거든요. 말하자면 '확성기와 복사기'의 수업입니다. -개인차를
무시
한 획일적인 교육여건도 심각한 문제라고 하던데요. "토론식으로 하려면 기계적으로 시간을 쪼개 써도 모자랄 지경인데, 학생들의 수준에도 차이가 큰 형편입니다. 따라서 교사와의 대화는 공부잘하는 몇몇 ... ...
한국형 모델 개발을 계기로 살펴본 전자식 도로교통 관제시스팀
과학동아
l
1988년 02호
있다. 이밖에도 정보수집 기능을 가진 것으로 경찰의 무선차량(패트롤카 모터사이클)도
무시
할 수 없다. 실시간 처리뿐 아니라 장기계획도 교통관제시스팀의 중추기능은 관제센터. 각 지역에서 들어오는 각종 정보를 분석처리하는 자료처리센터(컴퓨터실)와 상황표시판, 관제대로 구성돼 있다 ... ...
과학기술계에도 대전환 있어야
과학동아
l
1988년 01호
시급히 고쳐져야 합니다. 현재 정부가 수립한 과학기술인력수급계획을 보면 질적수준을
무시
하더라도 공급이 수요에 못미치고 있어요. 그런데 좀 우수하다는 사람이면 모두가 외국으로 가버린단 말예요. 여기에 남아서 무엇인가를 이룩해야 그게 밑거름이 돼서 다름 사람이 계속 뒤를 이을텐데 ... ...
포항공과대학 단숨에 명문으로 떠오르다
과학동아
l
1987년 12호
지적도 있는 게 사실이다. 더구나 중고교과정에서 적성계발과 이에 따른 진로지도가
무시
되고 있는 상황임을 감안하면 포항공대의 교육방침이 역효과를 가져올 수도 있을 것 같다. 이런 점을 감안하면 복수전공제와 부전공제를 적극 지원하겠다는 학교측의 정책은 중요한 의미가 있다고 하겠다. ... ...
제3의 산업혁명이 불붙기 시작했다
과학동아
l
1987년 12호
경우 철저한 재교육시스팀의 확보 등이다. 여기에다 '생산성증가에 따른 이익은 근
무시
간 단축, 혹은 임금인상 등의 형태로 반드시 근로자와 나누어야 하고 새로운 기술도입 이전에 경영진은 노조에 통보해야 한다'는 '기술권리장전'의 기본정신이 우리 사회에 뿌리내려야 할 것이다 ... ...
학문의 길로 가고 싶은데
과학동아
l
1987년 12호
있는지…. 답 문명히 보다 유망한 분야라는 게 존재한다. 학문세계에서도 시류라는 것을
무시
할 수 없다. 물론 학문 그 자체에 매료되어 주위를 살핌이 없이 자기 하고픈 분야에 투신하는 것도 의미있고 멋있는 일이다. 그러나 이런 경우는 역시 좀 특수한 사람들이 하는 일일 것이다. 이 문제에 ... ...
황금과 불로장생을 찾아
과학동아
l
1987년 12호
사람의 수가 적지 않았다. 당시 신선사상의 유행에는 이러한 사회정세의 영향을
무시
할 수 없다. 신선이 되는 길은 정신수양과 육체적 절제 그리고 단약이나 선약초(仙藥草)의 복용으로 불로장생을 실현하는 길이라 믿었다. 불로장생약을 복용한 사람의 이름이 '해동이적'(海東異蹟)에 20사람 보인다 ... ...
이전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