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부분"(으)로 총 8,360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학미술관] 수학을 닮은 몬드리안의 작품 세계수학동아 l2019년 11호
- 그림의 일부를 격자로 나타내고, 나무가 차지하는 사각형의 개수를 셉니다. 그림의 같은 부분을 더 촘촘한 격자로 나타내고 사각형의 개수를 센 뒤 두 값을 프랙털 차원을 구하는 식에 대입하면 약 1.75의 값이 나옵니다. 1보다 2에 더 가까운 값이므로, 몬드리안의 나무는 프랙털 성질을 갖는다고 볼 ... ...
- 노트르담 지킴이, 드론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1호
- 한 장을 자신의 소셜 미디어에 공개했어요. 사진 속 노트르담 대성당은 종탑을 뺀 나머지 부분이 모두 새빨갛게 활활 타고 있었지요. 이 사진은 파리 경찰이 띄운 드론이 촬영한 것이었어요. 성당의 가장 높은 곳인 첨탑과 지붕에서 불이 시작됐기 때문에 파리 경찰은 화재 상황을 파악하기 위해 ... ...
- 웹툰 그리는 서울대 공학박사 ‘닥터앤닥터 육아일기’ 닥터베르과학동아 l2019년 11호
- 이성적인 접근, 일관성 있는 루틴을 강조한다. 그가 만화에서 가장 신경 쓰는 부분은 ‘팩트 체크’다. 이때 가장 든든한 지원군이 아내다. 산부인과 전문의로서 의학적인 내용을 자문한다. 웹툰의 주인공으로 등장하는 만큼 에피소드의 방향도 조언한다. 이 작가는 “특히 의학적인 내용을 ... ...
- Google 진실을 말해줘~ 1만 년 걸릴 연산 200초 만에 한 거 실화임?과학동아 l2019년 11호
- 019년 내에 도달할 것으로 본다”고 넌지시 얘기하기도 했습니다. 사실 우리가 주목할 부분은 양자 우월성 자체가 아닙니다. 양자 우월성 구현은 양자컴퓨터 상용화를 위한 첫 걸음을 내딛는 것에 불과합니다. 그만큼 중요한 것은 맞지만, 그게 전부가 아니라는 뜻이기도 하죠. 가령 큐비트 1개에서 ... ...
- 40년 유인 우주 비행 역사의 산증인 두미트루 도린 프루나리우과학동아 l2019년 11호
- 2011년부터 3년 동안은 우주탐험가협회 회장직을 맡았다. 그동안 협회의 임원은 대부분 미국인이나 러시아인이었는데, 루마니아 우주인으로서 활약하는 모습이 멋지고 또 본받고 싶다. 2010~2012년 그는 유엔의 ‘외기권의 평화적 이용에 관한 위원회(COPUOS)’ 의장직을 수행했다. 미국, 러시아 같은 ... ...
- 아픈 돼지 고르는 안면 인식 알고리듬수학동아 l2019년 11호
- 얼굴을 인식하는 방법과 다르지 않아요. 카메라로 돼지의 안면을 촬영해 눈과 귀, 코, 털 부분을 인식해 특징점을 지도처럼 나타내는 겁니다. 돼지마다 얼굴 특징을 저장한 뒤 실시간으로 움직이는 돼지의 얼굴을 촬영해서 추출한 특징점 정보와 비교해 어떤 돼지인지 인식하는 거죠.돼지를 인식한 ... ...
- [수학뉴스] 수학으로 밝힌 이파리 모양의 비밀수학동아 l2019년 11호
- 힘과 속도처럼 크기와 방향을 가진 물리량이고, 극성 장은 식물을 구성하는 물질이 특정 부분에 쏠려 있는 상태를 말합니다. 따라서 극성 장을 벡터처럼 크기와 방향으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코엔 교수는 극성 장의 크기와 방향에 따라 잎 세포가 성장하고, 일부 잎 세포가 상대적으로 더 커지면서 ... ...
- 블랙홀 처음으로 모습을 드러내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0호
- 경로가 휘 어져 블랙홀을 감싸면서 블랙홀의 윤곽을 드러낸 답니다. 이 윤곽 안의 어두운 부분을 ‘블랙홀의 그림자’라고 해요. EHT 연구팀은 전파로 블랙홀의 그림자를 찾아낸 셈이죠. M87* 블랙홀의 그림자는 지름이 약 1000억km 정도 돼요. 실제 블랙홀의 경계인 ‘사건의 지평선’은 이 그림자의 ... ...
- 지능×유전 지능도 노력하면 좋아지나과학동아 l2019년 10호
- 조절할 수 있는 사람은 없다. 하지만 뇌가 노출되는 환경은 충분히 제어할 수 있다. 부분적이지만 노력에 따라서는 지능을 일부 제어할 수 있다는 얘기다.지능을 조절하는 유전자, 있다 vs. 없다2017년 필자는 학습 능력과 신경가소성(neuro-plasticity), 특정 유전자의 다형성 등 세 가지 요인 사이의 ... ...
- 과학의 불꽃으로 지구를 구하라과학동아 l2019년 10호
- 선보인 ‘후각지킴이’ 팀의 윤정준 군(민족사관고 3학년)은 “연구에서 아쉬운 부분을 어떻게 보완하고 발전시킬 수 있을지 심사위원과 친구들이 함께 머리를 맞대고 의논하는 토론 발표가 좋았다”며 “밀폐되지 않은 공간에서도 검사법이 유효한지 확인해야 한다는 다른 팀의 조언을 듣고 ... ...
이전11011111211311411511611711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