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부분"(으)로 총 8,360건 검색되었습니다.
- 충전 가능한 시대를 열다 리튬이온전지과학동아 l2019년 11호
- 사용을 최소화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물론 아직까지는 기술적으로 대체가 불가능한 부분도 있다. 현존하는 원소 중에서 크기가 작고 가벼우며 그럼에도 높은 효율을 내는 것은 리튬뿐이다. 가벼워야 하는 휴대용 기기나 연비가 중요한 전기차에 리튬이온전지가 쓰일 수밖에 없는 이유다. 다만 ... ...
- 모스크바에 현지사무소를 열다 나로호 설계 본격 스타트과학동아 l2019년 11호
- 잘못했다는 질타가 쏟아졌다. 연구원들이 계약서를 들고 국회에 찾아가 오해가 생긴 부분을 일일이 해명했지만, 괴담처럼 퍼진 소문은 쉽사리 가라앉지 않았다. 몸도 마음도 힘든 상황이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끝까지 버티며 러시아와의 협력을 추진할 수 있었던 것은 한국과 러시아에서 함께 ... ...
- [수학뉴스] 수학으로 밝힌 이파리 모양의 비밀수학동아 l2019년 11호
- 힘과 속도처럼 크기와 방향을 가진 물리량이고, 극성 장은 식물을 구성하는 물질이 특정 부분에 쏠려 있는 상태를 말합니다. 따라서 극성 장을 벡터처럼 크기와 방향으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코엔 교수는 극성 장의 크기와 방향에 따라 잎 세포가 성장하고, 일부 잎 세포가 상대적으로 더 커지면서 ... ...
- [수학미술관] 수학을 닮은 몬드리안의 작품 세계수학동아 l2019년 11호
- 그림의 일부를 격자로 나타내고, 나무가 차지하는 사각형의 개수를 셉니다. 그림의 같은 부분을 더 촘촘한 격자로 나타내고 사각형의 개수를 센 뒤 두 값을 프랙털 차원을 구하는 식에 대입하면 약 1.75의 값이 나옵니다. 1보다 2에 더 가까운 값이므로, 몬드리안의 나무는 프랙털 성질을 갖는다고 볼 ... ...
- 세포 15개면 잡아낸다 0.1ng의 과학, DNA과학동아 l2019년 11호
- 2014년부터 DNA 데이터베이스에 수록된 미제사건 DNA 자료 중 STR의 개수가 9개 미만인 부분 프로필에 대한 재분석을 자체적으로 진행했다. 그동안 DNA 기술은 발전에 발전을 거듭했다. DNA 감식에 사용할 수 있는 STR 마커의 수도 크게 늘었고, 민감도 또한 2배 이상 높아졌다.현재는 기술이 더욱 발전해 ... ...
- 냉동 캡슐에 들어갔다 나옴! 잘 녹을 수 있음?과학동아 l2019년 11호
- 재미 포인트입니다. 하지만 전문가는 바로 이 부분을 드라마에서 가장 비현실적인 부분으로 꼽았습니다. 김 연구교수는 “오랫동안 냉동됐다가 깨어난다고 하더라도 사람의 체온은 일정하게 유지된다”며 “저체온이 나타날 가능성은 없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사람의 체온은 보통 36.5~37.5도로 ... ...
- Google 진실을 말해줘~ 1만 년 걸릴 연산 200초 만에 한 거 실화임?과학동아 l2019년 11호
- 019년 내에 도달할 것으로 본다”고 넌지시 얘기하기도 했습니다. 사실 우리가 주목할 부분은 양자 우월성 자체가 아닙니다. 양자 우월성 구현은 양자컴퓨터 상용화를 위한 첫 걸음을 내딛는 것에 불과합니다. 그만큼 중요한 것은 맞지만, 그게 전부가 아니라는 뜻이기도 하죠. 가령 큐비트 1개에서 ... ...
- 성균관대-KAIST-고려대 국내 첫 AI대학원 수업 들어보니과학동아 l2019년 10호
- 기본적인 수학에 관한 내용”이라며 “각자 학부에서 배운 내용을 상기하고 부족한 부분을 채우는 복습 개념의 수업”이라고 말했다.황 교수는 이 수업의 가장 큰 특징으로 프로젝트 과제를 꼽았다. 황 교수는 “학생 5명이 한 팀을 이뤄 실생활의 문제를 해결하는 프로젝트를 과제로 수행해야 ... ...
- [스타샘 수학꿀팁] 수학을 맛있게 요리하는 비법수학동아 l2019년 10호
- 모눈종이를 나눠주고 개수를 정해 무작위하게 모눈종이 칸을 색칠하게 했다. 색칠한 부분은 불이 난 지역을 뜻한다. 이후 모든 학생의 모눈종이를 이어붙였다. 그러면 학생들은 색칠을 몇 개 안 했을 때는 모눈종이를 몇 장 이어 붙이다 보면 중간에 끊겨 버리지만, 어느 정도 색칠을 많이 하면 교실 ... ...
- [SW 진로체험] 수학은 난관을 깨뜨리는 망치수학동아 l2019년 10호
- 계산 과정을 되짚어 보며 틀린 점을 찾는 것처럼, 연구하다 문제가 생겼을 때 잘못된 부분을 찾으려면 논리적인 사고가 필요하거든요.온진욱 정해진 방법대로만 로봇을 만든다면 수학이 필요하지 않을 거예요. 수학을 모르면 자기가 원하는 기능이나 기존에 없는 새로운 기능을 만들 수 없거든요. ... ...
이전11011111211311411511611711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