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밥통
위장
Hugo
상부
윗쪽
꼭대기
자리
d라이브러리
"
위
"(으)로 총 10,184건 검색되었습니다.
[가상 인터뷰] 하와이가 ‘무지개 맛집’인 이유는?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08호
두 번째 이유는 가파른 산이야. 경사가 급격한 하와이의 산은 습한 공기가 타고 올라 산
위
에서 비구름을 만들기 쉽지. 하와이가 무지개가 맛집인 이유가 또 있을까?버싱어 교수는 섬의 바깥에서 불어오는 바람을 높은 산들이 둘러싸 막아주는 것도 원인으로 꼽았어. 산골짜기 안쪽의 공기가 외부 ... ...
[기획] AI로 가짜뉴스 잡아볼까?
수학동아
l
2021년 07호
가짜뉴스가 어떤 식으로 퍼지는지 알았으니 이제는 가짜뉴스를 잡으러 가보자!꽁꽁 숨은 가짜뉴스 녀석을 잡으려면 가짜뉴스와 진짜 뉴스의 ... 판별하거나 가짜뉴스의 패턴을 분석하는 등 전 세계적으로 가짜뉴스 문제를 해결하기
위
한 AI 기술이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 ...
[매스크래프트] #19. 공평하지 않은 승부차기?
수학동아
l
2021년 07호
선수는 심리적 부담이 커져 성공률이 낮아진다고 분석했습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
해 2017년 U-20 월드컵에서는 일명 ‘ABBA’라는 규칙이 도입됐습니다. 기존에는 ‘A-B-A-B’ 순으로 각 팀의 선수가 번갈아 가며 공을 찼다면, ‘A-B-B-A’ 순으로 선축과 후축을 바꾸며 공을 차는 거죠. 이 방법에서는 ... ...
한강, 그 흐름의 기록
과학동아
l
2021년 07호
북녘 땅의 산 너머로 붉은 빛을 채 가는 중이다. 북한강과 임진강은 각각 한강의 양끝에
위
치한 지류로 두 강 모두 북한에서 흘러온다. 각 유역의 23%, 63%가 북한에 속해 있고 북한강은 금강산의 비로봉 부근에서, 임진강은 마식령에서 솟아나 북한 땅을 따라 흐르다 군사분계선을 넘는다. 임진강은 ... ...
몸집 키워 돌아온 종이접기의 물리학
과학동아
l
2021년 07호
하는 거예요?”라며 질문을 던졌습니다. 어릴 적 색종이를 접어 만들던 종이접기가 수m 단
위
로 커진 광경은 생소합니다. 그러니 종이접기를 진지하게 연구하려는 시도가 처음 시도됐을 땐 다들 얼마나 낯설어했을까요.조 교수는 “처음 종이접기 연구를 시작한 2009년에는 이렇게 많은 관심을 받지 ... ...
[논문탐독] 카메라 단 한 대로 보행자 찾는 자율주행
과학동아
l
2021년 07호
존재하는 것으로 추정되며, 실제
위
치는 대략 v 정도 벗어나 있다’라는 식의 확률분포로
위
치를 나타낼 수 있게 됩니다. 하드웨어 문제를 소프트웨어로 해결하다이 논문에서는 스테레오 카메라나 라이다가 아닌 일반 카메라로 보행자의 3차원 좌표를 계산했습니다. 바닥이 수평이라는 전제 하에만 ... ...
[출동! 어수동 기자단] 아슬아슬 균형잡기의 달인! 변남석 밸런싱 아티스트를 만나다
어린이수학동아
l
2021년 07호
가지 물건을 다양한 방법으로 세우는 작업을 시작하게 됐어요. 어수동 보통 작은 것
위
에 큰 것을 계속 쌓으면 무너지잖아요. 불가능하다고 생각하지 않으셨나요? 상상이 잘 안 되지요. 불가능할 것만 같고요. 그럴 때는 생각에만 너무 몰두하지 말고 직접 시도해보세요. 너무 많이 생각하다 보면 ... ...
[수학체험실] 날아라! 나만의 무게중심 잠자리
수학동아
l
2021년 07호
삼각형으로 나눈 뒤에 두 삼각형의 무게중심을 각각 찾습니다. 두 무게중심을 잇는 G1G2
위
에 사각형의 무게중심이 있습니다. 마찬가지로 처럼 사각형에 또 다른 대각선을 그어 2개의 삼각형으로 나눈 뒤에 삼각형 각각의 무게중심을 찾고 이으면, G3G4에 사각형의 무게중심이 있죠. 따라서 ... ...
[한페이지 뉴스] 표적 부
위
만 골라 열 쬐는 피부 접착 발열 장치
과학동아
l
2021년 07호
폴리이미드 필름
위
에 금 나노입자로 만들어진 ‘잉크’로 전자 배선을 만들고, 그
위
를 PDLLA로 코팅했다. PDLLA은 열 내구성이 뛰어나고 쉽게 분해되며 인체에 해가 없는 소재다. 이후 핀셋으로 전자 배선을 포함한 PDLLA 층을 벗겨내 사람 피부에 유연하게 구부러져 부착되고 전류가 흐르도록 했다. ... ...
17년 만의 굉음...매미판 베이비부머 브루드 텐
과학동아
l
2021년 07호
되는 5월 중순 미국 동부에 나타났다. 이들은 7월 초까지 뜨겁게 사랑을 나누고 나뭇가지
위
에 알을 남긴 뒤 죽어 다시 흙 속으로 돌아갈 예정이다. 그들의 자손은 17년간 땅속에 숨어있다가 2038년 등장할 것이다. 그런데 기후변화로 이들의 출현에도 변화가 생기고 있다. 크리스 시몬 미국 코네티컷대 ... ...
이전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