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원천
지원군
물자
리소스
자원병
지원병
물품
d라이브러리
"
자원
"(으)로 총 2,473건 검색되었습니다.
제3의 불 밝히는 프로메테우스의 후예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로 줄이고 고준위에서 중저준위로 위험성을 낮출 수 있다. 나아가 이 과정에서 핵연료 속
자원
을 활용하면 에너지를 추가로 생산해내는 ‘원자력 연금술’도 가능해진다.핵재료연구실은 이를 집중적으로 연구하기 위해 핵변환에너지연구센터를 두고 있다. 총 4층 공간에 마련된 대형 연구센터에는 ... ...
한반도 호랑이 복원 프로젝트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모습을 기대할 순 있다. 또 점차 개체 수도 늘어갈 것이다.하지만 한국야생동물유전
자원
은행장이기도 한 이항 교수는 “동물원 또는 사육장에 키우는 호랑이의 수를 늘리는 것은 의미가 없다”고 잘라 말했다. 그의 말에 따르면 현재 동물원에서 호랑이만큼 번식이 잘되는 동물도 없다. 오히려 좁은 ... ...
어흥~! 한국호랑이를 찾아서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1호
두둥~! 드디어 2010년 새해가 밝았어. 올해가 바로 경인년 호랑이띠의 해! 게다가 60년 만에 오는 백호띠라고 해. 어쩐지 호랑이 기운이 불끈 샘솟는 것 같지 않니? 그러고 보니 가까이 있는 것 같은 호랑이인데도 떠올려 보면 마치 상상의 동물처럼 희미하기만 해. 곶감을 가장 무서워한다는 순진한 호 ... ...
미래 대 예측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1호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어. 20세기부터 심해진 기후변화 때문일 수도 있고,
자원
을 너무 많이 이용해 자연이 파괴됐기 때문일 수도 있어. 지구도 자연이니까 어쩔 수 없이 환경이 변하는 경우도 있지만, 때로는 사람이 한 행동 때문에 그 피해를 동물과 사람이 받을 수 있다는 사실을 잊지 마 ... ...
바이아블랑카에서 다윈의 향기를느끼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16호
권영인 박사님은 다윈의 발자취를 따라 부에노스아이레스에서 버스로 10시간 정도 떨어진 작은 항구도시, 바이아블랑카에 도착했어요. 다윈이 방문했을 당시의 바이아블랑카는 인디오와 부에노스아이레스 정부 간의 충돌이 끊이지 않는 위험한 곳이었어요. 도대체 다윈은 이 곳에서 무엇을 보았던 ... ...
다윈은 아르헨티나에서 무엇을 보았을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13호
다윈의 탐사 경로를 따라 세계를 여행하고 계신 권영인 박사님. 어느덧 브라질을 거쳐 아르헨티나의 부에노스아이레스에 도착했습니다. 177년 전 다윈은 이 곳에서 무엇을 보고 어떤 생각을 했을까요? 권영인 박사님의 답사기를 통해 알아보세요~.1832년 7월 5일 리우데자네이루를 출발한 비글호는 7 ... ...
포장이 과학을 만났을 때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13호
활용하고환경을 생각하는 포장은 궁극적으로
자원
이 순환되는 포장이다. 전문가들은
자원
이 순환되려면 포장을 줄이는 것으로는 부족하고 폐기물이 나오지 않는 포장을 만들어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 재활용도 플라스틱 병을 다시 물병으로 쓰는 차원을 넘어서 포장폐기물을 처리해 에너지를 ... ...
나무 연구가 한자리에! 국립산림과학원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13호
“무엄하다! 선덕여왕님께서 지내실 집이니 가장 좋은 재료로 지으라고 그렇게 강조했거늘, 어찌 나무로 지었단 말이냐?”“그게…, ‘어린이과학동아’ 명예기자들이 한사코 나무 집이 좋다고 해서….”“그럴 리가 있느냐? 신라의 산마다 넘쳐나는 흔한 재료가 나무다.”“그냥 나무가 아니라 ... ...
1969 vs 2020 달을 향해 쏴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13호
여러 가지 이유가 있습니다. 천문학 연구는 물론 첨단 기술을 뽐낼 수 있고, 달에 있는
자원
을 얻을 수도 있기 때문이지요.21세기에 새롭게 막을 올린 달 탐사 경쟁은 앞으로 어떻게 펼쳐질까요? 그 경쟁에서 우리나라는 어떤 활약을 할 수 있을지 관심을 갖고 지켜봐 주세요~ ... ...
가축 분뇨에서 바이오가스 만든다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사용하면서 가축을 키우고 분뇨를 얻어 다시 전기를 생산하고 액체비료를 만드는 ‘
자원
순환 시스템’이 이뤄질 것”이라고 기대했다. 이미 농림수산식품부에서도 내년쯤 농촌 지역 3군데를 선발해 SCB-M시설을 시범적으로 운영할 것이라고 밝혔다. 앞으로 에너지로 다시 태어나 깜깜한 밤을 밝히고 ... ...
이전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