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자원"(으)로 총 2,473건 검색되었습니다.
- 쓰나미 뚫고 통가 해저자원 탐사한다과학동아 l2009년 11호
- 고가의 광물이 농축돼 쌓인 해저열수광상이 형성된다.10여 년 전부터 남태평양의 해저자원을 탐사해오던 해양연은 지난해 경상북도 면적만 한 통가 EEZ 내 바다에 대한 탐사권을 통가 정부로부터 따냈다. 지난해 두 차례 탐사에 이어 이번에 4주(10월 1일~28일)에 걸친 3번째 탐사를 진행한다. 탐사의 ... ...
- 세포 및 미생물공학과학동아 l2009년 11호
- 의학적으로 많이 적용되며, 미생물이 수소를 만들게 하거나, 석유자원을 대체할 수 있는 제2의 물질을 만들게 하는 에너지 관련 연구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수질오염을 감지하면 박테리아가 형광을 띠게 하는 바이오센서는 세포 및 미생물공학이 환경 분야로 적용된 대표적인 예이다.3. 어디에 ... ...
- 리우데자네이루에서 다윈의 흔적을 찾다어린이과학동아 l2009년 11호
- 다윈의 탐사 경로를 따라 항해하던 권영인 박사님이 오랜만에 소식을 보내 왔어요. 푸에르토리코에서 배가 고장 나 한 달 넘게 발이 묶여 있던 권영인 박사님은 결국 배를 포기하고 자동차를 이용해 탐사를 계속하기로 결심했다고 해요. 앞으로는 답사기 형식으로 탐사한 내용을 보내 주신다고 하 ... ...
- 한국 과학계, ‘외계생명체 찾기’ 나서과학동아 l2009년 11호
- 이 행사에서 진행된 세티 관련 심포지엄은 저명한 학자들이 한국을 방문해 그들의 지적 자원을 풀어놓는 계기가 됐다. 마침 세티 프로젝트는 세계 천문의 해 한국조직위원회의 중점 사업의 하나로 선정되기도 했다.이러한 모든 조건들은 한국형 외계 지적생명체 탐색 계획, 즉 ‘세티 코리아 ... ...
- 수학을 파는 자동판매기수학동아 l2009년 11호
- 하기 때문이죠. 넷째, 언제 생산할 것인가의 문제입니다. 적당한 시기에 생산하는 것도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결정해야 하는 과제 중 하나입니다.최초의 자판기세계 최초의 자판기는 기원전 215년 이집트 알렉산드리아 신전에 등장한 성수(聖水)자판기다. 그리스의 수학자 헤론이 동전을 ... ...
- 아시아 최초 슬로시티 태평염전에 가다!과학동아 l2009년 10호
- 떠올랐다. 증도의 태평염전은 유네스코 생물권 보전 지역으로도 지정돼 있을 만큼 생물자원이 풍부하다.염전을 떠나며벌써 오후 7시. 이 얘기 저 얘기를 듣다 보니 어느새 염전에 해가 저문다. 동행한 사진작가는 빨갛게 노을 진 염전의 모습을 담아내기 위해 바쁘다. 뭍으로 나가는 배 시간이 바싹 ... ...
- 리튬이온전기 꽂고 전기차 시대 ‘스위치 온’과학동아 l2009년 10호
- 3위의 리튬 매장량을 기록하고 있으면서도 전 세계 리튬의 50%가 묻힌 볼리비아에 대한 자원외교를 적극 전개하고 있다”고 지적했다.보고서에 따르면 중국은 에보 모랄레스 볼리비아 대통령의 고향에 학교 건설자금을 지원하는 한편, 배 2척을 포함한 군용 차량 50대를 제공했다. 일본도 뒤질세라 ... ...
- War between GOOGLE vs. MS과학동아 l2009년 10호
- 있다. 검색엔진은 구글의 황금알을 낳는 거위이고, 회사는 이를 개선하기 위해 계속 자원을 쏟아 붓고 있다. 구글은 관련업계에서 가장 유능하고 가장 경험 많은 엔지니어들을 고용하면서 그들에게 충분한 보상을 지원하고, 그들에게 이 세계최대의 데이터수집 프로젝트에서 하고 싶은 대로 하도록 ... ...
- 21세기 녹색성장 이끄는 생태공학과학동아 l2009년 09호
- ”서울을 예로 들면 북한산과 도봉산, 남산은 다양한 생태계가 존재하는, 즉 유전자원이 풍부한 저장소(sink)다. 만일 이 사이가 생물의 이동이 어려운 환경이라면 생태계가 고립되기 마련이다. 그런데 청계천이나 용산공원처럼 중간 규모의 생태계가 도심에 여럿 있으면 생태계의 네트워크가 ... ...
- 한국 과학, 아프리카에 희망을 심다과학동아 l2009년 09호
- 전수해주고 새로운 연구영역 확보, 농업과 축산업 해외진출, 다양한 가축 유전자원 개척 같은 이득을 얻을 수 있다면 서로 윈윈하는 셈이다. 아프리카로 눈을 돌린 과학자들이 제시하는 새로운 민간외교 모델이다. “젊은 과학도들이여,아프리카로 오라!” ILRI에는 한국인 학생들이 있다. 박철현, ... ...
이전11211311411511611711811912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