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숫자
자수
넘버
번호
수단
방법
꾀
d라이브러리
"
수
"(으)로 총 31,072건 검색되었습니다.
순간포착 세렝게티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9호
분류하는 ‘은하동물원’ 프로젝트로 시작됐어요. 그뒤 2009년에 달 동물원, 2010년에 은하
수
프로젝트 등의 다른 프로젝트들을 더하며 지금은 37개의 프로젝트가 동시에 진행되고 있지요. 주니버스가 이렇게 커지는 동안 일반 시민이 새로운 우주 현상을 처음으로 발견하는 일도 있었어요.네덜란드 ... ...
[출동! 명예기자] 에너지를 팝니다! 에너지 슈퍼마켙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8호
알게 된 것이 있어. 바로 에너지를 절약하면 전기요금이 줄어들 뿐만 아니라 환경을 지킬
수
있다는 사실! 에너지슈퍼마켙이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일도 사람들이 에너지 절약이 얼마나 중요한지 알게 되는 거라고 해. 친구들도 에너지 절약에 왜 중요한지 이제 알았지? 우리부터 에너지 절약에 ... ...
종이나라 ‘ 오려라 공주’를 구하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8호
“띵동~!”올해 추석도 여전히 다무러와 쓸쓸히 보내게 된 썰렁홈즈. 울적한 마음에 송편을 사다가 한 입 먹으려는 순간, 사무실의 초인종이 ... ”썰렁홈즈는 눈물이 핑 돌 정도로 감동을 받았다.하지만 배가 부르게 만찬을 즐길
수
는 없었다. 종이나라 음식은 모두 종이였기 때문이다. 흑 ... ...
아이스크림을 천천히 녹게 만드는 물질 발견!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8호
맛있는 아이스크림을 먹는 동안 아이스크림이 녹아 뚝뚝 떨어진 적 있죠? 이젠 이런 불편함이 줄어들 거라고 해요. 최근 영국 에든버러대 캐이트 맥피 교
수
팀이 아이 ... 절약할
수
있지요. 맥피 교
수
팀은 “3~5년 안에 천천히 녹는 아이스크림을 실용화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답니다 ... ...
수
학으로 계산해 새로운 생물을 만들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8호
보았더니 계산대로 단백질 양이 조절됐답니다.김 교
수
는 “아직은 부족한 생물학과
수
학의 교류가 앞으로 더 활발해졌으면 좋겠다.”고 말했어요.*유전자 발현 : 유전자는 RNA를 만들어내고, RNA는 단백질을 만들어낸다. 이 모든 과정을 ‘유전자 발현’이라고 한다 ... ...
치타 VS 표범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8호
더운 지역이나 추운 지역은 물론 돌로 된 지역과 초원, 숲 등 다양한 환경에 적응해서 살
수
있답니다. 우리나라에도 ‘아무르 표범’이 살았지만 1970년대 이후로 발견된 적은 없어요.표범은 이렇게 치타와 비슷한 점이 많아서 헷갈리기 쉬워요. 그럴 땐 무늬를 잘 보세요. 표범은 머리와 발목, 배 ... ...
가장 번성한 동물 사회의 비결은?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8호
순환을 가져오므로 진화적으로 안정되지 않은 상태로 이끌기도 해요.그래서 인간은 복
수
보다 훨씬 효과적인 처벌 제도를 만들었어요. 우리는 해를 끼친 행동을 한 사람을 보면 직접 피해를 입지 않았더라도 마치 내가 피해를 입은 것처럼 그 사람을 처벌하려고 해요. 이것을 ‘제3자 처벌’이라 ... ...
멍멍! 스케치북은 살아 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8호
도도한 표정의 검은 불독이 왕관을 쓰고 있어요! 무슨 대회에서 상이라도 받은 것일까요? 그 옆에는 주인으로 추정되는 손이 반짝이는 가루를 뿌리며 ‘대단해! ... 이용해 재미있는 그림을 그리고 사진도 찍어 보세요. 분명 아무도 상상하지 못할 재미있는 작품을 만들
수
있을 거예요 ... ...
올 추석엔 슈퍼문과 블러드문이 동시에?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8호
추석은 달빛이 좋은 가을밤이라는 뜻에서 예로부터 ‘월석’이라고도 불렀어요. 그런데 올 추석에는 붉은 빛의 커다란 달이 나타난다고 해요. 슈퍼문과 블러드문 현상이 동시에 일어나 ... 좋을 경우 슈퍼문만 볼
수
있을 거라고 해요. 블러드문은 3년 뒤인 2018년이 돼야 볼
수
있답니다 ... ...
새끼 남극물개가 엄마를 찾는 법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8호
살아요. 그 동안 새끼 물개는 젖을 떼기도 하고,
수
영하는 법을 배우기도 하죠. 이때
수
백 마리의 남극물개가 해안가에 머물기 때문에 그 중에서 어미와 새끼 물개들은 서로를 잘 찾아야 해요. 바로 이때 소리를 이용한답니다.최근 파리 11대학의 티에리 오뱅 박사팀은 새끼 물개가 어미가 부르는 ... ...
이전
1151
1152
1153
1154
1155
1156
1157
1158
115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