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숫자
자수
넘버
번호
수단
방법
꾀
d라이브러리
"
수
"(으)로 총 31,072건 검색되었습니다.
아침부터 밤까지 하루 종일 즐거운 제주항공우주박물관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5호
몸을 쏘옥 넣어보기도 하고, 작고 동글동글한 귀여운 비눗방울들을 직접 만들
수
도 있어요. 공중에 떠다니는 비눗방울을 공으로 팡팡 터트리다 보면 그동안 쌓인 스트레스는 저 멀리 날아갈 거예요. 이번 여름방학엔 제주항공우주박물관에서 잊지 못할 추억을 만들어 보세요 ... ...
[출동~! 섭섭박사가 간다!] 반짝반짝 금모래 만들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5호
식히면 미지근한 물에서 식힐 때보다 금모래 입자가 작게 만들어지는 걸 확인할
수
있어. 작은 금모래 입자는 바닥에 천천히 가라앉기 때문에 시험관은 금빛을 내는 스노우 볼이 되지. 친구들도 이번 실험에서 배운 방법으로 여름 방학 동안 나만의 멋진 금모래 스노우 볼을 만들어보렴. 우꺄꺄웅~ ... ...
바다의 숨은 지배자 플랑크톤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5호
끝없이 펼쳐지는
수
평선을 따라 배가 한 척 지나가고 있어요. 바람을 받아 팽팽하게 펼쳐진 돛이 아주 멋지네요! 돛에 써 있는 네 개의 알파벳 ‘TARA(타라)’가 이 배의 이 ... 그 배에는 친구들도 타지 않을래? 친구들이라면 분명 더 멋진 플랑크톤을 찾을
수
있을 거야~ ... ...
하늘에서 후두둑 거미 비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5호
그래서 대이동을 하며 서로의 그물을 연결해 거대한 옷감을 짠 듯한 장관을 연출할
수
있었던 거예요.하지만 모든 거미가 풀거미들처럼 아사회성을 갖고 있진 않아요. 4만 5000종의 거미 중에서 20종 정도만 아사회성이 있다고 알려져 있답니다.사람들을 놀라게 했던 거미 비. 알고 보니 똑똑한 거미의 ... ...
부드러운 몸으로 점프하는 로봇 탄생!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5호
튀어오르게 되죠. 이 로봇은 한 번에 옆으로 15cm, 위로 75cm까지 뛸
수
있다고 해요.톨리 교
수
는 “앞으로 자연과 닮은 로봇에 대해 더 연구할 것”이라고 말했답니다 ... ...
장님 물고기는 먹보?!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5호
굶어도 끄떡없죠.최근 하버드의대 클리포드 타빈 교
수
팀은 우리가 이렇게 많이 먹어둘
수
있는 이유가 ‘체중 유지 유전자’에 돌연변이를 갖고 있기 때문이라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어요. 배부름을 모르는 내가 당신의 지구 정복 파트너가 된다면 당신의 식량이 남아나질 않을 거예요. 괜찮겠어요 ... ...
도시의 매미 소리가 요란한 이유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5호
후에야 말매미를 볼
수
있었어요.참매미의 출현도 말매미의 출현과 비슷했어요. 먼저
수
도권에서 나타난 뒤, 몇 주가 지난 후에야 남쪽 지방에서도 발견되었죠. 말매미가 가장 많이 살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 강남과 목동, 여의도에서 참매미도 가장 빨리 나타났어요. 그래서 연구팀은 말매미와 ... ...
[교과연계
수
업] 팔방미인! 드론 파헤치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4호
성공한 뉴스를 찾아 함께 보고 드론의 다양한 쓰임을 소개한다▶ 드론이 어떻게 날
수
있는지 드론이 나는 과학적 원리를 설명한다 ▶ 드론이 현재 어떤 모습으로 진화하고 있는지 소개한다 ▶ 미래에 드론은 어떤 역할을 하게 될지 상상해 보고 미래의 드론을 소개한다 ... ...
고릴라 VS 오랑우탄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4호
제 가방에는 고릴라 인형이 달려 있어요. 그 인형을 보다가 오랑우탄이 생각나더라고요. 고릴라와 오랑우탄의 차이점이 무엇인가요? 고유빈 (부산 ... 분류돼요. 야생에 사는 오랑우탄은 사람들이 함부로 잡아들이고 서식지를 파괴하는 바람에
수
가 줄어들어 멸종위기종으로 지정됐답니다 ... ...
세계 최고의 재난대응로봇 휴보를 만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4호
하지만 이런 로봇은 구멍 사이로 물이 들어가기 때문에 비가 오는 날에는 밖에서 쓸
수
없겠지요.또한 휴보가 안정적으로 잘 걷긴 하지만, 사람하고는 차이가 커요. 사람이라면 1m 남짓한 콘크리트 더미는 단번에 통과하지만, 휴보는 콘크리트 더미를 파악하고 정보를 처리한 뒤 걷기까지 시간이 ... ...
이전
1155
1156
1157
1158
1159
1160
1161
1162
116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