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넓이
크기
너비
폭
건평
용적
지적
d라이브러리
"
면적
"(으)로 총 1,570건 검색되었습니다.
물리- 태양계 운동 지배하는 뉴턴·케플러 법칙
과학동아
l
199410
속도가 느리고 가까운 곳을 통과할 때는 속도가 빨라서 같은 시간 동안 쓸고 지나가는
면적
은 같다는 것이 케플러의 제 2법칙이다.청룡열차처럼 엔진이 없이 공간을 움직이는 물체는 높은 곳을 지날 때는 속도가 느리고 낮은 곳을 지날 때는 속도가 빠르다. 운동에너지와 위치에너지의 합을 역학적 ... ...
생물 - 지문과 주름, 무엇이 다른가
과학동아
l
199409
각질층이 두껍다. 그래서 욕탕에 오래 있으면 불어서 팽창하여 각질층이 엷은 곳보다도
면적
의 부풀음이 크고 주름이 선명하다. 오랫동안 욕조에 있으면 몸 전체의 각질층이 물을 흡수하여 붓지만, 각질층이 두꺼운 손바닥, 발바닥만 눈에 띄는 것이다. 그러나 말라서 피부가 원상태로 돌아가면 ... ...
달도시, 21세기 세워진다
과학동아
l
199409
달지구 유일의 달은 지구질량의 1.23%밖에 되지 않는다. 표
면적
은 지구 남극 대륙의 3배 정도. 달 표면을 보면 무수한 크레이터들로 얼룩져 있다. 이 크레이터는 지름이 수m 짜리의 작은 것에서부터 2백km짜리 대형까지 매우 다양하다. 달 표면을 장식하고 있는 크레이터는 지구의 분화구와는 달리 달의 ... ...
'양치식물의 천국' 제주도
과학동아
l
199409
아열대성 온대성 지역에서 각기 자라는 약 70여종의 양치식물을 관찰했다.제주도는 좁은
면적
에 많은 식물들이 분포돼 있고 한반도에서 볼 수 없는 식물들이 자생하고 있는 곳으로 유명하다. 그 이유는 우선 제주도의 지리 때문이다. 우리나라의 맨 남쪽에 있어 날씨가 따뜻하다. 지형의 특이성 또한 ... ...
화학 - 물질의 합성 빠르게 하려면…
과학동아
l
199409
다음과 같다.가. 반응물질의 농도가 클수록 반응 속도가 빠르다.나. 반응 물질의 표
면적
이 클수록 반응 속도가 빠르다.다. 온도가 높을수록 반응속도가 빠르다.라. 촉매를 사용할수록 반응속도가 빠르다.그러나 화학 평형의 법칙은 좀더 복잡하다. 평형 상태에 도달하면 반응 물질과 생성 물질의 농도 ... ...
지구과학- 생물탄생 이래 불변-대기온도의 미스터리
과학동아
l
199408
정도로 태양계내 행성중 가장 높다.지구대기의 상한에서 태양빛에 수직으로 놓인 단위
면적
에 도달하는 태양 복사에너지는 평균 2㎈/㎠·min인데 이를 태양 상수라 한다. 이 양은 태양에서 방출하는 에너지의 20억분의 1정도로 태양에너지의 막대함을 짐작할 수 있다.태양 복사에너지는 자전하는 ... ...
화학- 물질반응속도, 온도따라 다르다
과학동아
l
199408
빠르게 진행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반응 속도를 빠르게 하는 경우는 농도가 진하거나 표
면적
이 넓거나 온도가 높거나 촉매를 사용했을 때다. 위의 반응에서 염산이 과량 사용되었으므로 반응의 결과 생성된 수소의 양은 마그네슘의 양에 의해 결정된다. 마그네슘이 일정량 사용되었으므로 발생한 ... ...
(2) 2050년 바닷물 넘쳐 한반도
면적
준다
과학동아
l
199407
간척지 등의 저지대 및 해안지대에 해수의 범람을 가져와 해안선을 변화시켜 한반도의
면적
감소를 초래할 것이다. 해안선이 내륙지방으로 후퇴함에 따라 해안 방제시설이 파괴돼 폭풍과 해일에 의한 생명과 재산 피해가 증가할 것이다.또한 농경지의 이용에 대한 변화와 배수 및 관개시설에 대한 ... ...
(2) 혜성, 10여개 매년 지구 접근
과학동아
l
199407
온도가 대략 3백30K이다.(사진2)에서 보이는 밝은 분출물(jets)은 핵의 한정된 위치(전체
면적
의 0.1%)에서 나오는데 태양면 쪽에 국한된다. 분출물이 밝게 보이는 것은 추측컨대 태양 광선이 길게 늘어선 먼지를 반사하기 때문일 것이다. ■ 코마 핵으로부터 분출된 가스와 먼지는 핵 주위를 마치 ... ...
천왕성과 해왕성, 사수자리주변 배회
과학동아
l
199407
않을 것이다. 4인치 이상의 망원경으로 1백 이상의 배율을 내어 관측하게 되면 약간의
면적
을 갖고 있고 다른 별들에 비해 반짝임이 덜하다는 것을 관측할 수있을 것이다.천왕성은 지금 사수자리에 위치하고 있는데 작년에도 사수자리에 있었다. 만약 작년에 찍어놓은 사진이 있다면 사진을 찍어 ... ...
이전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