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개념"(으)로 총 3,952건 검색되었습니다.
- D 바이오브릭, 내 맘대로 생물체를 만든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9호
- 갖게 된답니다.몇몇 생물학자들은 유전자의 이런 특징을 이용해 ‘바이오브릭’이라는 개념을 만들어냈어요. A, T, G, C 네 가지 블록을 다양하게 조립해 바이오브릭이라는 단위를 만든 거예요. 바이오브릭은 특정한 역할을 하는 유전자의 조각을 뜻해요. ‘모듈’이나 ‘부품’이라고 불리기도 하죠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신풍초, 폭발 위기에 처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9호
- 폭발이 발생한 지역에는 사고 위험이 높기 때문에 비행기 운항이 중지된답니다. 융합 개념 파헤치기 다른 행성에도 화산이 있을까?지구와 함께 태양계 안에 있는 다른 행성에도 수많은 화산이 존재해요. 특히 화성에는 지금까지 태양계에서 발견된 화산 중에서 가장 거대한 화산이 있지요. 이 ... ...
- OUTRO. 우리는 과연 진짜일까?수학동아 l2016년 09호
- 교육에 이용하려는 움직임이 활발하다. 수학이나 과학 시간에 배우는 추상적인 구조나 개념을 가상으로 보여줘 이해를 도울 수 있기 때문이다. 조선 시대를 배우는 역사 시간에는 교사와 학생이 함께 조선에 가서 왕이 있던 시대를 직접 체험할 수 있다.지난 2014년 세계 최대 소셜네트워크 ... ...
- [News & Issue] 꿀벌은 꿀맛을 알까?과학동아 l2016년 09호
- 능력은 배제한 채, 의식을 너무 좁게 정의했다”고 지적했다.의식은 매우 포괄적인 개념이다. 색깔이나 소리 같은 감각을 의식하고 과거의 경험을 기억(주관적 경험)하는 것뿐만 아니라, 기쁨이나 슬픔 등 다양한 감정을 느끼는 것도 의식에 해당한다. 다른 사람이 말하는 것을 이해하고 새로운 ... ...
- [Knowledge] 거미줄이 강한 비결, ‘포논’과학동아 l2016년 09호
- 상관 없이 일정해야 했다. 아인슈타인은 이를 설명하기 위해 ‘포논(phonon)’이라는 개념을 도입했다.일반적으로 고체를 이루는 원자들 사이의 결합은 용수철 연결로 비유해 생각할 수 있다. 원자 사이의 결합은 온도가 달라지면서 흔들리는데, 이런 ‘열적 요동’이 용수철의 진동 특성과 똑같기 ... ...
- [News & Issue] 허수의 실체를 찾아서과학동아 l2016년 09호
- 대부분이 완강히 거부했다고 한다. 배우려고 나선 일부 원주민들은 끝내 다른 숫자의 개념을 익히지 못했다고 한다. 원주민들의 숫자에 더 큰 그 숫자가 없다고 해서 실제로 그 숫자가 존재하지 않는 것은 아니다. 허수의 실체를 찾는 과정도 마찬가지다. 숫자의 존재와 비존재, 숫자의 범위는 단지 ... ...
- PART 1. 파랑은 없다?수학동아 l2016년 08호
- 낸다.최고의 천연 파랑, 울트라마린한편 12세기 즈음, 물감과 유화가 발달하면서 색채 개념이 더욱 세밀해졌다. 당시 아프가니스탄에서 유럽으로 청금석(라피스라줄리)이 전해졌다. 청금석에서는 가장 희귀하고도 특별하게 아름다운 파란색인 ‘울트라마린’을 얻을 수 있다. 이 광물은 이란과 ... ...
- [소프트웨어] 스트링아트수학동아 l2016년 08호
- 본인이 잘하는 바느질을 이용해 그래프를 나타냈어요. 실제로 바느질은 직선과 곡선의 개념, 곡선의 굽은 정도를 표현하기에 적합한 훌륭한 수학 도구였어요. 그래프뿐만 아니라 도형의 움직임이나 함수의 그래프 변화를 나타내는 미분을 설명하기도 쉬웠어요. 그래서인지 1970년대까지도 바느질을 ... ...
- [Knowledge] 칠면조는 왜 짝을 바라만 보고 있을까과학동아 l2016년 08호
- 오른쪽 페이지 그림 참조).이처럼 포괄 적합도가 어디까지나 개체의 관점에서 바라본 개념임은 다음 인용문에서도 드러난다.각각의 개별적인 행동이 일어나는 상황에서, 개체는 자신의 적합도에 대비해 그 상황에 해당하는 근연도 계수만큼 이웃의 적합도도 일정부분 중시하는 방향으로 종의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신풍초의 보물을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8호
- 수 있는지에 따라 멀리 있는 사물을 얼마나 크게 볼 수 있는 지가 결정된답니다.융합 개념 파헤치기개기월식 붉은 달의 비밀그렇다면 빛은 왜 렌즈를 만나면 꺾이는 걸까요? 그 이유는 빛의 속력이 달라지기 때문이에요. 빛은 밀도가 낮은 공기에서 밀도가 높은 렌즈로 들어갈 때 속력이 느려져요 ... ...
이전11111211311411511611711811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