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년"(으)로 총 23,218건 검색되었습니다.
- [기획] 이메일 지우면 디지털 탄소발자국 줄어들까과학동아 l2023년 03호
- 맥마스터대 연구팀은 정보 통신 산업에서의 온실가스 배출량이 2007년의 약 1~1.6%에서 2040년까지 14%를 초과하는 양으로 늘어날 수 있다고 분석했다.doi: 10.1016/j.jclepro.2017.12.239 정 교수는 “디지털 탄소발자국 연구는 아직 많지 않고, 관련 정책 수립도 거의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라며, “앞 ...
- [이그노벨상] 웃기려고 한 연구 아닙니다 3화. 성공에 더 필요한 건 운일까 재능일까과학동아 l2023년 03호
- 재능이 어떻든 간에 돈이 반으로 깎여버린다. 결과는 어땠을까? 컴퓨터 속에서 몇 년의 시간이 지나자 많은 사람들이 매우 가난해졌고, 소수의 사람들이 처음보다 수천에서 수백만 배 많은 돈을 벌었다. 중요한 점은, 소수의 부유자들이 평균 정도의 재능을 가지고 있었다는 것이다. 그들이 돈을 ... ...
- [5년 후, 과학은] 환자 맞춤형 진단·치료의 열쇠 탄소 양자점과학동아 l2023년 03호
- 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2014년 미국 스탠포드대 박사후연구원 과정을 거쳐 2016년부터 숙명여대에서 근무하고 있다. 연구 분야는 광나노소재 설계 및 관련 응용 기술 개발이다. wkwon@sookmyung.ac.kr 용어 설명*작용기 화학적 특성이 같은 유기 화합물의 집단에서 그 특성의 원인이 되는 공통된 ... ...
- [이달의 책] 동물들이 알려주는 우리 모두의 리더십과학동아 l2023년 03호
- 진화생물학적 관점에서 생명체의 한 형질로 조명했다. 우리 인간은 지난 몇백만 년간 다른 동물과 독립적으로 진화해왔기에, 다른 동물들의 리더십과 인간의 리더십은 분명한 차이가 존재한다. 하지만 구성원 각자의 욕구를 조율해서 공동체로 결합시키는 리더십의 고유한 속성만큼은, 인간과 ... ...
- 별별 원주율 기네스 세계 기록수학동아 l2023년 03호
- 이후에 매우 긍정적이고 자신감이 넘치는 성격으로 바뀌었어요. 그 덕분에 앞으로 몇 년 동안 더 많은 성공을 거둘 것이라고 확신하게 됐지요. Q. 아직도 원주율을 7만 자리까지 외울 수 있나요? 숫자를 더 외울 계획이 있나요?지금은 7만 자리를 다 외울 수는 없지만, 몇 주나 몇 달 정도 연습하면 ... ...
- [Data Math] 프린스턴대 수학 박사가 금융계에 만들고픈 변화는?수학동아 l2023년 03호
- 설정할 때 수학적으로 사고하던 훈련이 큰 도움이 됐어요.” 그렇게 맨땅에 헤딩한 지 1년이 흘렀을 때, ‘금융계의 넷플릭스’로 서비스 콘셉트를 잡았습니다. 넷플릭스가 개개인의 취향을 분석해 딱 맞는 콘텐츠를 추천해주는 것처럼, 고객이 돈을 맡기면 인공지능이 고객별 투자성향에 맞게 ... ...
- [킹앤유&UNIST] 숨은 규칙을 찾아라!수학동아 l2023년 03호
- 수학이 매력적인 이유 중 하나는 낯선 구조에 숨은 ‘규칙성’이라고 생각해요. 학년이 올라갈수록 다양하고 난해한 수학을 접하겠지만, 그런 수학 속 일련의 규칙성은 수학을 좋아하는 여러분 모두가 찾고 싶어 하는 것 중 하나일 거예요. 오늘 소개할 문제는 어떠한 배경지식도 필요하지 않아요. ... ...
- 첫 번째 질문 l 허수는 어떻게 받아들여 졌는가?수학동아 l2023년 03호
- 과정에서 처음 제곱근 안에 음수가 있는 수를 사용한 적이 있습니다. 하지만 가우스가 1799년 박사 논문에서 모든 복소수 계수를 가진 방정식의 해는 언제나 복소수라는 ‘대수학의 기본 정리’를 증명해냄에 따라 허수에 관한 본격적인 논의가 이뤄졌지요. 이후 가우스 평면이라고도 부르는 ... ...
- [가상 인터뷰] 방사선으로 쓰러졌던 주노, 구사일생으로 회복!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3호
- 사실을 확인하기도 했단다. 네가 크게 다쳤다는 얘기를 들었어. 맞아. 때는 작년 12월 14일, 내가 47번째로 목성을 근접 통과●하던 중이었어. 이때 주노에 탑재된 컴퓨터가 목성을 조사한 과학 데이터를 지구로 전송하고 있었지. 그런데 갑자기 주노에서 자료를 ‘다운로드’하는 통신 연결인 ... ...
- 과학동아천문대와 함께하는 이달의 우주 날씨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3호
- 시작을 알렸어요. 작년 11월 아르테미스 1호를 무사히 발사하며 첫발을 내디뎠지요. 2000년대 과학자들은 달에서 반사되는 태양 빛의 파장을 분석해 달 표면에 얼음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밝혀 달에서도 사람이 지낼 수 있다는 가능성을 밝혔어요. 지난 12월, 달 궤도에 도착한 우리나라의 달 탐사선 ... ...
이전11111211311411511611711811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