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년"(으)로 총 23,218건 검색되었습니다.
- [기획] 변덕스러운 겨울 날씨의 이유는?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3호
- 넘는 따뜻한 날이 나타났다, 비가 온 뒤 다시 추위가 찾아왔어요. 또, 1월 말부터는 평년 정도의 날씨가 예보되는 등 변덕스러운 겨울 날씨를 보이고 있지요. 북미의 한파와 폭설이 한달 이상 지속되고 있는 것과는 다른 모습이에요. 기상청 예보국 우진규 예보분석관은 “북미에서는 대륙 위에서 ... ...
- [Level up! 디지털 바른생활] 클라우드 서비스 슬기롭게 활용하기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3호
- 또한 클라우드 서비스는 저장한 자료를 분실하거나 손실시킬 수도 있어요. 2012년에는 일본에서 인기있는 클라우드 서비스 업체였던 ‘퍼스트 서버’가 무려 5698개 기업의 데이터를 통째로 날려 대형 사고가 발생한 적도 있거든요. 이런 사고가 아니어도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만들어진 조항 ... ...
- 과학 마녀 일리의 과학 용어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3호
- 먹이가 되거든요. 유리 같은 껍질을 가진 규조류도 식물성 플랑크톤입니다. 작년 11월, 캐나다 맥길대학교 연구팀은 ‘니츠치아 필리포르미스’라는 규조류의 투명한 껍질이 광합성 효율을 9.83% 높인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하기도 했어요. 수많은 구멍이 난 껍질은 햇빛을 굴절시켜 광합성에 필요한 ... ...
- [출동, 슈퍼M] 온도와 체감온도는 어떻게 다른가요?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03호
- 우리나라에서 기온을 나타낼 때 주로 사용하는 단위는 ‘섭씨온도’예요. 섭씨온도는 1742년 스웨덴의 과학자 셀시우스가 만들었어요. 물이 얼기 시작하는 온도를 0, 물이 끓기 시작하는 온도를 100으로 정하고, 그 사이를 100칸으로 똑같이 나눈 뒤 한 칸을 1℃라고 정했지요. ℃는 섭씨온도의 단위로, ... ...
- [전지적 독자 위원회] 1기 전지적 독자위원회가 남긴 ‘다채로움’과학동아 l2023년 03호
- 담아준 전독위. 그래서 편집부는 이 기간 여러 선물과 혜택을 준비하기도 했습니다. 작년 9월 추석을 앞두고는 과학동아와 모트모트가 콜라보 한 ‘과학덕후세트’를 모든 독자위원께 선물했습니다. 쿤달과 콜라보 해서 만든 ‘창백한 푸른 점’ 핸드크림이나 아로마티카 ‘트래블키트’도 ... ...
- [뉴스&인터뷰] 남극, 호주, 일본, 캐나다… 인류세의 기준이 될 지역은?과학동아 l2023년 03호
- 세 곳의 후보는 이미 작년 말에 탈락했다. 터너 교수는 2월 3일, e메일 인터뷰에서 “작년 12월 17일 남은 9곳의 후보를 두고 1차 투표를 했지만 과반수가 넘는 표가 나온 곳은 없었다”고 밝혔다. 인류세실무연구단은 표를 가장 많이 받은 3개 지역을 중심으로 오는 2월 20일에 2차 투표를 진행한다. 만약 ... ...
- [지웅배의 '최애 은하'] 하트 모양 은하의 러브 스토리과학동아 l2023년 03호
- 겹쳤다. 앞으로 수십억 년 동안 두 은하는 하나의 큰 은하로 반죽될 것이다. 50만 광년 크기의 하트를 우주에 새긴 채 하나가 되는 것이다. 만약 충돌 방향과 각도가 달랐다면 지구의 하늘에서는 전혀 다른 모양이 보였을 것이다. 다만 이 은하 쌍의 공식 명칭은 아쉽게도 ‘더듬이 은하(Antenna Galaxy ... ...
- [기획] 일상에서 찍히는 디지털 탄소발자국을 따라가다과학동아 l2023년 03호
- 디지털 탄소발자국의 흔적을 추적했다. 첫 번째 탄소발자국은 데이터 센터에서 2023년 서울 용산 과학동아 사무실 앞. 수린은 첫 출근을 앞두고 심호흡을 크게 한 번 한 후, 사무실로 들어간다. “안녕하세요! 오늘부터 출근하게 된 이수린입니다.” “어서 와요!” 환하게 맞아주는 편집장님과 ... ...
- [한승전의 ‘초(超)재료] 에너지 위기 시대, 초내열 금속이 해결사?과학동아 l2023년 03호
- 1997년부터 한국재료연구원에 재직하며 2002년에는 일본 오이타대 비상근 강사, 2018년과 2022년에는 일본 도호쿠대 금속재료연구소 초빙교수로도 일했다. 2020년 정부출연연구소 우수성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상, 2021년 국가연구개발 우수성과 100선에 선정, 2022 ...
- ‘한국형 NASA’ 그 이상의 꿈, 우주항공청의 길을 묻다과학동아 l2023년 03호
- 했다. “우리는 지금 달, 화성까지 갈 계획을 논해야 하는데 여력이 없어요. 수십 년 뒤 후손들에게 자랑스럽게 말할 만한 해법을 모색해야 합니다. 가볍게 결론 내릴 일이 아니죠.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에게 물어야 합니다. 우리가 미래에 후회하지 않았으면 좋겠어요.” ▲ 올해 여름, 누리호 ... ...
이전11211311411511611711811912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