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넓이
크기
너비
폭
건평
용적
지적
d라이브러리
"
면적
"(으)로 총 1,984건 검색되었습니다.
기획4. 손가락 사이로 물 새듯 관리한다?
과학동아
l
2006년 03호
측정탑 두 개와 생태수문관측시스템을 구축했다. 맑은 여름날 광릉 숲은 하루에 4mm(1m2
면적
당 2L짜리 생수 2병 정도)의 물을 대기로 방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런 시스템을 우리나라 전역에 설치할 수 없는 노릇이다.따라서 한반도 전체를 감시하는 인공위성에서 관측한 숲의 영상데이터를 ... ...
파푸아에서 '에덴' 발견
과학동아
l
2006년 03호
현상 전자와 원자 사이의 실효 포텐셜의 인력부분과 척력부분이 상쇄되어 유효 산란 단
면적
이 상당히 작아진다1914년에 독일의 물리학자 C 람자우어가 발견했다아르곤(Ar)·크립톤(Kr)·크세논(Xe)과 같은 비활성 기체에서는 현저하게 나타난다람자우어 효과는 원자핵에 의한 중성자의 산란을 설명할 ... ...
2. 거대로봇 가능할까
과학동아
l
2006년 03호
한다. 몸집이 커지면 질량은 키의 세제곱에 비례해 증가한다. 한편 힘을 내는 근육의 단
면적
은 키의 제곱만큼 커지는데 그친다. 예를 들어 1mm 크기의 벼룩을 1000배로 키워 키를 1m로 만들면 무게는 ${10}^{9}$배로 증가하나 근력은 ${10}^{6}$배 정도만 늘어나게 된다. 다시 말해 체중에 대해 상대적으로 ... ...
노다지 꿈꾸는 북한
과학동아
l
2006년 03호
지하자원이 많다.산이 많은 북한의 지형도 장점이다. 상대적으로 평탄한 남쪽보다 지표
면적
이 넓기 때문에 지하 광물이 지표면에 노출된 지점인 노두를 찾기 쉽다. 함북 무산철광은 철광석이 지표면에 노출된 대표적 노천광산이다. 1950년대 소련의 도움으로 철저한 광물 탐사를 추진한 것도 광물 ... ...
전자잉크 시계
과학동아
l
2006년 02호
기온은 낮과 밤 및 여름과 겨울의 한난(寒暖) 차가 매우 크다 대륙지역(대륙지각)의
면적
이 지질시대를 통해 증대되었다는 학설 즉, 대륙은 선캄브리아대에 성립된 대륙핵(大陸核)이라는 가장 오래된 중심부 주위에 변동이 있을 때마다 대륙 지각이 첨가 되어 점차 영역이 넓어지면서 지금에 ... ...
미래 정보저장기술의 주인공
과학동아
l
2006년 02호
결정한다. 개구수가 클수록 렌즈를 통해 맺히는 초점의 크기가 작아지므로 같은
면적
에 더 많은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 CD에서 DVD로 기술이 발전하면서 레이저 파장은 780nm에서 650nm로, 개구수는 0.45에서 0.6으로 커졌고, 따라서 광초점의 크기도 CD 1.73㎛에서 DVD 1.08㎛로 줄어들었다. 기술은 블루레이, ... ...
북극과 남극에 뭔가 특별한 것이 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01호
있을 수 없겠지요.‘어린이과학동아’친구들에게 보내는 반가운 새해 인사지구 전체
면적
의 약 6.8%를 차지하는 남극은 발견된 지 채 200년도 안 됩니다. 남극은 지구상에서 유일하게 원시 자연환경을 보전하고 있는 마지막 남은 미지의 대륙이면서 인류의 소중한 자산입니다. 현재 남극은 거대한 ... ...
해리포터와 불의 잔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24호
치면 폐와 같은 역할을 하는 기관이죠. 아가미는 수많은 가닥으로 이루어져 물과의 접촉
면적
을 넓게 하고 아가미 속의 모세혈관은 산소와 이산화탄소를 운반하는 역할을 합니다.그렇다면 물갈퀴가 있는 동물은 무엇일까요? 개구리, 오리, 펭귄 등 생각나는 것을 말해보세요. 물갈퀴는 물새류나 ... ...
'개코'란 별명이 괜히 나왔겠어?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22호
곳의
면적
이 무려 130㎠나 되고 후각 세포도 2억 개가 넘기 때문입니다. 사람의 후각상피
면적
이 3㎠, 후각 세포가 약 500만 개인 것과 비교해 보면 개의 후각이 얼마나 뛰어난지 알 수 있지요. 갓 태어났을 때 보지도 듣지도 못 하지만 유독 냄새는 맡을 수 있는 개. 냄새맡기는 개의 일생에 있어 가장 ... ...
얼음 속에 갇힌 설인을 구하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22호
더 잘 녹는 것이랍니다. 큰 덩어리의 얼음을 작게 부수면 따뜻한 공기와 얼음이 만나는
면적
이 넓어져 더 잘 녹는 것이지요.빙산의 일각에 숨은 비밀빙산의 일각이라는 말은 드러난 부분보다 감춰진 부분이 더 많을 때 쓰는 말입니다. 이말에는 바로 얼음의 비밀이 숨어 있지요. 얼음이 얼면서 ... ...
이전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