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본보기
model
모범
모형
견본
귀감
전형
d라이브러리
"
모델
"(으)로 총 2,338건 검색되었습니다.
2008년 세계를 뒤든흔 과학 Big 5!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24호
연구가 많아. 지난 10월 국립기상연구소가 독일 막스플랑크연구소에서 개발한 기후
모델
을 써서 예측한 내용을 보면, 2071년 한반도는 기온이 4℃나 올라 높은 산지에 사는 식물이 거의 멸종 한다고 나와 있어. 또 지난 8월에는 중국 남부에서 살던 새가 우리나라에서도 발견되었다는 국립공원연구원의 ... ...
미지의 단백질 구조 밝힌다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기계학습 방법을 활용해 염기서열의 구조를 예측하는 방법을 찾고 있다. 프로그래밍이나
모델
링으로 아미노산과 단백질을 다루는 만큼 연구팀에는 생물학, 생물정보학, 전산학 등 다양한 전공의 연구원이 모였다. 그러다 보니 학부 때 전산학을 전공한 일부 연구원은 일반생물학 이외에는 수강하지 ... ...
남의 것 흡수하고 소화하면 내 것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목표다.자료동화기술은 주로 기후학에서 사용되는데, 확률론적인 성격이 뚜렷한 기후
모델
을 측정 자료로 보완하는 기법을 말한다. 만약 이 기술이 해양물리 모형에도 도입된다면 실제 현상에 가까운 모형 해석이 가능하다.싱가포르에서 지낸지 아직 1년도 채 안됐지만 이들의 열린 자세와 적극적인 ... ...
컴퓨터에 한강이 들어왔네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방식이 선(1차원)과 면(2차원)을 적절히 섞은 1.5차원이었다. 최근 개발한 램스는 2차원
모델
이다. 1.5차원 연구에 있어서 그는 이미 세계적인 권위자다. 1998~2004년 국제 저널에 발표한 논문 4편은 해외 학계에서 호평을 받았다. 논문 한 편당 평균 20회씩 인용됐고, 그 중에는 40회를 넘긴 논문도 있다 ... ...
‘순간’을 필름에 담는 엔지니어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은색 테이프를 칭칭 감은 흰색 휴대전화는 10여 년 전 유행하던 길쭉하고 뚱뚱한 초창기
모델
이다. 배터리와 본체를 연결하는 이음새가 떨어져나가 테이프로 고정시켜놨단다. 광통신을 연구하는 공대 교수라기에 ‘얼리어답터’일 것이라 지레 짐작했는데, 뒤통수를 한 대 맞은 기분이다. “아직 쓸 ... ...
‘텔미’ 춤추는 로봇에서 온기를 느끼다
과학동아
l
2008년 11호
부품 수천 개로 이뤄진 로봇이 이처럼 멋지게 작동하는 게 놀랍지 않습니까.” 마루-M이
모델
의 동작을 따라하는 모습을 멀찌감치 서서 바라보던 유범재 단장의 입가에 흐뭇한 미소가 번졌다 ... ...
초파리로 파킨슨병 치료한다
과학동아
l
2008년 11호
않은 결정이었다. 1999년 정 단장은 생명과학과 동료 교수 몇 명과 함께 ‘초파리 질병
모델
동물 라이브러리’를 만들기 시작했다. 초파리 유전자 1만 3000여개 각각이 변형된 돌연변이를 만드는 대규모 프로젝트였다.초파리 라이브러리를 완성하기까지 꼬박 3년이 걸렸다. 정 단장은 동료 교수들과 ... ...
가을 여행길 필수품 ‘큐티 포토스토리지’
과학동아
l
2008년 11호
전문으로 만드는 새로텍은 이런 불편함을 단번에 날려버리는 ‘큐티 포토스토리지’(
모델
명 : DSR-282S)를 최근 출시했다.큐티는 컴퓨터에 연결하지 않고도 메모리카드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보조 기억장치다. 하드디스크에 메모리카드를 직접 꽂아 데이터를 저장하는 셈이다. 큐티는 버튼을 ... ...
[생물]광학이성질체의 양면성
과학동아
l
2008년 10호
들어맞을 필요가 없다고 주장하는 연구 결과들이 등장하고 있습니다. 열쇠-자물쇠
모델
로는 활성화 에너지를 낮추는 문제를 설명하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그로 인해 촉매의 활성 부위가 어느 정도는 기질에 맞게 모양을 바꿀 수 있다는 유도적합설이 등장했습니다. 예시답안 1) 거울 밖 세상과 거울 ... ...
로지스틱 곡선으로 보는 성장
모델
과학동아
l
2008년 10호
자연계논술에는 소재는 달리하면서 자주 출제되는 주제가 많다. 이번에 다룰 ‘로지스틱 곡선’은 보통 S-곡선이라고 불리며 특정 환경 속에서 개체수 변화를 나타낼 때 자주 이용된다. 벨기에의 수학자 베르휼스트가 1838년에 인구증가과정의 법칙을 설명하면서 이 원리를 밝혀냈다. 이 곡선의 배 ... ...
이전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