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진기
camera
촬영기
사진기계
시네
라마
카메라앵글
d라이브러리
"
카메라
"(으)로 총 2,240건 검색되었습니다.
3D TV 아직도 안경 끼고 보세요?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그 위에 원래의 레이저 빔을 비춰 실시간으로 홀로그램을 구현한다는 계획이다. 아직은
카메라
의 해상도가 낮고 레이저를 광원으로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현실적으로 어려움이 많다. 하지만 다양한 연구가 이뤄지고 정부가 적극적인 지원에 나선 만큼, 실제보다 더 실제 같은 생생한 홀로그램이 ... ...
천둥 구름은 입자가속기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고도를 알아낼 수 있다”고 말했다.실제로 과학자들은 번개 상층부를 비디오
카메라
로 촬영해 번개가 방전될 때 자연 입자가속기 환경이 형성된다는 사실을 포착했다. 이에 앞서 미국 로스알라모스 연구소는 슈퍼컴퓨터의 시뮬레이션 계산으로 이 같은 사실을 사전에 알아냈다. 플레크러그 교수는 ... ...
침팬지도 죽음을 애도한다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사육되는 침팬지들이 나이가 많은 암컷 침팬지의 죽음에 어떤 반응을 보이는지를 비디오
카메라
로 관찰했다. 암컷 침팬지는 다른 침팬지들의 어미이면서 무리의 연장자였다. 젊은 침팬지들은 죽음을 앞둔 늙은 암컷 침팬지의 털을 차분하게 손질하고 몸을 어루만지는 행동을 보였다. 암컷 침팬지가 ... ...
기준은 수학이 필요해 !
수학동아
l
2010년 05호
있다. 여기서 말하는 메가나 기가의 정확한 명칭은 메가바이트와 기가바이트다. 디지털
카메라
의 저장 용량도 몇 년 전에는 메가 단위였던 것이 요즘에는 기가 단위로 커졌다.기가는 메가보다 1000배가 크고, 킬로보다는 100만 배나 큰 수다. 1 뒤에 0이 9개나 붙으니 10억에 해당한다.1기가(G) = 1000 × ... ...
불가능에 도전하는 투명망토 어디까지 왔나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투명망토를 입은 사람이 사라진 것처럼 보이게 하기 위해 미리 사람 뒤의 배경을
카메라
로 촬영했다. 그리고 이 촬영 영상을 사람 앞쪽에서 망토에 비춰준다. 그러면 우리 눈에는 촬영된 배경화면이 보이면서 사람이 사라진 것처럼 착각을 일으킨다. 이 기술은 원래는 ‘광학 위장(optical camouflage ... ...
특명 미래 레이저를 찾아라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사진을 찍는
카메라
의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매우 빠르게 움직이는 자동차를
카메라
로 찍는다면 셔터 스피드를 짧게 하고 조리개를 활짝 열어 연속촬영하면 된다. 하지만 셔터가 열리고 닫히는 시간보다 더 빨리 자동차가 움직인다면? 셔터는 열어두고 짧고 빠른 빛을 연속적으로 보내 자동차가 ... ...
iPad 열풍의 비밀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킨들의 무게는 아이패드의 절반 수준이다. 화상통화를 하거나 주변 사물을 찍을 수 있는
카메라
도 달려 있지 않다.다른 휴대용기기들을 연결하는 USB도 지원하지 않는다. 주변 환경이나 지역 정보를 제공하는 위치기반서비스(LBS)를 받는 데 필요한 위성위치확인시스템(GPS)이 안 달려 있다는 것도 ... ...
죽음과 맞바꾸는 치명적인 맛 황복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없다. 산수유와 개나리꽃이 피고 목련과 벚꽃이 꽃망울을 터뜨리면 사람들은 너도나도
카메라
를 챙겨들고 야외로 나선다. 그런데 꽃 중에서도 유독 복사꽃이 피기만을 기다리는 사람들이 있다. 그것도 입맛까지 쩝쩝 다셔가며 말이다. 소동파의 시에서 그 이유를 찾을 수 있다.대나무밭 가장자리 ... ...
상상력이 이끌어온 반도체 과학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움직이는 조건을 잘 이용하면 다양한 분야에 편리함을 줄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지털
카메라
는 전자가 빛에 반응하는 특성을 이용해 만들어진 것이며, 온도가 높으면 전자가 더 활발히 움직이는 성질을 이용하면 온도 센서를 만들 수 있다.암 추적하는 차세대 바이오칩 개발 중박 교수가 이끄는 ... ...
동북아 철새의 쉼터 홍도, 흑산도를 찾아서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그림을 보는 매직아이를 하듯 말이죠. 거의 모든 감각을 열어둬야 합니다”고 말했다.
카메라
를 꺼내 모습을 담으려는 순간 그의 시선이 또 한 방향에 꽂힌다. “작은 새들은 수풀 속에 숨어 있어서 일반인의 눈에는 잘 보이지 않지요. 새들의 특성을 잘 파악하고 있어야 모습을 볼 수 있지 무턱대고 ... ...
이전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