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0"(으)로 총 5,772건 검색되었습니다.
- [Origin] 강의실 밖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8년 09호
- 생식기를 갖고 있었습니다. SRY 유전자 하나가 성별을 결정한 셈입니다.doi: 10.1038/351117a0 남성 결정 도미노를 작동시키는 첫 블록남성과 여성은 다른 점이 아주 많은데, 달랑 유전자 하나가 모든 차이점을 만들어 낸다는 게 신기하죠. 일종의 도미노 현상입니다. 남성이든 여성이든 우리 염색체에는 ... ...
- Part 2. ICM 관전 포인트 넷수학동아 l2018년 08호
- 층 카오스홀참가대상 : 중학생 이상 수학동아 독자참가비 : 무료선발 인원 : 6일 50명, 7일 50명신청 기간 : 2018년 8월 31일(금)까지신청 방법 : 수학동아 블로그(mathdonga.blog.me)해당 게시물에서 신청참가자 발표 : 9월 3일(월) 수학동아 블로그 ※ 강연자와 강연 내용은 8월 1일 수상자 ...
- [매스미디어] 뮤지컬, 프랑켄슈타인수학동아 l2018년 08호
- 무한히 많은 사각형으로 이뤄진 격자 위에서 진행합니다. 세포가 죽어있는 상태를 ‘0’(흰색 칸), 세포가 살아있는 상태를 ‘1’(회색 칸)이라고 합시다. 각 사각형을 세포라 하면 세포의 상하좌우, 대각선 방향에는 이웃 세포 8개가 있습니다. 이 8개를 기준으로 다음 세대(단계)로 넘어갈 때, ... ...
- [BJ맹추의 수동TV] 기사 속 수학 개념 완전정복수학동아 l2018년 08호
- 1과 자신밖에 없는 자연수’를 뜻하는 소수고, 제가 답한 건 초등학생 때 배운 ‘0과 1 사이에 있는 작은 수’를 뜻하는 소수였던 겁니다. 기억이 안 난 건 맞지만, 변명 좀 해야겠네요. 글자가 같아도 먼저 나온 소수는 ‘소쑤’라고 발음하고 뒤에 나온 소수는 ‘소-수’라고 발음해야 하는데, 그때 ... ...
- [Origin] 이런, 다이아몬드 같지 않은 나노 다이아몬드과학동아 l2018년 08호
- 별도의 화학 처리 없이 불순물을 제거할 수 있고, 기존에 이틀 이상 걸리던 정제 작업을 30분 이내로 단축할 수 있다.이 선임연구원은 “나노 다이아몬드는 그간 생성 방식이 비효율적이라는 한계가 있었다”며 “플라스마를 이용해 나노 다이아몬드 제조 방식의 한계를 뛰어넘는 원천 기술을 ... ...
- 이윤진 이화여대 입학처장 - “자신의 역량 집중할 전형 찾아야”과학동아 l2018년 08호
- 의대가 통합되면서 의대 정원이 올해 정시모집에 일부 추가됐다”며 “2020학년도부터는 계열별 통합선발로는 배정하기 어려웠던 사범대나 간호학과도 일부 정시로 선발한다”고 설명했다. 교내·외 수상실적이 뛰어난 여학생이라면 특기자전형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화여대는 2019학년도 ... ...
- [Issue] 한반도 습격 시작한 남미붉은독개미과학동아 l2018년 08호
- 입는 게 좋고, 남미붉은독개미집을 절대로 건드리지 않아야 한다. 만약 쏘였을 경우 30분가량 호흡을 안정시키고, 과민성반응을 보일 경우에는 응급조치를 받아야 한다. 면역력이 떨어지는 어린이와 노약자는 특히 조심해야한다. 내륙 분포조사 이뤄져야현재 부산과 평택, 인천에서 발견된 ... ...
- [피부, 머리카락 붙이기] 당신 머리카락을 쓸어 주고파과학동아 l2018년 08호
- 연구결과는 ‘셀 리포트’ 1월 2일자에 실렸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200년만의 환생, 프랑켄슈타인[팔과 다리 만들기] 팔 이식, 전자의수 무엇을 원해요[심장과 생식기 연결하기] 당신의 심장을 다시 뛰게 만들겠어[눈,코,입 심기] 내가 보이나요, 내 목소리가 들리나요[피부, ... ...
- [Origin] 강의실 밖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8년 08호
- 방향을 틀 수 있습니다(아래 '주변 액체의 흐름과 반대로 움직이는 정자'그림). 1950년대에만 해도 저명한 과학자들이 정자와 난자가 만나는 것은 우연이라는 주장을 폈습니다. 그러나 미세한 온도 차이를 알아채고, 주변 액체의 흐름을 감지하고, 어딘가로부터 전해오는 화학적 신호를 받고있는 ... ...
- 하나를 가르치면 '0’을 아는 벌수학동아 l2018년 08호
- 가는 열쇠=벌벌의 뇌에는 뉴런이 100만 개 있습니다. 860억 개인 인간과 비교하면 8만 6000배나 적습니다. 그런데도 복잡한 수학 문제를 풀 수 있고 까다로운 수학 개념을 이해할 수 있다면, 적은 수의 뉴런으로 고차원의 사고가 가능하다는 뜻입니다. 랄스 치카 퀸메리 런던대학교 생물화학과 교수는 ... ...
이전11111211311411511611711811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