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0"(으)로 총 5,772건 검색되었습니다.
- [Issue] 애벌레로 비닐봉지 분해, 플라스틱 라이프과학동아 l2018년 07호
- chemistry and engineering)’ 2017년 4월 2일자 온라인판에 발표했다. doi: 10.1021/acssuschemeng.7b00745연구팀은 식물에서 자일로스(xylose) 등 5탄당을 추출한 뒤 탈수소 반응을 이용해 고리화합물인 ‘퍼퓨랄’을 만들었다. 여기에 물을 가한 뒤 탈탄소 반 ...
- Part 1. 중력부터 마찰력까지, 현실 같은 물리 엔진과학동아 l2018년 07호
- 표현하는 함수에는 미적분방정식 등 복잡한 수식이 들어 있다”고 말했다.컴퓨터는 0과 1만 사용해 연산하는 만큼 수식에 곱셈과 나눗셈이 많이 들어 있을수록 연산 시간이 오래 걸린다. 특히 미적분방정식을 풀 때에는 사람처럼 간단한 공식을 외워서 푸는 게 아니라 미적분을 유도하는 공식부터 ... ...
- [Tech] 모델명 ASUS ROG Centurion 7.1, 게이밍 헤드셋과학동아 l2018년 07호
- 넓습니다. 시각은 수평으로 140도, 수직으로 70도인 반면, 청각은 위아래, 앞 뒤, 좌우 360도에서 오는 소리를 입체적으로 느낍니다.그래서 시중에 판매되는 고가의 음향기기는 멀티채널을 지원합니다. 청취자를 둘러싸듯 스피커를 여러 개 설치해서 사람이 실제 환경에서 듣는 것처럼 방향감, 거리감 ... ...
- [과학동아 X KRISS] 아보가드로 상수로 더 명확해진 몰(Mol)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실리콘의 몰질량 측정에 대한 국제적인 비교 실험에도 참여했다. 측정 결과의 정확도가 10년 이상 관련 연구를 진행한 다른 나라 국제 표준기관들 수준으로 높아(상대불확도 5×10-9 이하) 관심을 모았다. “한국표준과학연구원은 국가 측정표준 대표기관입니다. 몰 단위로의 측정소급성을 가진 국가 ... ...
- [Origin] 미래를 비추는 빛, LED과학동아 l2018년 07호
- 국제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원천기술이 될 것이라고 기대합니다. 일반적으로 100×100μm2 이하의 초소형 LED를 마이크로 LED라고 부르는데, 작은 LED 소자 한 개가 디스플레이의 픽셀이 되면 초고화질 디스플레이를 구현할 수 있습니다. 마이크로 LED는 기존 디스플레이 시장을 지배하고 있는 ... ...
- [Issue] 라돈 침대 왜 위험한가과학동아 l2018년 06호
- 방사선안전부 생활방사선팀 연구원은 “보통 내부피폭이 외부피폭보다 10배 정도 인체에 치명적”이라며 “침대에서 방출된 라돈이 체내에 들어갈 수 있다는 점이 확인된 만큼 내부피폭선량을 고려하는 게 맞다”고 말했다. 원안위는 국내 모나자이트 유통 현황을 조사하고 있다. 현재까지 ... ...
- [시사기획 Part 1] “진원이 시추공 깊이와 거의 같아”과학동아 l2018년 06호
- 들었다. 그리고 본진과 최대 여진들은 지열발전소 2km 이내에서 발생했으며, 2017년 11월 15~30일에 관측된 본진과 46회의 여진의 깊이가 3~7km 지점에서 발생했다는 분석 결과를 제시했다. 또한 이 심도는 포항 지역에서 발생했던 자연지진에 비해 특이하게 얕다는 설명을 덧붙였다. 연구팀이 위성자료를 ... ...
- [Culture] 체육대회 묵시록과학동아 l2018년 06호
- 나오는 소행성은 큰 것은 아니었다. 하지만 지구에 충돌할 가능성은 10퍼센트에서 50퍼센트 사이라서 ‘위험’ 등급으로 분류 되어 있었다. 협회에서는 이 소행성에 미리 핵미사일을 발사해서 그 충격으로 소행성을 지구에 부딪히지 않는 방향으로 비튼다는 계획을 발표해 둔 상태였다. 그 때문에 ... ...
- [이투스교육] 살아 움직이는 지구 시스템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이 발생하며, 천발지진뿐 아니라 중발지진(깊이 70~300km에서 발생하는 지진)과 심발지진(300km 이상 깊이에서 발생하는 지진)이 일어나기도 한다. 알프스 산맥이나 히말라야 산맥은 대륙판과 대륙판이 만나는 수렴형 경계다. 지진활동은 나타나지만 화산활동은 일어나지 않는다. 하지만 대륙판과 ... ...
- Part 3. 정신력으로 무장 하라!수학동아 l2018년 06호
- 그래프의 파란색 곡선처럼 뒤이어 먹이를 찾아가는 개미의 수가 0에 가까웠어. 그런데 500마리 이상일 때부터는 앞서 먹이를 찾으러 간 개미들이 페로몬을 잘 보충한 경우, 빨간색 곡선처럼 개미의 수와 비례해서 높아졌지. 즉, 개미의 수가 같아도 앞서 페로몬을 보충한 개미가 많으면 뒤이어 ... ...
이전114115116117118119120121122 다음